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흠자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흠자황후는 북송 신종의 후궁으로, 휘종의 생모이다. 1058년 개봉에서 태어났으며, 인종의 딸 복강공주의 시녀로 입궁했다가 신종의 총애를 받아 재인, 미인으로 봉해졌다. 신종 사후 슬픔에 잠겨 1089년 사망했으며, 철종에 의해 귀의로 추봉되고, 휘종 즉위 후 황태비로 추존되었다. 1101년에는 황태후로 추존되어 흠자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신종의 능에 합장되었다. 휘종은 외가에 벼슬을 내리는 등 가문을 우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황태후 - 현숙황후
    북송 휘종의 황후인 현숙황후는 흠성황후의 시녀였으나 뛰어난 용모와 시재로 휘종의 총애를 받아 황후가 되었고,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끌려가 포로 생활을 하다 오국성에서 사망 후 휘종과 함께 영우릉에 합장되었다.
  • 1089년 사망 -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드미타르 즈보니미르는 1075년부터 1089년까지 크로아티아를 통치한 왕으로, 교황과의 동맹을 통해 그레고리오 개혁을 추진하고 노예제를 폐지하는 등 여러 정책을 도입했으나 의문사했으며, 그의 죽음 이후 크로아티아는 정치적 혼란에 빠졌다.
  • 1089년 사망 - 베드로 이네우스
    11세기 중반의 추기경 베드로 이네우스는 피렌체 귀족 출신 수도사로, '불의 심판'을 통해 '이네우스'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교황 사절로서 교회 개혁과 황제와의 갈등 중재에 힘썼고 교황 선거에도 참여했다.
  • 1058년 출생 - 보에몽 1세
    보에몽 1세는 1차 십자군에 참여하여 안티오키아 공국을 건설하고 지도자가 되었으나, 다니슈멘드에게 패배하여 포로가 되기도 했으며, 동로마 제국 공격에 실패한 후 사망했다.
  • 1058년 출생 - 보두앵 1세 (예루살렘)
    보두앵 1세는 11세기 후반에 태어나 12세기 초반에 사망한 예루살렘 왕국의 두 번째 왕으로, 십자군에 참여하여 에데사 백국을 건설한 후 형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왕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안정화하는 데 기여했다.
흠자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명진비(陳妃)
한어 병음Chén Fēi
정배 칭호북송 추증 황후
다른 칭호흠자황후(欽慈皇后)
흠자태후(欽慈太后)
출생일지화(至和) 원년(1054년)
출생지개봉부상부현
사망일원우(元祐) 4년 6월 28일 (1089년 8월 7일)
사망지개봉부(開封府)
배우자신종(神宗)
자녀휘종(徽宗)
아버지진수귀(陳守貴)
흠자황후 정보
(알 수 없음)
별호미인(美人)
황태비(皇太妃)
황태후(皇太后)
시호흠자(欽慈)
출생년도 (별도출처)가우(嘉祐) 3년(1058년)
사망일 (별도출처)원우(元祐) 4년 6월 26일 (1089년 8월 5일)
능묘영유릉(永裕陵)

2. 생애

1085년 신종이 붕어하자 신종의 무덤인 영유릉을 지키며 신종을 그리워하며 지나치게 슬퍼하다가 몸이 쇠약해졌다. 시녀가 약이나 죽을 올리면 이를 물리고 "빨리 선제 곁에서 모시고 싶다"고 말하며 1089년 3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3]

사망 후 철종은 귀의(貴儀)로 진봉하였으며, 휘종이 즉위하자 황태비(皇太妃)로 추존하였다. 1101년 신종의 황후인 황태후 상씨가 붕어하면서 유언으로 휘종에게 생모를 황태후로 추존할 것을 명했고, 황태후로 추존되면서 '''''흠자'''''(欽慈)'의 시호를 받고 신종의 능인 영유릉에 배장되었다. 이후 휘종은 외할아버지인 진수귀를 태위로 추증하고 외숙부인 진영성과 진영청, 외사촌인 진중견에게 벼슬을 내려주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성은 진씨(陳氏)이며 이름은 전하지 않는다. 1058년 개봉부상부현의 서민이었던 진수귀(陳守貴)의 딸로 개봉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자색이 아름다웠고, 총명하며 장중하였기 때문에 궁녀로 입궁하여 인종의 장녀인 복강공주의 시녀가 되었다.[4][3]

2. 2. 입궁과 복강공주의 시녀

성은 진씨(陳氏)이며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1058년 진수귀(陳守貴)의 딸로 개봉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용모가 아름다웠고 총명하며 침착하였기 때문에 궁녀로 입궁하여 인종의 장녀인 복강공주의 시녀가 되었다.[4][3]

2. 3. 신종의 눈에 띄어 후궁이 되다

1058년 진수귀(陳守貴)의 딸로 개봉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아름다운 용모와 총명함, 침착함으로 궁녀가 되어 인종의 장녀인 복강공주를 모셨다.[4][3] 이후 신종의 눈에 띄어 1082년 재인(才人)으로 진봉되었고, 같은 해 11월 아들 조길(趙佶)을 낳아 미인(美人)으로 진봉되었다.[4][3]

2. 4. 신종 붕어 후

1085년 신종이 붕어하자 흠자황후는 신종의 무덤인 영유릉을 지키며 신종을 그리워하며 지나치게 슬퍼하였고, 이로 인해 몸이 쇠약해졌다. 시녀가 약이나 죽을 올리면 이를 물리고 "빨리 선제 곁에서 모시고 싶다"고 말하며 1089년 3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3] 흠자황후가 사망하자 철종은 흠자황후를 귀의(貴儀)로 진봉하였다.

3. 사후 추존

진씨는 1089년 3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3] 철종은 진씨가 사망하자 귀의(貴儀)로 추봉하였고, 휘종 즉위 후에는 황태비(皇太妃)로 추존하였다. 1101년 상씨가 붕어하면서 유언으로 휘종에게 생모를 황태후로 추존할 것을 명했고, 이에 따라 황태후로 추존되면서 '''''흠자'''''(欽慈)라는 시호를 받고 신종의 능인 영유릉에 배장되었다. 이후 휘종은 외할아버지 진수귀를 태위로 추증하는 등 외가에 벼슬을 내렸다.

3. 1. 귀의로 추봉

철종은 진미인이 사망하자 귀의(貴儀)로 추봉하였다.[4][3]

3. 2. 황태후로 추존

陳氏|진씨중국어는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1089년 진미인이 사망하자 철종은 귀의(貴儀)로 진봉하였으며,[4][3] 휘종이 즉위한 후에는 황태비(皇太妃)로 추존하였다. 1101년 신종의 황후인 황태후 상씨가 붕어하면서 남긴 유언에 따라 휘종은 생모를 황태후로 추존하였고, '''''흠자'''''(欽慈)라는 시호를 받아 신종의 능인 영유릉에 함께 안장되었다.[4][3] 이후 휘종은 외할아버지 진수귀를 태위로 추증하고, 외숙부 진영성과 진영청, 외사촌 진중견에게 벼슬을 내렸다.

3. 3. 가족들의 작위 추증

1101년 신종의 황후인 흠성헌숙황후 상씨가 붕어하면서 휘종에게 생모를 황태후로 추존할 것을 유언으로 남겼고, 이에 따라 휘종의 생모인 진씨는 황태후로 추존되면서 '''''흠자'''''(欽慈)라는 시호를 받았다. 이후 휘종은 외할아버지인 진수귀를 태위로 추증하고, 외숙부인 진영성과 진영청, 외사촌인 진중견에게 벼슬을 내렸다.[4]

참조

[1] 서적 흠자진황후(欽慈陳皇后) 《송사》(宋史) 권243 〈열전〉(列傳) 제2 후비(后妃) 하
[2] 서적 흠자황후 진씨(欽慈皇后 陳氏) 《송회요집고》(宋會要輯稿) 〈후비〉(后妃) 1
[3] 문서
[4] 서적 흠자진황후(欽慈陳皇后) 《송사》(宋史) 권243 〈열전〉(列傳) 제2 후비(后妃) 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