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송 인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송 인종은 1010년에 태어나 1063년에 사망한 북송의 황제이다. 12세에 즉위하여 장헌황후 유씨의 섭정을 받았으며, 1027년 친정을 시작했다. 재위 기간 동안 서하와의 전쟁, 경력 신정으로 알려진 개혁 시도, 문화적 번영을 겪었다. 인종은 1063년 아들 없이 사망했으며, 송 영종이 그의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태보 - 북송 진종
북송의 제3대 황제인 진종은 문치주의 정책 추진, 과거 제도 정비, 황제 독재 권력 강화, 요나라와의 전연의 맹 체결, 참파 벼 도입, 도교 장려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 송나라의 태보 - 조백규
조백규는 남송 효종 시대의 관료로 명주 지주, 연해제치사 등을 지냈고, 광종 즉위 후 태사, 판대종정사에 임명되었으며 사후 숭왕으로 추봉, 원나라 화가 조맹부의 선조이다. - 1063년 사망 - 벨러 1세
벨러 1세는 아르파드 왕조 출신으로 11세기 헝가리의 국왕이었으며, 폴란드 망명 후 왕위에 올랐으나 사고로 사망하여 솔로몬에게 왕위가 계승되었다. - 1063년 사망 - 토그릴 베그
투그릴 베그는 셀주크 제국의 창시자이자 초대 술탄으로, 가즈나 왕조를 격파하고 셀주크 왕조를 창시, 호라산 지방을 지배했으며, 아바스 왕조 칼리프에게 술탄 칭호를 받고 부와이 왕조를 무너뜨려 광대한 영토를 다스렸다.
북송 인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조진(趙禎) |
다른 이름 | 조수익(趙受益) |
묘호 | 인종(仁宗) |
시호 | 체천법도극공전덕신문성무예철명효황제(體天法道極功全德神文聖武睿哲明孝皇帝) (1083년 추증) |
능묘 | 영소릉(永昭陵) |
출생 | 1010년 5월 30일 |
사망 | 1063년 4월 30일 |
아버지 | 진종 |
어머니 | 이신비 |
재위 | |
즉위 | 1022년 3월 24일 |
폐위 | 1063년 4월 30일 |
선대 황제 | 진종 |
후대 황제 | 영종 |
섭정 | 유황후 (1022년~1033년) |
배우자 | |
배우자 | 곽황후 (1024년 결혼, 1033년 폐위) 자성광헌황후 조씨 (1033년 결혼, 1063년 사망) 문성황후 장씨 (1054년 사망) |
자녀 | |
자녀 | 장효공주 영덕공주 현의공주 의목공주 |
참고 | 더 많은 자녀 정보는 가족 섹션 참고 |
연호 | |
연호 | 천성(天聖): 1023년 ~ 1032년 명도(明道): 1032년 ~ 1033년 경우(景祐): 1034년 ~ 1038년 보원(寶元): 1038년 ~ 1040년 강정(康定): 1040년 ~ 1041년 경력(慶曆): 1041년 ~ 1048년 황우(皇祐): 1049년 ~ 1053년 지화(至和): 1054년 ~ 1056년 가우(嘉祐): 1056년 ~ 1063년 |
가계 | |
왕조 | 조씨 |
서명 | |
![]() |
2. 생애
1010년 음력 4월 14일 진종과 후궁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나 황후 유씨를 생모로 알고 자랐다. 위로 다섯 형이 있었으나 모두 요절했고, 아홉 살에 태자로 책봉되었다.[16]
1022년 13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하였으나 나이가 어려 황태후 유씨가 섭정으로 실권을 행사했다.[16] 1033년까지 수렴청정이 행해졌다. 영민한 황제로 평가받았으며, 많은 인재를 등용했다.
1041년 서하군이 송나라 영토 근처에 집결해 호수천에서 양국 간 전투가 벌어졌는데, 송군이 패배해 전사자가 1만 3천 명에 달했다. 그 후 2년 여간 전쟁이 계속되었는데, 송나라와 요나라가 강화를 맺고 서하의 병사와 백성들이 느끼는 전쟁의 피로가 커지는 등 전황이 서하군에 유리하지 않게 되자 서하에서는 송나라에 강화를 요청했다. 송나라는 서하와 요나라와의 동맹을 우려하여 서하의 강화 교섭을 받아들였다.
1044년 송이 서하에게 매년 조공을 바치는 대신 서하에서는 송나라의 황제를 인정하고 신하의 나라가 되는 조건으로 강화를 맺었다. 서하의 황제는 하국왕(夏國王)에 봉해졌고, 송나라는 평화유지를 위해, 사실상 공물에 해당하는 비단 13만 필, 은 5만 냥, 차 2만근을 매년 서하국에 보내기로 하였다.
당시에는 문치주의에 편중되어 군사력이 약화되어, 서하 등의 압박을 받는 등 대외적으로 위기적인 상황이었다. 인종은 송나라의 상비군 강화 등 군사력 증강을 추진하는 한편, 서하와 요에 은을 비롯한 공물을 헌납하여 우호 관계를 유지하는 외교를 펼쳤다. 그러나 이러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무거운 부세를 백성들에게 강요하게 되었고, 농촌 황폐화와 민중 반란을 야기했다.
불안이 고조되는 사회를 개혁하기 위해, 개혁을 요구하는 당파도 출현하여, 후일 신법·구법의 다툼으로 대표되는 권력 투쟁의 원형을 형성한 시대이기도 하다.
1063년 인종이 대를 이을 아들을 두지 못하고 병사하자 영종이 즉위하였다. 인종 치세 시대는 '''경력의 치'''라고 칭해진다.
인종은 1024년 성문예무인명효덕황제(聖文睿武仁明孝德皇帝)라는 존호를 받았고, 1033년 예성문무체천법도인명효덕황제(睿聖文武體天法道仁明孝德皇帝), 1035년 체천법도흠문총무성신효덕황제(體天法道欽文聰武聖神孝德皇帝)로 존호를 개정했다. 사후 시호는 신문성무명효황제(神文聖武明孝皇帝)이며, 1083년 '''체천법도극공전덕신문성무예철명효황제'''(體天法道極功全德神文聖武睿哲明孝皇帝)로 추시되었다. 묘호는 '''인종'''(仁宗)이며, 능은 영소릉이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1010년 음력 4월 14일 진종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나, 유씨를 생모로 알고 자랐다. 위로 다섯 형이 있었으나 모두 요절하여 1015년 경국공(慶國公)에 봉해졌고, 1019년 태자로 책봉되었다.[16]1022년 13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하였으나 나이가 어려 황태후 유씨가 섭정으로 실권을 행사했다.[16] 1027년 친정을 할 수 있는 나이가 되었지만, 황태후 유씨는 1033년 사망할 때까지 섭정을 계속했다.
2. 2. 친정과 치세
인종의 치세는 송나라의 전성기였지만, 동시에 쇠퇴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이기도 했다.[1] 인종은 1022년 아버지 진종의 뒤를 이어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1033년까지 수렴청정을 받았다. 영민한 황제로 평가받은 그는 많은 인재를 등용했다.인종은 1040년부터 1045년까지 경력 신정(慶曆新政)으로 알려진 개혁을 시도했다.[1] 범중엄, 부필, 한기, 구양수 등이 주도한 이 개혁은 농업 생산력 강화, 토지 개간, 하급 관리 행정 단위 축소, 지방 민병대 조직, 군사비 절감을 통한 국방 강화를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정부 내 보수 세력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철회되었다.[1]
인종의 치세 동안 송나라는 문화적, 문학적 번영을 누렸다. 안수, 범중엄, 구양수, 매요신 등 중국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문인들이 이 시기에 활동했다. 1057년 과거 시험에서는 증공, 소식, 소철 등 훗날 중국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문인들이 대거 합격했다.[7]
인종은 공자의 46대손을 연성공으로 승격시켜, 그들의 지위를 높였다.[3]
인종의 치세 동안 중국은 천문학, 인쇄술, 농업, 공학, 군사 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과학 기술 발전을 이루었다.[4] 특히, 1040년경 비성(畢昇)이 발명한 활판 인쇄술은 중요한 혁신이었다.[5] 1054년, 중국 천문학자들은 초신성 폭발(SN 1054)을 기록했다.[6]
인종 시대는 문치주의로 인해 군사력이 약화되어 서하 등의 압박을 받는 등 대외적으로 위기 상황이었다. 인종은 군사력 강화를 추진하는 한편, 서하와 요에 공물을 바쳐 우호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이는 백성들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게 만들었고, 농촌 황폐화와 민중 반란을 야기했다. 이러한 사회 불안 속에서 개혁을 요구하는 당파가 출현하여, 훗날 신법·구법의 다툼으로 이어지는 권력 투쟁의 원형을 형성했다.
1063년 인종은 후사 없이 사망하였고, 영종이 제위를 계승했다. 인종의 치세는 '''경력의 치'''로 칭해진다.
인종 시대의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는 다음과 같다.
순서 | 이름 | 재임기간 | 칭호 | 자(字) | 봉호 | 시호 |
---|---|---|---|---|---|---|
1 | 정위 (丁謂) | 1022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 위지 (謂之) | 진국공 (晉國公) | - |
2 | 풍증 (馮拯) | 1022년 ~ 1023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 도제 (道濟) | 위국공 (魏國公) | 문의 (文懿) |
3 | 왕증 (王曾) | 1022년 ~ 1029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효선 (孝先) | 기국공 (沂國公) | 문정 (文正) |
4 | 왕흠약 (王欽若) | 1023년 ~ 1025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정국 (定國) | 기국공 (冀國公) | 문목 (文穆) |
5 | 장지백 (張知白) | 1025년 ~ 1028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용회 (用晦) | - | 문절 (文節) |
6 | 장사손 (張士遜) | 1028년 ~ 1029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순지 (順之) | 등국공 (鄧國公) | 문의 (文懿) |
7 | 여이간 (呂夷簡) | 1029년 ~ 1033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탄부 (坦夫) | 허국공 (許國公) | 문정 (文靖) |
8 | 장사손 (張士遜) | 1032년 ~ 1033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순지 (順之) | 등국공 (鄧國公) | 문의 (文懿) |
9 | 이적 (李迪) | 1033년 ~ 1035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복고 (復古) | - | 문정 (文定) |
10 | 여이간 (呂夷簡) | 1033년 ~ 1037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탄부 (坦夫) | 허국공 (許國公) | 문정 (文靖) |
11 | 왕증 (王曾) | 1035년 ~ 1037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효선 (孝先) | 기국공 (沂國公) | 문정 (文正) |
12 | 왕수 (王隨) | 1037년 ~ 1038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자정 (子正) | - | 문혜 (文惠) |
13 | 진요좌 (陳堯佐) | 1037년 ~ 1038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희원 (希元) | - | 문혜 (文惠) |
14 | 장사손 (張士遜) | 1038년 ~ 1040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순지 (順之) | 등국공 (鄧國公) | 문의 (文懿) |
15 | 장득상 (章得象) | 1038년 ~ 1045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희언 (希言) | 순국공 (郇國公) | 문간 (文簡) |
16 | 여이간 (呂夷簡) | 1040년 ~ 1043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탄부 (坦夫) | 허국공 (許國公) | 문정 (文靖) |
17 | 안수 (晏殊) | 1042년 ~ 1044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동숙 (同叔) | 임치공 (臨淄公) | 원헌 (元獻) |
18 | 두연 (杜衍) | 1044년 ~ 1045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세창 (世昌) | 기국공 (祁國公) | 정헌 (正獻) |
19 | 가창조 (賈昌朝) | 1045년 ~ 1047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자명 (子明) | 위국공 (魏國公) | 문원 (文元) |
20 | 진집중 (陳執中) | 1045년 ~ 1049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소예 (昭誉) | 기국공 (岐國公) | 공 (恭) |
21 | 문언박 (文彦博) | 1048년 ~ 1051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참지정사(參知政事)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관부 (寬夫) | 노국공 (潞國公) | 충렬 (忠烈) |
22 | 송상 (宋庠) | 1049년 ~ 1051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공서 (公序) | 정국공 (鄭國公) | 원헌 (元獻) |
23 | 방적 (龐籍) | 1051년 ~ 1053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순지 (醇之) | 영국공 (潁國公) | 장민 (莊敏) |
24 | 진집중 (陳執中) | 1053년 ~ 1055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소예 (昭誉) | 기국공 (岐國公) | 공 (恭) |
25 | 양적 (梁適) | 1053년 ~ 1054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참지정사(參知政事) | 중현 (仲賢) | - | 장숙 (莊肅) |
26 | 유항 (劉沆) | 1054년 ~ 1056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참지정사(參知政事) ↓ 감수국사(監修國史) | 충지 (冲之) | - | 문안 (文安) |
27 | 문언박 (文彦博) | 1055년 ~ 1058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관부 (寬夫) | 노국공 (潞國公) | 충렬 (忠烈) |
28 | 부필 (富弼) | 1055년 ~ 1061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언국 (彦國) | 한국공 (韓國公) | 문충 (文忠) |
29 | 한기 (韓琦) | 1058년 ~ 1063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치규 (稚圭) | 위군왕 (魏郡王) | 충헌 (忠獻) |
30 | 증공량 (曾公亮) | 1061년 ~ 1063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명중 (明仲) | 노국공 (魯國公) | 선정 (宣靖) |
인종은 1024년 성문예무인명효덕황제(聖文睿武仁明孝德皇帝)라는 존호를 받았고, 1033년 예성문무체천법도인명효덕황제(睿聖文武體天法道仁明孝德皇帝), 1035년 체천법도흠문총무성신효덕황제(體天法道欽文聰武聖神孝德皇帝)로 존호를 개정했다. 사후 시호는 신문성무명효황제(神文聖武明孝皇帝)이며, 1083년 '''체천법도극공전덕신문성무예철명효황제'''(體天法道極功全德神文聖武睿哲明孝皇帝)로 추시되었다. 묘호는 '''인종'''(仁宗)이며, 능은 영소릉(永昭陵)이다.
2. 3. 죽음과 후계
1055년, 인종이 위독해지자 신하들의 조언에 따라 훗날 영종이 되는 조종실이 궁으로 들어와 태자로 책봉되었다.[7] 1063년, 인종은 후사 없이 사망했고, 사촌 조윤양(趙允讓)의 아들인 조종실(영종)이 황위를 계승했다.[7]인종의 죽음에 새로운 황제 영종부터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온 나라가 애도했다. 북쪽 국경 너머에서도 요 도종 황제와 백성들이 눈물을 흘리며 슬퍼했는데, 이는 인종 치세 동안 두 나라가 42년 동안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를 누렸기 때문이다.[7]
3. 대외 관계
인종은 서하와 요에 은을 비롯한 공물을 헌납하여 우호 관계를 유지하는 외교를 펼쳤으나, 이를 위한 재원 확보를 위해 백성들에게 무거운 부세를 강요하여 농촌의 황폐화와 민중 반란을 야기했다.[1]
3. 1. 서하와의 관계
탕구트족이 세운 서하는 인종 재위 기간 동안 송나라 변경을 위협하는 주요 세력이었다. 1038년, 이원호는 스스로 대하의 황제라 칭하며 송나라에 자신을 동등한 존재로 인정할 것을 요구했다.[1] 송 조정은 이원호를 지사로는 인정했지만, 황제로는 인정하지 않았다.[1]1041년 호수천(好水川) 전투에서 송군이 서하군에게 패배하여 1만 3천 명이 전사했다. 이후 2년여 간의 전쟁 끝에, 1044년 송나라는 서하에 매년 조공을 바치는 대신 서하가 송나라 황제를 인정하고 신하의 나라가 되는 조건으로 강화를 맺었다.[1] 서하 황제는 하국왕(夏國王)에 봉해졌고, 송나라는 평화 유지를 위해 비단 13만 필, 은 5만 냥, 차 2만 근을 매년 서하에 보내기로 했는데, 이는 사실상 공물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3. 2. 요나라와의 관계
인종은 즉위 초기에 군사력을 강화하는 칙령을 내리고, 거란이 세운 요나라에 막대한 뇌물을 제공하여 서하를 견제하고자 하였다.[1] 이는 송 제국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이었으나, 막대한 재정 부담을 초래했다.[1] 세금이 가혹하게 인상되었고 농민들은 영구적인 빈곤 상태에 놓이게 되어, 전국적으로 조직적인 반란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었다.[1]4. 인물 및 평가
인종은 천성이 너그럽고 검소했으며,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려 노력한 군주로 평가받는다.[16] 낡은 옷을 입고 지낼 만큼 검소했으며,[16] 각지에서 진상하는 산해진미도 먹지 않았다고 한다.[17] 신하들과의 연회상에 오른 동죽조개 100개의 가격이 2800냥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불쾌해하며 먹지 않았다는 일화가 전해진다.[17] 인종은 황후와 비빈의 사치 또한 용납하지 않았는데, 총애하던 장귀비의 처소에 귀한 도자기가 있는 것을 보고 화를 내며 도끼로 깨 버렸다는 기록이 있다.[17]
《송사》는 인종을 자비롭고, 관대하며, 겸손하고, 온화하며, 검소한 황제로 묘사하고 있다.[8] 소식은 인종 시대의 평화와 훌륭한 정치를 칭송하며, "70년 이상 동안 송나라는 전쟁의 위험을 알지 못하고 번영했으며, 부유함과 교육의 축복을 누렸다"고 언급했다. 송나라 유학자 범조우는 인종의 정치를 칭찬하며, 인종이 하늘을 두려워하고, 백성을 사랑하며,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배우기를 좋아하며, 충고에 순종하는 다섯 가지 미덕을 실천했다고 주장했다.[2]
현대 한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인종의 치세를 백성을 위한 정치, 문화적 번영, 과학 기술 발전 등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그의 치세 동안 발생한 군사력 약화, 서하와의 갈등, 과도한 재정 지출로 인한 민생 불안정 등은 비판적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5. 가족 관계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자녀 | 비고 | |
---|---|---|---|---|---|---|---|
1 | 양왕(楊王) | 회정(懷靖) | 조방 | 1037년 | 덕비 유씨 | [30] 조졸. | |
2 | 옹왕(雍王) | 도목(悼穆) | 조흔 | 1039년 ~ 1041년 | 묘귀비 | [31] 조졸. | |
3 | 형왕(荊王) | 도의(悼懿) | 조희 | 1041년 ~ 1043년 | 충의 주씨 | [32] 조졸. | |
양자 | 거록군공 (鉅鹿郡公) | 조종실 (조서) | 1032년 ~ 1067년 | 복안의왕 조윤양 (濮安懿王 趙允讓) 복왕부인 임씨 (濮王夫人 任氏) | 4남 4녀 | 제5대 황제 영종.[33] |
봉호(공주) | 봉호(제희)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비고 | |
---|---|---|---|---|---|---|---|---|
1 | 주진국대장공주 | 장효명의대장제희 | 장효명의 | 1038년 ~ 1071년 | 묘귀비 | 건무군절도사 이위 | [34] | |
2 | 서국대장공주 | 장화대장제희 | ? ~ 1042년 | 덕비 유씨 | [35] 요절. | |||
3 | 등국대장공주 | 장순대장제희 | ? ~ 1042년 | 온성황후 장씨 | [36] 요절. | |||
4 | 진국대장공주 | 장정대장제희 | 1042년 ~ 1043년 | 온성황후 장씨 | [37] 요절. | |||
5 | 초국대장공주 | 장희대장제희 | 1042년 ~ 1043년 | 현비 풍씨 | [38] 요절. | |||
6 | 상국대장공주 | 장선대장제희 | 1042년 | 덕비 양씨 | [39] 요절. | |||
7 | 노국대장공주 | 장이대장제희 | ? ~ 1043년 | 현비 풍씨 | [40] 출가 후 요절. | |||
8 | 당국대장공주 | 장신대장제희 | ? ~ 1045년 | 온성황후 장씨 | [41] 출가 후 요절. | |||
9 | 진국대장공주 | 장제대장제희 | 1059년 ~ 1067년 | 귀비 동씨 | [42] | |||
10 | 진노국대장공주 | 영덕경행대장제희 | 현목명의 | 1059년 ~ 1142년 | 주귀비 | 함녕군왕 전경진 | [43] 정강의 변 이후로 공주로 복호. | |
11 | 연국대장공주 | 현의공목대장제희 | 현의공목 | 1059년 ~ 1083년 | 귀비 동씨 | 요주관찰사 조시 | [44] | |
12 | 연서국대장공주 | 의목대장제희 | 의목 | 1060년 ~ 1112년 | 주귀비 | 무태군절도사 곽헌경 | [45] | |
13 | 예국대장공주 | 장엄대장제희 | 1061년 | 귀비 동씨 | [46] 요절. |
5. 1. 부모
5. 2. 황후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재위년도 | 생몰년도 | 국구(장인/장모) | 능묘 | 비고 |
---|---|---|---|---|---|---|---|---|
황후(皇后) | 곽씨(郭氏) | 1024년 ~ 1033년 | 1012년 ~ 1035년 | 충무군절도사(忠武軍節度使) | [19] | |||
황후(皇后) | 자성광헌황후 | 조씨(曹氏) | 1034년 ~ 1063년 | 1016년 ~ 1079년 | 오안희왕(吳安僖王) | 영소릉 | ||
미인(美人) | 장씨(張氏) | (추존) | ? ~ 1028년 | 등주관찰사(鄧州觀察使) | [21] | |||
귀비(貴妃) | 온성황후 | 장씨(張氏) | (추존) | 1024년 ~ 1054년 | 청하군경사왕(淸河郡景思王) | [22] |
'''후궁'''
- 황후 곽씨 (郭清悟皇后 郭氏중국어; 1012–1035)
- 자성황후 조씨 (慈聖皇后 曹氏중국어; 1016–1079)
- 온성황후 장씨 (溫成皇后 張氏중국어; 1024–1054)
- 소절귀비 묘씨 (昭節貴妃 苗氏중국어; 1017–1086)
- 소숙귀비 주씨 (昭淑貴妃 周氏중국어; 1022–1114)
- 소의귀비 장씨 (昭懿貴妃 張氏중국어)
- 숙비 동씨 (淑妃 董氏중국어; 사망 1062)
- 덕비 유씨 (德妃 兪氏중국어; 사망 1064)
- 덕비 양씨 (德妃 楊氏중국어; 1019–1073)
- 현비 봉씨 (賢妃 馮氏중국어)
- 재인 주씨 (才人 朱氏중국어)
- 정실: 황후(정비) 곽씨(폐위)
- 계실: 조황후
- 측실: 장귀비(추존)
- 측실: 장미인(증 황후)[9]
- 측실: 묘귀비
- 측실: 주귀비
- 측실: 장현비(추존)[10]
- 측실: 수의 양씨(추존)
- 측실: 충원 동씨(추존)
- 측실: 수용 풍씨(추존)
- 측실: 덕비 유씨
- 측실: 충의 주씨
- 측실: 미인 상씨(추존)
- 기타: 미인 여씨[11], 팽성현군 유씨[10], 안복현군 장씨[12], 인화현군 이씨[13], 양이행[14], 어시 경씨, 어시 황씨[15]
5. 3. 후궁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비고 |
---|---|---|---|---|---|
황후 | 곽씨 | 1012년 ~ 1035년 | |||
황후 | 자성황후 | 조씨 | 1016년 ~ 1079년 | ||
황후 | 온성황후 | 장씨 | 1024년 ~ 1054년 | ||
귀비 | 소절귀비 | 묘씨(苗氏) | 인수군군(仁壽郡君), 덕비(德妃) | 1017년 ~ 1086년 | 인종의 유모 |
귀비 | 소숙귀비 | 주씨(周氏) | 안정군군(安定郡君), 숙비(淑妃) | 1022년 ~ 1114년 | |
현비 | 소의귀비 | 장씨(張氏) | 연안군군(延安郡君), 충의(充儀) | ? ~ 1104년 | |
수의 | 덕비 | 양종묘(楊宗妙) | 원무군군(原武郡君), 숙비(淑妃) | 1019년 ~ 1073년 | |
수용 | 현비 | 풍씨(馮氏) | 시평군군(始平郡君) | ||
충원 | 귀비 | 동씨(董氏) | 문희현군(聞喜縣君), 완의(婉儀), 숙비(淑妃) | ? ~ 1062년 | |
소의 | 덕비 | 유씨(俞氏) | 연안군군(延安郡君), 현비(賢妃) | ? ~ 1064년 | |
첩여 | 충의(充儀) | 장씨(張氏) | |||
재인 | 미인(美人) | 양씨(楊氏) | |||
미인 | 충의 | 상씨(尙氏) | ? ~ 1050년 | ||
충의(充儀) | 주씨(朱氏) | ? ~ 1095년 | |||
첩여 | 연씨(連氏) | ||||
재인 | 장씨(張氏) | 온성황후의 동생. | |||
팽성현군 | 유도일(劉道一) | 허묘대사(虛妙大師) | 출가함. | ||
안복현군 | 장씨(張氏) | ||||
인화현군 | 이씨(李氏) | ||||
수국부인 | 왕씨(王氏) | [23] | |||
범관음(範觀音) | [24] | ||||
양역행(楊𡱿行) | 지정대사(志靜大師) | [25] | |||
유씨(劉氏) | [26] | ||||
황씨(黄氏) | [27] | ||||
한충(韓虫) | 충아(虫儿) | [28] | |||
왕덕용이 보낸 노비[29] |
- 정실: 황후 곽씨 (폐위)
- 계실: 조황후
- 측실: 장귀비 (증 온성황후)
- 측실: 장미인 (증 황후)[9]
- 측실: 묘귀비
- 측실: 주귀비
- 측실: 장현비 (증 소의귀비)[10]
- 측실: 수의 양씨 (증 덕비)
- 측실: 충원 동씨 (증 귀비)
- 측실: 수용 풍씨 (증 현비)
- 측실: 덕비 유씨
- 측실: 미인 상씨 (증 충의)
- 측실: 충의 주씨
- 기타: 미인 여씨[11], 팽성현군 유씨[10], 안복현군 장씨[12], 인화현군 이씨[13], 양이행[14], 어시 경씨, 어시 황씨[15]
5. 4. 황자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생부) | 자녀 | 비고 | ||
---|---|---|---|---|---|---|---|---|
1 | 양왕(楊王) | 회정(懷靖) | 조방 | 1037년 | 덕비 유씨 | [30] 조졸함. | ||
2 | 옹왕(雍王) | 도목(悼穆) | 조흔 | 1039년 ~ 1041년 | 소절귀비 묘씨 | [31] 조졸함. | ||
3 | 형왕(荊王) | 도의(悼懿) | 조희 | 1041년 ~ 1043년 | 충의 주씨 | [32] 조졸함. | ||
양자 | 거록군공 (鉅鹿郡公) | 조종실 (조서) | 1032년 ~ 1067년 | 복안의왕 조윤양 (濮安懿王 趙允讓) 복왕부인 임씨 (濮王夫人 任氏) | 4남 4녀 | 제5대 황제 영종.[33] |
5. 5. 황녀
봉호(공주) | 봉호(제희)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비고 | |
---|---|---|---|---|---|---|---|---|
1 | 주진국대장공주 | 장효명의대장제희 | 장효명의 | 1038년 ~ 1071년 | 묘귀비 | 건무군절도사 이위 | [34] | |
2 | 서국대장공주 | 장화대장제희 | ? ~ 1042년 | 덕비 유씨 | [35] 요절함. | |||
3 | 등국대장공주 | 장순대장제희 | ? ~ 1042년 | 온성황후 장씨 | [36] 요절함. | |||
4 | 진국대장공주 | 장정대장제희 | 1042년 ~ 1043년 | 온성황후 장씨 | [37] 요절함. | |||
5 | 초국대장공주 | 장희대장제희 | 1042년 ~ 1043년 | 현비 풍씨 | [38] 요절함. | |||
6 | 상국대장공주 | 장선대장제희 | 1042년 | 덕비 양씨 | [39] 요절함. | |||
7 | 노국대장공주 | 장이대장제희 | ? ~ 1043년 | 현비 풍씨 | [40] 출가 후 요절함. | |||
8 | 당국대장공주 | 장신대장제희 | ? ~ 1045년 | 온성황후 장씨 | [41] 출가 후 요절함. | |||
9 | 진국대장공주 | 장제대장제희 | 1059년 ~ 1067년 | 귀비 동씨 | [42] | |||
10 | 진노국대장공주 | 영덕경행대장제희 | 현목명의 | 1059년 ~ 1142년 | 주귀비 | 함녕군왕 전경진 | [43] 정강의 변 이후로 공주로 복호. | |
11 | 연국대장공주 | 현의공목대장제희 | 현의공목 | 1059년 ~ 1083년 | 귀비 동씨 | 요주관찰사 조시 | [44] | |
12 | 연서국대장공주 | 의목대장제희 | 의목 | 1060년 ~ 1112년 | 주귀비 | 무태군절도사 곽헌경 | [45] | |
13 | 예국대장공주 | 장엄대장제희 | 1061년 | 귀비 동씨 | [46] 요절함. |
6. 재상
순서 | 이름 | 재임 기간 | 칭호 | 자(字) | 봉호 | 시호 |
---|---|---|---|---|---|---|
1 | 정위 | 1022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 위지(謂之) | 진국공(晉國公) | - |
2 | 풍증 | 1022년 ~ 1023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 도제(道濟) | 위국공(魏國公) | 문의(文懿) |
3 | 왕증 | 1022년 ~ 1029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효선(孝先) | 기국공(沂國公) | 문정(文正) |
4 | 왕흠약 | 1023년 ~ 1025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정국(定國) | 기국공(冀國公) | 문목(文穆) |
5 | 장지백 | 1025년 ~ 1028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용회(用晦) | - | 문절(文節) |
6 | 장사손 | 1028년 ~ 1029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순지(順之) | 등국공(鄧國公) | 문의(文懿) |
7 | 여이간 | 1029년 ~ 1033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탄부(坦夫) | 허국공(許國公) | 문정(文靖) |
8 | 장사손 | 1032년 ~ 1033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순지(順之) | 등국공(鄧國公) | 문의(文懿) |
9 | 이적 | 1033년 ~ 1035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복고(復古) | - | 문정(文定) |
10 | 여이간 | 1033년 ~ 1037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탄부(坦夫) | 허국공(許國公) | 문정(文靖) |
11 | 왕증 | 1035년 ~ 1037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효선(孝先) | 기국공(沂國公) | 문정(文正) |
12 | 왕수 | 1037년 ~ 1038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자정(子正) | - | 문혜(文惠) |
13 | 진요좌 | 1037년 ~ 1038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희원(希元) | - | 문혜(文惠) |
14 | 장사손 | 1038년 ~ 1040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순지(順之) | 등국공(鄧國公) | 문의(文懿) |
15 | 장득상 | 1038년 ~ 1045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희언(希言) | 순국공(郇國公) | 문간(文簡) |
16 | 여이간 | 1040년 ~ 1043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탄부(坦夫) | 허국공(許國公) | 문정(文靖) |
17 | 안수 | 1042년 ~ 1044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동숙(同叔) | 임치공(臨淄公) | 원헌(元獻) |
18 | 두연 | 1044년 ~ 1045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세창(世昌) | 기국공(祁國公) | 정헌(正獻) |
19 | 가창조 | 1045년 ~ 1047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자명(子明) | 위국공(魏國公) | 문원(文元) |
20 | 진집중 | 1045년 ~ 1049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소예(昭誉) | 기국공(岐國公) | 공(恭) |
21 | 문언박 | 1048년 ~ 1051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참지정사(參知政事)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관부(寬夫) | 노국공(潞國公) | 충렬(忠烈) |
22 | 송상 | 1049년 ~ 1051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공서(公序) | 정국공(鄭國公) | 원헌(元獻) |
23 | 방적 | 1051년 ~ 1053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순지(醇之) | 영국공(潁國公) | 장민(莊敏) |
24 | 진집중 | 1053년 ~ 1055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소예(昭誉) | 기국공(岐國公) | 공(恭) |
25 | 양적 | 1053년 ~ 1054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참지정사(參知政事) | 중현(仲賢) | - | 장숙(莊肅) |
26 | 유항 | 1054년 ~ 1056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참지정사(參知政事) ↓ 감수국사(監修國史) | 충지(冲之) | - | 문안(文安) |
27 | 문언박 | 1055년 ~ 1058년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관부(寬夫) | 노국공(潞國公) | 충렬(忠烈) |
28 | 부필 | 1055년 ~ 1061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언국(彦國) | 한국공(韓國公) | 문충(文忠) |
29 | 한기 | 1058년 ~ 1063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소문관대학사(昭文館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 | 치규(稚圭) | 위군왕(魏郡王) | 충헌(忠獻) |
30 | 증공량 | 1061년 ~ 1063년 |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 명중(明仲) | 노국공(魯國公) | 선정(宣靖) |
7. 연호
연호 |
---|
천성 (1023년 ~ 1032년) |
명도 (1032년 ~ 1033년) |
경우 (1034년 ~ 1038년) |
보원 (1038년 ~ 1040년) |
강정 (1040년 ~ 1041년) |
경력 (1041년 ~ 1048년) |
황우 (1049년 ~ 1054년) |
지화 (1054년 ~ 1056년) |
가우 (1056년 ~ 1063년) |
참조
[1]
서적
East-Asian Archaeoastronomy: Historical Records of Astronomical Observations of China, Japan and Korea
CRC Press
[2]
서적
The Age of Confucian Rule : The Song Transformation of China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Updated Confucius family tree has two million members
http://news.xinhuane[...]
News.xinhuanet.com
2010-11-07
[4]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7-31
[6]
웹사이트
A short biography of Jan Hendrik Oort: 7. Crab Nebula
http://bc.ub.leidenu[...]
Leiden University Library
2015-03-09
[7]
서적
Songrenzong, Gongzhi Shidai 宋仁宗,共治时代 [Emperor Renzong, an era of Collective Governance]
Guilin: Guangxi Normal University Press
[8]
서적
Song Shi, 宋史 [History of Song]
中華書局
[9]
문서
『皇宋長編紀事本末』
[10]
문서
『宋会要輯稿』
[11]
문서
『朝野遺事』:余美人と尚美人は聞えがよしの悪口を言って殴り合いを始めた。仁宗はけんかに割って入って、殴打を受けた。その後、余氏を軟禁してしまった。
[12]
문서
『故董淑妃養女御侍張氏安福県君依旧御侍制』
[13]
문서
『故董淑妃養女御侍李氏仁和県君依旧御侍制』
[14]
문서
仁宗時代の封号の詳細は不詳。その後、洞真宮に出家した。[[元豊 (宋)|元豊]]4年5月17日、[[神宗 (宋)|神宗]]により法正の職に任ぜられ、志静大師の道号を贈られた。
[15]
문서
封号の詳細は不詳。妃嬪の中でも最も傲慢不遜という。嘉祐4年7月、民間に追い出した。
[16]
서적
중국을 말한다 11
신원문화사
[17]
서적
중국사 열전 황제
달과소
[18]
문서
정비(淨妃)/충묘선사(沖妙仙師)/청오(淸悟)
[19]
문서
폐황후 후에 정비로 강등 및 출가. 사후 황후로 복원됨.
[20]
문서
황태후(皇太后)/태황태후(太皇太后)/경수궁태후(慶壽宮太后)
[21]
문서
사후 인종이 황후로 추존. 시호 미상.
[22]
문서
사후 인종이 황후로 추존.
[23]
문서
[[장헌명숙황후|유태후]]의 전남편인 [[유미 (북송)|유미]]의 아들 [[유종덕]]에게 시집을 감. 유종덕이 죽자, 왕씨가 궁궐을 드나들면서 인종의 정부로 인정받음.
[24]
문서
조황후의 수양딸. 인종이 운좋게 장귀비의 계략으로 범관음을 쫒아냄. 북송 왕궁이 쓴 <문견근록>에서만 보임. 진위여부 검증 어려움.
[25]
문서
인종의 빈어였으나 출가함. 동진궁 법정이 됨. 미인 양씨와 동일인물인지 의견이 분분함
[26]
문서
인종의 총비. 십각(十阁)중 한명. 간통하고 교만하여 궁에서 쫒겨남. 유도일과 같은 사람인지 의견이 분분함.
[27]
문서
인종의 총비. 십각(十阁)중 한명. 교만하고 제멋대로인 성격 탓에 쫒겨남.
[28]
문서
영창군부인 옹씨의 시녀. 인종이 세상을 떠나자, 유복자를 가졌다고 속였다가 들통나 궁에서 쫒겨남.
[29]
문서
간언을 받고 출궁하자 인종이 상당히 아쉬워했다함.
[30]
문서
포왕(褒王)/주왕(周王)
[31]
문서
수국공(壽國公)/예왕(豫王)/당왕(唐王)
[32]
문서
악왕(鄂王)/연왕(燕王)
[33]
문서
태종의 4남 상공정왕 조원빈의 손자.
[34]
문서
복강공주(福康公主)/연국공주(兗國公主)/월국장공주(越國長公主)/초국대장공주(楚國大長公主)
[35]
문서
숭경공주(崇慶公主)/초국공주(楚國公主)/주국공주(周國公主)/당국장공주(唐國長公主)
[36]
문서
안수공주(安壽公主)/당국공주(唐國公主)/한국공주(漢國公主)/위국장공주(魏國長公主)
[37]
문서
보화공주(寶和公主)/월국공주(越國公主)/진국공주(秦國公主)/초국장공주(楚國長公主)
[38]
문서
운국공주(鄆國公主)/위국공주(魏國公主)/오국장공주(吳國長公主)
[39]
문서
노국공주(魯國公主)/진국장공주(陳國長公主)
[40]
문서
숭인보우대사(崇因保佑大師)/수국공주(隋國公主)/오국공주(吳國公主)/연국장공주(燕國長公主)
[41]
문서
보자숭우대사(保慈崇佑大師)/운국공주(鄆國公主)/연국공주(燕國公主)/진국장공주(秦國長公主)
[42]
문서
복안공주(福安公主)/강국장공주(康國長公主)/정국대장공주(鄭國大長公主)/진국대장공주(秦國大長公主)
[43]
문서
경수공주(慶壽公主)/혜국공주(惠國公主)/허혜국대장공주(許惠國大長公主)/진위한주연국대장공주(秦魏韓周燕國大長公主)
[44]
문서
영수공주(永壽公主)/영국장공주(榮國長公主)/빈국대장공주(邠國大長公主)/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45]
문서
보수공주(寶壽公主)/순국장공주(順國長公主)/기국대장공주(冀國大長公主)/진곤국대장공주(秦袞國大長公主)
[46]
문서
초국공주(楚國公主) 한국장공주(韓國長公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