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은 중세 한국어에서 사용된 자음 분류로, 현대 음성학의 치경음과 치경구개음에 해당한다. 치두음에는 ᄼ, ᄽ, ᅎ, ᅏ, ᅔ가, 정치음에는 ᄾ, ᄿ, ᅐ, ᅑ, ᅕ가 있으며, 각각 /s/, /z/, /ts/, /dz/, /tsʰ/와 /ɕ/, /ʑ/, /tɕ/, /dʑ/, /tɕʰ/의 음가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한글 자모 영역과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에 표기되며, 현대 한국어의 자음과는 다른 음운 체계를 이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훈민정음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훈민정음 - 정인지
    정인지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고려사 등을 편찬했으며, 계유정난에 가담하여 영의정을 역임했으나 단종 폐위에 가담한 행적으로 비판받았다.
  • 옛 한글이 사용된 문서 - 황제
    황제는 진시황에서 유래한 최고 통치자 칭호로, 동양에서는 천자의 개념과 연결되었고 서양에서는 로마 황제의 칭호에서 유래했으며,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호칭과 의미를 지녔으나 현재는 일본 천황만이 유일하게 그 칭호를 유지하고 있다.
  • 옛 한글이 사용된 문서 - 외래어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유입되어 특정 언어에 정착한 단어 또는 표현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발음, 의미, 형태 등이 변화하고 외국어, 차용어, 부분 바꿈, 번역 차용, 신조어, 뜻 차용 등의 형태로 수용되면서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기도 하며, 각 언어는 외래어 수용에 대한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외래어 순화 운동을 통해 사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 특수 문자 - 양곤
    양곤은 미얀마의 최대 도시이자 과거 수도로, 6세기 몬족의 작은 어촌에서 시작되어 알라웅파야 왕에 의해 개명 및 확장되었고, 영국령 버마의 수도를 거쳐 현재는 미얀마의 상업, 경제, 문화 중심지이지만 2005년 행정 수도가 네피도로 이전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 불교 사원과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최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특수 문자 - 황제
    황제는 진시황에서 유래한 최고 통치자 칭호로, 동양에서는 천자의 개념과 연결되었고 서양에서는 로마 황제의 칭호에서 유래했으며,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호칭과 의미를 지녔으나 현재는 일본 천황만이 유일하게 그 칭호를 유지하고 있다.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
개요훈민정음에서 사용된 자음 분류의 하나로, 치음을 두 종류로 나눈 것이다.
치두음잇소리(齒音) 중 혓부리가 입천장과 닿는 소리.
정치음잇소리(齒音) 중 혓날이 윗잇몸과 닿는 소리.
훈민정음 해례본에서의 설명
정인지 서문"牙舌脣齒喉 五音之正也 唯齒音分而爲二" (아설순치후, 이 다섯 소리가 제 소리인데, 오직 잇소리만 나누어 둘이 된다.)
예시"齒音有 Tz C S Z Ch 五字 此所謂齒音分而爲二也" (잇소리에 ᅐ, ᄎ, ᄉ, ᄌ, location자 다섯 글자가 있으니, 이것이 이른바 잇소리를 나누어 둘이 한다는 것이다.)
현대 음운론에서의 해석
치두음권설음, 즉 설첨음이 연구개음화된 소리 ([ʈ͡ʂ], [ʈ͡ʂʰ], [ʂ], [ʐ]).
정치음치경구개음 ([t͡ɕ], [t͡ɕʰ], [ɕ], [ʑ]).

2. 종류

중세 한국어의 치음에는 ㅅ, ㅆ, ㅈ, ㅉ, ㅊ이 있었다. 치두음에는 ᄼ, ᄽ, ᅎ, ᅏ, ᅔ이 있었고, 정치음에는 ᄾ, ᄿ, ᅐ, ᅑ, ᅕ이 있었다.

2. 1. 치음

첫소리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의 첫소리ᄼU+113CᄼU+F7D4ᄽU+113DᄽU+F7D5ᄾU+113EᄾU+F7D6ᄿU+113FᄿU+F7D7ᅎU+114EᅎU+F7ECᅏU+114FᅏU+F7EDᅐU+1150ᅐU+F7EEᅑU+1151ᅑU+F7EFᅔU+1154ᅔU+F7F3ᅕU+1155ᅕU+F7F4


2. 2. 치두음

첫소리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의 첫소리ᄼU+113CᄼU+F7D4ᄽU+113DᄽU+F7D5ᅎU+114EᅎU+F7ECᅏU+114FᅏU+F7EDᅔU+1154ᅔU+F7F3


2. 3. 정치음

정치음은 현대 음성학의 치경구개음에 해당하며, ᄾ, ᄿ, ᅐ, ᅑ, ᅕ 등이 있다. 닿소리의 이름은 각각 '''정치음시옷''', '''정치음쌍시옷''', '''정치음지읒''', '''정치음쌍지읒''', '''정치음치읓'''이다.

정치음의 유니코드
한글 자모 영역의 첫소리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의 첫소리
U+113EᄾU+F7D6
U+113FᄿU+F7D7
U+1150ᅐU+F7EE
U+1151ᅑU+F7EF
U+1155ᅕU+F7F4


3. 음가(소릿값)

첫소리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의 첫소리ᄼU+113CᄼU+F7D4ᄽU+113DᄽU+F7D5ᄾU+113EᄾU+F7D6ᄿU+113FᄿU+F7D7ᅎU+114EᅎU+F7ECᅏU+114FᅏU+F7EDᅐU+1150ᅐU+F7EEᅑU+1151ᅑU+F7EFᅔU+1154ᅔU+F7F3ᅕU+1155ᅕU+F7F4


4. 표기

치두음과 정치음에 사용되는 옛한글 자모와 그에 대응하는 현대 음성학의 음소는 다음과 같다.

치음
치두음
음소/s//z//ts//dz//tsʰ/
정치음
음소/ɕ//ʑ//tɕ//dʑ//tɕʰ/



각 자모의 이름은 '치두음시옷'(ᄼ), '치두음쌍시옷'(ᄽ), '치두음지읒'(ᅎ), '치두음쌍지읒'(ᅏ), '치두음치읓'(ᅔ), '정치음시옷'(ᄾ), '정치음쌍시옷'(ᄿ), '정치음지읒'(ᅐ), '정치음쌍지읒'(ᅑ), '정치음치읓'(ᅕ)이다.

4. 1. 한글 자모 영역

치두음과 정치음은 각각 현대 음성학의 치경음치경구개음에 해당한다. 닿소리의 이름은 각각 '''치두음시옷''', '''치두음쌍시옷''', '''치두음지읒''', '''치두음쌍지읒''', '''치두음치읓''', '''정치음시옷''', '''정치음쌍시옷''', '''정치음지읒''', '''정치음쌍지읒''', '''정치음치읓'''이다.

옛한글 자모 영역의 치두음과 정치음 첫소리(초성)
한글 자모 영역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U+113CᄼU+F7D4
U+113DᄽU+F7D5
U+113EᄾU+F7D6
U+113FᄿU+F7D7
U+114EᅎU+F7EC
U+114FᅏU+F7ED
U+1150ᅐU+F7EE
U+1151ᅑU+F7EF
U+1154ᅔU+F7F3
U+1155ᅕU+F7F4


4. 2.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첫소리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의 첫소리ᄼU+113CᄼU+F7D4ᄽU+113DᄽU+F7D5ᄾU+113EᄾU+F7D6ᄿU+113FᄿU+F7D7ᅎU+114EᅎU+F7ECᅏU+114FᅏU+F7EDᅐU+1150ᅐU+F7EEᅑU+1151ᅑU+F7EFᅔU+1154ᅔU+F7F3ᅕU+1155ᅕU+F7F4


5. 역사

(이전 단계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결과물이 없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