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안 마요르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안 마요르가는 1965년 마드리드에서 태어난 스페인의 극작가이다.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수학 교사로도 활동했다. 마드리드 드라마 예술 왕립학교에서 극작과 철학 교수로 재직하며, 극 언어의 정확성을 강조했다. 2018년에는 스페인 언어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13년 스페인 국립 연극 문학상, 2016년 유럽 연극 현실상 등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레이캬비크》, 《다윈의 거북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소설가 - 미겔 데 우나무노
미겔 데 우나무노는 1864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소설 『안개』 등을 통해 실존주의적 사상을 표현하고 살라망카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스페인 내전 발발 초기 프랑코를 지지했으나 이후 반대하여 가택 연금 상태에서 사망했다. - 스페인의 소설가 - 조지 산타야나
조지 산타야나는 스페인 태생의 미국 철학자이자 작가로, 하버드 대학교 교수, 실재론과 관념론 통합 시도, 다채로운 저술 활동,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자는 과거를 반복한다"는 경구로 알려져 있다. - 스페인의 극작가 - 하신토 베나벤테
스페인의 극작가 하신토 베나벤테는 사회 비판과 심리 묘사가 돋보이는 172편의 희곡을 썼으며, 192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자유주의적 군주제 지지 성향을 보였다. - 스페인의 극작가 - 미겔 데 우나무노
미겔 데 우나무노는 1864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소설 『안개』 등을 통해 실존주의적 사상을 표현하고 살라망카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스페인 내전 발발 초기 프랑코를 지지했으나 이후 반대하여 가택 연금 상태에서 사망했다. - 지식을만드는지식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지식을만드는지식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 욘 포세
욘 포세는 미니멀한 문체와 침묵을 활용해 인간의 불안과 고독을 탐구하는 노르웨이 소설가, 극작가, 시인으로, 202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며 "입센의 재림"이라 불린다.
후안 마요르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후안 안토니오 마요르가 루아노 |
출생일 | 1965년 4월 6일 |
출생지 | 마드리드, 스페인 |
직업 | 작가 |
학술원 | |
소속 학술 단체 | 레알 아카데미아 에스파뇰라 |
좌석 번호 | M |
임기 시작 | 2019년 5월 19일 |
이전 | 카를로스 보소뇨 |
2. 생애
1965년 마드리드에서 태어나 현재 스페인을 대표하는 극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스페인 국립 연구 위원회 철학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공부했으며, 스페인 국립 원격 교육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수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마드리드 드라마 예술 왕립학교에서 극작과 철학 교수로 재임했다. 2018년에는 언어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업
후안 마요르가는 1965년 4월 6일 마드리드 체임베리에서 태어났다. 스페인 국립 연구 위원회 철학 연구소에서 철학자 레예스 마테의 지도를 받으며 연구원으로 공부했으며, 이후 뮌스터, 베를린, 파리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1997년 스페인 국립 원격 교육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같은 해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2003년에는 《보수주의 혁명과 혁명적 대화: 발터 베냐민에 있어서 정치와 기억》이라는 철학 관련 저서도 출판했다. 또한, 수학을 전공하여 5년간 마드리드와 근처 도시의 중·고등학교 수학 교사로 지내기도 했다. 1998년부터는 마드리드 드라마 예술 왕립학교에서 극작과 철학 교수로 재임하고 있다.2. 2. 학술 및 교육 활동
마요르가는 스페인 국립 연구 위원회 철학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공부했으며, 이후 뮌스터, 베를린, 파리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1997년 스페인 국립 원격 교육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3년에는 《보수주의 혁명과 혁명적 대화: 발터 베냐민에 있어서 정치와 기억》이라는 철학 관련 저서를 출판했다.[1] 또한 수학을 전공하여 5년간 마드리드와 근처 도시의 중·고등학교에서 수학 교사로 지내기도 했다. 1998년부터는 마드리드 드라마 예술 왕립학교에서 극작과 철학 교수로 재임하고 있다.그는 수학을 전공한 이력답게 극 언어가 수학처럼 정확해야 하며, "1그램의 지방도 가져서는 안 된다"라고 강조한다. 수학, 철학, 연극에 대한 그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좋은 수학자는 우주를 공식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좋은 극작가는 인물의 변화가 단 하나의 반론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게 해야 한다. 철학은 연극과 정반대인 것처럼 보이지만 위대한 작가들은 사고에 몸을 입혔고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것으로 만들 수 있었다."[1]
2018년 4월 12일, 마요르가는 2015년 10월 24일 시인 겸 언어학자 카를로스 보소뇨의 사망 이후 공석이 된 "M" 의석을 채우기 위해 언어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언어학자 돌로레스 코르벨라 또한 해당 의석의 후보였다. 마요르가의 출마는 학자 루이스 마리아 안손, 루이스 마테오 디에스, 호세 마누엘 산체스 론의 지지를 받았다.[1]
3. 작품 세계
후안 마요르가는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작품을 통해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스페인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어 공연되고 있으며, 막스(Max)상 등 권위 있는 상을 여러 차례 수상하며 그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막스 상은 브로드웨이의 토니상, 영국의 올리버상에 해당되는 상이다.[4]
마요르가는 스페인 및 다른 나라의 고전을 각색하여 무대에 올리는 작업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아랍어,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 각국에서 공연되고 있다.
3. 1. 주요 작품의 특징
후안 마요르가의 작품들은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아랍어,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 각국 무대에 소개되고 있다. 특히, 1998년부터 스페인 작가, 출판인협회 회원들이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인 막스(Max)상을 여러 차례 수상했다. 막스상은 브로드웨이의 토니상, 영국의 올리버상에 해당한다.그의 대표작은 다음과 같다.
제목 | 발표 연도 | 비고 |
---|---|---|
Siete hombres buenoses | 1989년 | |
Más cenizaes | 1992년 | 칼데론 데 라 바르카 상 수상 (1993) |
El traductor de Blumemberges | 1993년 | |
El sueño de Ginebraes | 1993년 | |
Concierto fatal de la viuda Kolakowskies | 1994년 | |
El hombre de oroes | 1996년 | |
Cartas de amor a Stalines | 1997년 | |
El jardín quemadoes | 1999년 | |
Angelus Novuses | 1999년 | |
El Gordo y el Flacoes | 2001년 | |
Alejandro y Anaes | 2002년 | 후안 카베스타니와 공동 작업 |
Sonámbuloes | 2003년 | |
Palabra de perroes | 2003년 | |
Himmelweg. Camino del cieloes | 2003년 | |
Animales nocturnoses | 2003년 | |
Últimas palabras de Copito de Nievees | 2004년 | |
Hamelines | 2005년 | 국립연극상, 막스상 수상 |
Jobes | 2006년 | |
맨 끝줄 소년 (El chico de la última filaes) | 2006년 | [5] 막스상 수상 |
Fedraes | 2007년 | |
La paz perpetuaes | 2007년 | |
Primera noticia de la catástrofees | 2007년 | |
다윈의 거북이 (La tortuga de Darwines) | 2008년 | 막스상 수상 |
El cartógrafoes | 2009년 | [6] |
Los yugoslavoses | 2010년 | |
El elefante ha ocupado la catedrales | 2011년 | |
La lengua en pedazoses | 2011년 | |
El crítico (Si supiera cantar, me salvaría)es | 2012년 | [7] |
Penumbraes | 후안 카베스타니와 공동 작업 | |
El arte de la entrevistaes | 2014년 | [8] |
Famélicaes | 2014년 | [9] |
Reikiavikes | 2015년 | 보리스 스파스키와 바비 피셔의 대결에 관한 연극.[4] 2023년 BBC 라디오 3에서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 |
Amistades | 2017년 | |
El magoes | 2017년 | |
La intérpretees | 2018년 | |
Intensamente azuleses | 2018년 | |
Shock 1 (el cóndor y el puma)es | 2020년 | 후안 카베스타니, 알베르트 보로낫, 안데스 리마와 공동 작업 |
Shock 2 (la tormenta y la guerra)es | 2021년 | 후안 카베스타니, 알베르트 보로낫, 안데스 리마와 공동 작업 |
Silencioes | 2022년 | 스페인 왕립 학술원에서의 수락 연설을 바탕으로 함 |
El Golemes | 2022년 | |
María Luisaes | 2023년 | |
La colecciónes | 2024년 |
이 외에도 마요르가는 스페인이나 다른 나라의 고전을 각색하여 무대에 올리기도 한다.
3. 2. 대표작 분석
후안 마요르가의 대표작은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초연 연도 | 작품명(원제) | 작품명(한국어 번역) | 비고 |
---|---|---|---|
1989 | Siete hombres buenos | <일곱 명의 선한 사람들> | |
1993 | Más ceniza | <더 많은 재> | 1992년 칼데론 데 라 바르카 상 수상 |
1993 | El traductor de Blumemberg | ||
1993 | El sueño de Ginebra | ||
1994 | Concierto fatal de la viuda Kolakowski | ||
1996 | El hombre de oro | ||
1997 | Cartas de amor a Stalin | <스탈린에게 보내는 사랑의 편지> | |
1999 | El jardín quemado | ||
1999 | Angelus Novus | ||
2000 | El Gordo y el Flaco | <뚱뚱이와 홀쭉이> | |
2002 | Alejandro y Ana | 후안 카베스타니와 공동 작업 | |
2003 | Sonámbulo | ||
2003 | Palabra de perro | ||
2003 | Himmelweg. Camino del cielo | <천국의 길> | |
2003 | Animales nocturnos | ||
2004 | Últimas palabras de Copito de Nieve | ||
2005 | Hamelin | <하멜린> | 국립연극상, 막스상 수상 |
2006 | Job | ||
2006 | El chico de la última fila | <맨 끝줄 소년> | 막스상 수상[5] |
2007 | Fedra | ||
2007 | La paz perpetua | <영원한 평화> | |
2007 | Primera noticia de la catástrofe | ||
2008 | La tortuga de Darwin | <다윈의 거북이> | 막스상 수상 |
2009 | El cartógrafo | [6] | |
2010 | Los yugoslavos | ||
2011 | El elefante ha ocupado la catedral | ||
2011 | La lengua en pedazos | ||
2012 | El crítico (Si supiera cantar, me salvaría) | [7] | |
Penumbra | 후안 카베스타니와 공동 작업 | ||
2014 | El arte de la entrevista | [8] | |
2014 | Famélica | [9] | |
2015 | Reikiavik | 레이캬비크 | 보리스 스파스키와 바비 피셔의 대결에 관한 연극. |
2017 | Amistad | ||
2017 | El mago | ||
2018 | La intérprete | ||
2018 | Intensamente azules | ||
2020 | Shock 1 (el cóndor y el puma) | 후안 카베스타니, 알베르트 보로낫, 안데스 리마와 공동 작업 | |
2021 | Shock 2 (la tormenta y la guerra) | 후안 카베스타니, 알베르트 보로낫, 안데스 리마와 공동 작업 | |
2022 | Silencio | 스페인 왕립 학술원에서의 수락 연설을 바탕으로 함 | |
2022 | El Golem | ||
2023 | María Luisa | ||
2024 | La colección |
마요르가는 스페인이나 다른 나라의 고전을 각색하여 무대에 올리기도 한다. 그의 작품들은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아랍어,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각 나라 무대에 소개되고 있다.
2015년 연극 ''레이캬비크''는 보리스 스파스키와 바비 피셔 사이의 아이슬란드 수도에서 열린 1972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를 재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라디오로 각색되어 2023년 BBC 라디오 3에서 방송되었다.[4]
참고: 막스(Max)상은 1998년부터 스페인 작가, 출판인협회 회원들이 같은 분야의 동료들을 격려하는 차원에서 한 해 동안 무대에 오른 공연물들 중 가장 우수한 작품을 투표로 결정해 주는 상이다. 이는 브로드웨이의 토니상, 영국의 올리버상에 해당되는 매우 권위 있는 상으로, 2009년에 후안 마요르가는 <다윈의 거북이>로 2006년과 2008년에 이어 수상했다.
4.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2005년 | <하멜린(Hamelin)>으로 국립연극상, 막스상 수상[10] |
2006년 | <맨 끝줄 소년(El chico de la ultima fila)>으로 막스상 수상[10] |
2008년 | <다윈의 거북이(La tortuga de Darwin)>로 막스상 수상[10] |
2009년 | <다윈의 거북이(La tortuga de Darwin)>로 막스상 수상[10] |
2013년 | 희곡 《산산이 부서진 혀》(La lengua en pedazos)로 스페인 국립 연극 문학상 수상[10] |
2016년 | 크라이오바에서 제13회 유럽 연극 현실상 수상[11] |
2022년 | 문학 부문 아스투리아스 공작 부인상 수상[13] |
막스(Max)상은 1998년부터 스페인 작가, 출판인협회 회원들이 같은 분야의 동료들을 격려하는 차원에서 한 해 동안 무대에 오른 공연물들 중 가장 우수한 작품을 투표로 결정해 주는 상이다. 이는 브로드웨이의 토니상, 영국의 올리버상에 해당되는 매우 권위 있는 상이다.
5. 작품 목록
발표년도 | 제목 | 비고 |
---|---|---|
1989 | Siete hombres buenos | |
1993 | Más ceniza | 칼데론 데 라 바르카 상 수상 |
1993 | El traductor de Blumemberg | |
1993 | El sueño de Ginebra | |
1994 | Concierto fatal de la viuda Kolakowski | |
1996 | El hombre de oro | |
1997 | Cartas de amor a Stalin | Cartas de amor a Stalin|스탈린에게 보내는 사랑의 편지es |
1999 | El jardín quemado | |
1999 | Angelus Novus | |
2001 | El Gordo y el Flaco | El Gordo y el Flaco|뚱뚱이와 홀쭉이es |
2002 | Alejandro y Ana | 후안 카베스타니와 공동 작업 |
2003 | Sonámbulo | |
2003 | Palabra de perro | |
2003 | Himmelweg. Camino del cielo | Himmelweg. Camino del cielo|천국의 길es |
2003 | Animales nocturnos | |
2004 | Últimas palabras de Copito de Nieve | |
2005 | Hamelin | Hamelin|하멜린es, 국립연극상, 막스상 수상 |
2006 | Job | |
2006 | 맨 끝줄 소년 | El chico de la última fila|맨 끝줄 소년es[5], 막스상 수상 |
2007 | Fedra | |
2007 | La paz perpetua | La paz perpetua|영원한 평화es |
2007 | Primera noticia de la catástrofe | |
2008 | 다윈의 거북이 | La tortuga de Darwin|다윈의 거북이es[6], 막스상 수상 |
2009 | El cartógrafo | |
2010 | Los yugoslavos | |
2011 | El elefante ha ocupado la catedral | |
2011 | La lengua en pedazos | |
2012 | El crítico (Si supiera cantar, me salvaría) | [7] |
Penumbra | 후안 카베스타니와 공동 작업 | |
2014 | El arte de la entrevista | [8] |
2014 | Famélica | [9] |
2015 | Reikiavik | Reikiavik|레이캬비크es, 보리스 스파스키와 바비 피셔의 대결에 관한 연극. |
2017 | Amistad | |
2017 | El mago | |
2018 | La intérprete | |
2018 | Intensamente azules | |
2020 | Shock 1 (el cóndor y el puma) | 후안 카베스타니, 알베르트 보로낫, 안데스 리마와 공동 작업 |
2021 | Shock 2 (la tormenta y la guerra) | 후안 카베스타니, 알베르트 보로낫, 안데스 리마와 공동 작업 |
2022 | Silencio | 스페인 왕립 학술원에서의 수락 연설을 바탕으로 함 |
2022 | El Golem | |
2023 | María Luisa | |
2024 | La colección |
그의 작품들은 영어, 프랑스어는 물론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아랍어,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각 나라 무대에 소개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Words, Images and Performances in Translation
2012
[2]
웹사이트
Festival of Spanish Theatre in London (''Festelón'')
https://www.britishs[...]
[3]
웹사이트
El dramaturgo y director teatral Juan Mayorga, nuevo académico de la Lengua
https://www.larazon.[...]
2018-04-12
[4]
웹사이트
Reykjavik
https://www.bbc.co.u[...]
[5]
웹사이트
'[i]El chico de la última fila[/i]: un inteligente análisis sobre la educación en la época posmoderna'
https://www.elimparc[...]
2024-08-29
[6]
웹사이트
El cartógrafo, de Juan Mayorga: el ángel de la Historia ante la barbarie
https://www.elimparc[...]
2024-08-29
[7]
웹사이트
'“El crítico”, de Juan Mayorga: la contabilidad B de la vida'
https://www.elimparc[...]
2024-08-29
[8]
뉴스
Demonios en el jardín
https://elpais.com/c[...]
2014-03-22
[9]
웹사이트
Famélica, de Juan Mayorga: la revolución delirante
https://www.elimparc[...]
2024-08-29
[10]
웹사이트
Juan Mayorga, galardonado con el Premio Nacional de Literatura Dramática
https://www.elconfid[...]
2013-11-12
[11]
웹사이트
XV EDIZIONE
https://www.premioeu[...]
2023-01-11
[12]
웹사이트
Catalogue XV edition - Europe Theatre Prize
https://archivio.pre[...]
[13]
웹사이트
Juan Mayorga, Premio Nacional de Teatro 2007
https://www.eldiario[...]
2024-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