황중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중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칭하이성 시닝시에 위치한 구이다. 4,000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해왔으며, 한나라 때 중국 왕조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 1개의 가도, 10개의 진, 2개의 향, 3개의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황중의 연평균 기온은 2.9°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450~600mm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닝시의 행정 구역 - 청베이구
청베이구는 가도와 진으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이지만, 현재 기후 및 행정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는 부족합니다. - 시닝시의 행정 구역 - 청둥구
청둥구는 조선 시대부터 대한민국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며 급격히 변화했고, 도시화, 기술 발달, 지속 가능한 발전 추구, 다양한 민족 구성, 농업, 수산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대한민국과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는 지역이다. - 칭하이성의 시할구 - 러두구
러두구는 한국 전쟁 격전지이자 도시 개발과 민주화 운동을 거친 지역으로, 뚜렷한 기온 변화와 다양한 기후 데이터, 역사적·문화적 명소가 있으며, 농업 기반 경제에서 관광 산업으로 성장 동력이 변화하고 있다. - 칭하이성의 시할구 - 청베이구
청베이구는 가도와 진으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이지만, 현재 기후 및 행정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는 부족합니다.
황중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湟中区 |
한자 (간체) | 湟中区 |
중국어 병음 | Huángzhōng Qū |
티베트어 | ཧོང་ཀྲུང་གྲོང་རྡལ། |
와일리 | hong krung grong rdal |
일반 정보 | |
국가 | 중국 |
성 | 칭하이성 |
지급 행정구역 | 시닝시 |
소재지 | 루샤르 진 |
지리 | |
면적 | 2444km² |
해발고도 (최저) | 2225m |
해발고도 (최고) | 4488m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463,90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농촌 인구 | 369,000명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수 |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8 |
우편 번호 | 811600 |
차량 번호판 | 青A |
지역 번호 | 0971 |
웹사이트 | http://www.huangzhong.gov.cn/ 湟中区 인민정부 |
2. 역사
황중 지역은 적어도 4,000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해왔으며, 이는 리자산 타운의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밝혀졌다. 이후 이 지역은 강족에 속했다. 한 무제가 시닝을 점령한 이후 황중은 중국 왕조의 일부가 되었다. 한나라 통치자들은 이 지역에 临羌县|린창현중국어이라는 현을 설치하고, 란저우의 진청이 관할하도록 했다. 1943년, 현청은 루샤 타운으로 이전되었고, 현의 이름은 황수이강 유역을 따라 황중현으로 변경되었다.[2] 2020년 황중현은 시닝의 황중구로 변경되었다.[1]
황중구는 11개의 진, 2개의 향, 3개의 민족향을 관할한다.[1][3]
3. 행정 구역
종류 이름 간체자 병음 향 투먼관 향 土门关乡 Tǔménguān Xiāng 향 하이쯔거우 향 海子沟乡 Hǎizigōu Xiāng 민족향 췬자 티베트족 민족향 群加藏族乡 Qúnjiā Zàngzú Xiāng 민족향 한둥 회족 민족향 汉东回族乡 Hàndōng Huízú Xiāng 민족향 다차이 회족 민족향 大才回族乡 Dàcái Huízú Xiāng
3. 1. 가도
황중구는 1개의 가도, 10개의 진, 5개의 향, 3개의 민족향을 관할한다.[1][3]
종류 | 이름 | 한자 | 병음 |
---|---|---|---|
가도 | 캉촨 가도 | 康川街道 | Kāngchuān Jiēdào |
진 | 톈자자이 진 | 田家寨镇 | Tiánjiāzhài Zhèn |
진 | 상신좡 진 | 上新庄镇 | Shàngxīnzhuāng Zhèn |
진 | 루샤얼 진 | 鲁沙尔镇 | Lǔshā'ěr Zhèn |
진 | 간허탄 진 | 甘河滩镇 | Gānhétān Zhèn |
진 | 공허 진 | 共和镇 | Gònghé Zhèn |
진 | 둬바 진 | 多巴镇 | Duōbā Zhèn |
진 | 란룽커우 진 | 拦隆口镇 | Lánlóngkǒu Zhèn |
진 | 상우좡 진 | 上五庄镇 | Shàngwǔzhuāng Zhèn |
진 | 리자산 진 | 李家山镇 | Lǐjiāshān Zhèn |
진 | 시바오 진 | 西堡镇 | Xībǎo Zhèn |
향 | 투먼관 향 | 土门关乡 | Tǔménguān Xiāng |
향 | 하이쯔거우 향 | 海子沟乡 | Hǎizigōu Xiāng |
민족향 | 쿵갸 티베트족 민족향 | 群加藏族乡 | Qúnjiā Zàngzú Xiāng |
민족향 | 한둥 회족 민족향 | 汉东回族乡 | Hàndōng Huízú Xiāng |
민족향 | 다차이 회족 민족향 | 大才回族乡 | Dàcái Huízú Xiāng |
3. 2. 진
황중구는 11개의 진을 관할한다.[1][3]이름 | 중국어 표기 | 한국어 표기 |
---|---|---|
톈자자이 진 | 田家寨镇|labels=no중국어 | 톈자자이 진 |
상신좡 진 | 上新庄镇|labels=no중국어 | 상신좡 진 |
루샤얼 진 | 鲁沙尔镇|labels=no중국어 | 루샤얼 진 |
간허탄 진 | 甘河滩镇|labels=no중국어 | 간허탄 진 |
공허 진 | 共和镇|labels=no중국어 | 공허 진 |
둬바 진 | 多巴镇|labels=no중국어 | 둬바 진 |
란룽커우 진 | 拦隆口镇|labels=no중국어 | 란룽커우 진 |
상우좡 진 | 上五庄镇|labels=no중국어 | 상우좡 진 |
리자산 진 | 李家山镇|labels=no중국어 | 리자산 진 |
시바오 진 | 西堡镇|labels=no중국어 | 시바오 진 |
쭝자이 진 | 总寨镇|labels=no중국어 | 쭝자이 진 |
3. 3. 향
황중구의 향은 다음과 같다.[1][3]이름 | 중국어 간체 | 병음 |
---|---|---|
투먼관 향 | 土门关乡|Tǔménguān Xiāng중국어 | |
하이쯔거우 향 | 海子沟乡|Hǎizǐgōu Xiāng중국어 |
3. 4. 민족향
4. 기후
황중구의 연평균 기온은 2.9°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450~600mm이다.[6]
4. 1. 상세 기후 데이터 (1991-2020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0.3°C | 3°C | 7.9°C | 13.4°C | 16.8°C | 19.8°C | 21.6°C | 20.7°C | 16.3°C | 11.1°C | 5.9°C | 1.2°C | - |
일 평균 기온 (℃) | -7.8°C | -4.6°C | 0.5°C | 6.2°C | 10.2°C | 13.6°C | 15.6°C | 14.7°C | 10.4°C | 4.8°C | -1.1°C | -6.2°C | - |
평균 최저 기온 (℃) | -12.8°C | -9.8°C | -4.6°C | 0.6°C | 4.7°C | 8.4°C | 10.7°C | 10.2°C | 6.5°C | 0.8°C | -5.7°C | -11°C | - |
최고 기온 기록 (℃) | 12°C | 18.3°C | 23.6°C | 28.3°C | 27.3°C | 26.9°C | 33.4°C | 29°C | 25.6°C | 21.1°C | 15.9°C | 11.4°C | - |
최저 기온 기록 (℃) | -22.5°C | -21.6°C | -18.8°C | -11.3°C | -4.5°C | 1.4°C | 3.5°C | 1.7°C | -0.6°C | -15.5°C | -18.9°C | -25.2°C | - |
평균 강수량 (mm) | 3.7mm | 5.1mm | 13.3mm | 30.3mm | 72mm | 81.4mm | 103.6mm | 104mm | 81.6mm | 29.9mm | 8.7mm | 3.1mm | - |
평균 상대 습도 (%) | 49 | 49 | 48 | 49 | 56 | 62 | 67 | 71 | 75 | 67 | 55 | 51 | -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5.0 | 5.9 | 7.2 | 8.2 | 12.4 | 15.6 | 16.6 | 15.6 | 15.8 | 9.1 | 4.7 | 4.2 | - |
평균 일조 시간 | 209.7 | 200.7 | 225.4 | 235.5 | 234.2 | 225.2 | 223.4 | 205.8 | 165.6 | 188.6 | 208.3 | 212.6 | - |
평균 일사율 (%) | 67 | 65 | 60 | 59 | 53 | 51 | 51 | 50 | 45 | 55 | 69 | 71 | - |
평균 강설 일수 | 6.4 | 7.7 | 9.4 | 7.1 | 1.9 | 0.1 | 0 | 0 | 0.2 | 4.5 | 6.2 | 5.7 | - |
참조
[1]
웹사이트
湟中概况
http://www.huangzhon[...]
2021-05-09
[2]
웹사이트
历史文化
http://www.huangzhon[...]
2021-05-09
[3]
웹사이트
县属乡镇
http://www.huangzhon[...]
2021-05-09
[4]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7
[5]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7
[6]
웹인용
中国地面气候标准值月值(1981-2010)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