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Solenodon paradoxus)은 히스파니올라 섬에 서식하는 독특한 포유류로, 땃쥐를 닮은 외모와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1833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멸종된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재발견되었다.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은 야행성이며, 굴을 파고 생활하며 절지동물, 곤충, 과일 등을 먹는다. 이들은 7,800만 년 전에 다른 포유류와 분기된 것으로 추정되며, 독을 가지고 있고, 2020년 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되었다. 현재는 서식지 파괴, 외래종의 위협으로 인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솔레노돈과 - 쿠바솔레노돈
    쿠바솔레노돈은 쿠바 동부에 서식하며 독을 가진 타액을 가진 고유종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포식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재발견 후 쿠바와 일본의 합동 연구를 통해 생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유독포유류 -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와 태즈메이니아섬에 서식하며 오리 주둥이, 비버 꼬리, 수달 발을 가진 독특한 외형의 반수생 단공목 포유류로, 하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유독포유류 - 솔레노돈
    솔레노돈속은 진무맹장목에 속하는 포유류로, 쿠바솔레노돈과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 두 종이 현존하며 자이언트솔레노돈과 마르카노솔레노돈은 멸종되었고,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은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인간 활동으로 멸종된 종들이 있으며, 두더지과, 땃쥐과, 고슴도치과와 계통적으로 가까운 관계이고 멸종된 네소폰티드과와 자매군 관계를 이룬다.
  • 1833년 기재된 포유류 - 물영양
    물영양은 소과에 속하는 아프리카 포유류로, 물에 대한 의존성이 높고 수컷은 뿔을 가지며, 무리 생활을 하며 초식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이다.
  • 1833년 기재된 포유류 - 케이프여우
    케이프여우는 남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은회색 털과 검은색 꼬리 끝을 가진 작은 개과 동물로, 건조 및 반건조 지역에서 잡식성으로 생활하는 야행성 동물이며, 농부들의 오해와 질병 등으로 위협받지만 개체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
학명Solenodon paradoxus
명명자Brandt, 1833년
영명Haitian solenodon
Hispaniolan solenodon
한국어명하이티솔레노돈
멸종위기등급LC (낮은 위험)
분포아이티, 도미니카 공화국 (히스파니올라 섬)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 분포 지역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 분포 지역 (갈색)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진무맹장목
솔레노돈과
솔레노돈속
아종
절멸된 아종Solenodon woodi (Ottenwalder, 2001)

2. 발견

1833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아이티에서 새로운 표본을 받았다. 요한 프리드리히 폰 브란트는 이 동물을 ''Solenodon paradoxus''라고 명명했다.(''Solenodon''은 "홈이 파인 이빨"을 의미한다.) 1861년에 발견된 쿠바솔레노돈 (''Atopogale cubana'')과의 관계 외에는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었고,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1907년 애디슨 에머리 베릴과 알피어스 하얏트 베릴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이 동물을 재발견했지만, 1964년에는 다시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3. 형태

삽화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은 지나치게 큰 땃쥐를 닮았으며, 수컷과 암컷의 크기는 비슷하다. 다 자란 개체의 전체 길이는 49cm~72cm이며, 꼬리 길이는 20cm~25cm이고, 평균 체중은 약 800g이다. 이는 진무맹장목(Soricomorpha)의 현존하는 가장 큰 구성원임을 의미한다. 몸은 칙칙한 갈색을 띠고, 밑면은 더 옅으며, 머리 옆면, 목, 가슴 윗부분에는 붉은 털이 있다. 꼬리, 다리, 주둥이, 눈꺼풀에는 털이 없다.[6]

앞다리는 뒷다리보다 눈에 띄게 더 발달했지만, 모두 땅을 파는 데 유용한 강한 발톱을 가지고 있다. 머리는 몸에 비해 크고, 긴 코를 가지고 있으며, 작은 눈과 귀는 몸의 털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져 있다. 콧구멍은 옆으로 열리고 주둥이에는 길이 7cm에 달하는 약 12개의 긴 수염과 머리 뒤쪽에 몇 개의 작은 수염이 있다.[6] 주둥이 끝에는 독특한 관절(구와 관절)이 있다.[25] 독특한 특징은 비강에서 앞으로 뻗어 나와 주둥이 연골을 지지하는 뼈인 ''os proboscidis''인데, 이는 다른 솔레노돈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7]

치식은 3.1.3.3/3.1.3.3이며, 총 40개의 이빨을 갖는다. 두 번째 아래쪽 앞니에는 거의 완전히 닫힌 좁은 관형 채널이 있으며, 이 채널을 통해 턱밑샘에서 분비되는 독액이 흐른다.[8] 독의 정확한 화학적 조성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9] 체중 1g당 0.38~0.55mg의 독액을 주사하면 2~6분 안에 쥐가 치명적인 것으로 나타났다.[6]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은 허벅지에 아포크린 땀샘이 풍부한 피부 반점을 가지고 있다. 이 땀샘의 분비물은 개체 간의 의사 소통에 사용된다.[10] 두개골-미부 길이(체장)는 30cm~32cm이다.[27] 꼬리 길이는 21.5cm~24cm이다.[27] 머리 뒤쪽은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이다.[25] 목에 흰 반점이 있다.[27] 출산 직후의 어린 새끼의 체중은 40g~55g이다.[25][27]

4. 분포 및 서식지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은 히스파니올라 섬 (도미니카 공화국, 아이티) 남부에서 발견된다. 주로 해발 1000m 이하의 습윤한 숲에 서식하지만, 더 높은 고도나 농경지 근처에서도 발견된다.[2][6]

개체군은 하라과 국립공원, 델 에스테 국립공원, 시에라 데 바오루코 국립공원 등 보호 구역 안팎에서 발견된다. 아이티에서는 라 비지트 국립공원과 마시프 드 라 호테의 두치티 지역에서 보고되었다.[11] 도미니카 공화국의 로스 아이티세스 국립공원에서는 존재가 추정되지만 확인되지 않았다.

4. 1. 아종

쿠바솔레노돈과는 2,500만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28]

다음 아종 분류는 Derbridge ''et al.'' (2015)와 Woodman (2018)에 따른다.[25][26] 분포는 Woodman (2018)에 따른다.[26]

아종분포
Solenodon paradoxus woodi Brandt, 1833이스파니올라섬 (Neiba Valley 이북)
Solenodon paradoxus woodi Ottenwalder, 2001이스파니올라섬 (Neiba Valley 이남)


5. 생태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은 야행성 동물로, 낮에는 이나 나무, 속이 빈 통나무, 동굴 등에 숨어 지낸다. 굴에는 여러 개의 방과 터널이 있을 수 있으며, 보통 성체 한 쌍과 최대 6마리의 어린 가족 구성원이 함께 산다. 탁 트인 공간으로 나오면 발바닥으로 달리고, 예측하기 어려운 지그재그 코스를 따른다.[6]

주로 절지동물을 먹지만, 벌레, 달팽이, 쥐, 작은 파충류도 먹는다. 또한 소량의 과일, 곡물, 낙엽을 먹기도 한다. 주둥이로 땅을 쑤시고, 썩은 통나무를 파거나 발톱으로 찢기도 한다. 이들은 큰 방어적인 "짹짹" 소리, 공격적인 "찍찍" 소리, 친숙한 동족을 만났을 때 내는 부드러운 "찍" 소리, 낯선 이를 만났을 때 내는 높은 "딸깍" 소리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9~31kHz의 반향정위 클릭 소리를 낸다.[6]

야생에서 찍힌 표본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은 잿빛얼굴올빼미(''Tyto glaucops'')와 스틱스올빼미(''Asio stygius'')의 먹이가 된다.[12] 자연적인 육상 포식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방어 능력이 발달하지 못했으며, 느리고 어색하게 뛴다. 야생화된 개와 고양이 개체군이 정착했고, 작은아시아몽구스(''Urva auropunctata'')가 사탕수수 밭의 쥐를 통제하기 위해 도입되었는데, 이 세 종 모두 잠재적으로 솔레노돈을 잡아먹을 수 있다.

해발 2,000m 이하(주로 1,000m 이하)의 활엽수로 이루어진 습윤림에 서식한다.[25] 야행성이지만, 박명 시나 강우 후 등에는 낮에도 활동한다.[25] 낮에는 바위 틈새나 나무 구멍, 또는 이 종이 직접 땅에 판 구멍 등에서 지낸다.[27]

주로 전갈, 지네 등 절지동물을 먹지만, 갑각류, 육생 조개류, 지렁이, 양서류, 파충류, 조류 등의 척추동물과 그 알 등도 먹는다.[25] 사육 환경에서는 생쥐를 잡아먹은 사례도 있다.[25]

흰얼굴수리부엉이와 검은수리부엉이(''Asio stygius'') 등이 포식자이며, 외래종을 포함하면 개나 고양이 등에게도 포식된다.[25]

6. 번식

번식은 연중 이루어지지만, 암컷은 10일 정도마다 짧은 기간 동안만 수컷을 받아들인다. 임신 기간은 84일 이상이며, 새끼는 1~3마리가 태어난다. 일반적으로 어미는 젖꼭지가 두 개이며 사타구니 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새끼 중 두 마리만 살아남는다. 새끼는 눈이 멀고 털이 없는 상태로 태어나며 40g~55g의 무게가 나간다. 새끼들은 생후 두 달 동안 어미가 데리고 다니지만, 완전히 젖을 떼는 데 얼마나 걸리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사육 상태에서는 11년 이상 살 수 있다.[6]

7. 진화

2016년 일리노이 대학교푸에르토리코 대학교 연구진이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를 완전히 해독했다. 이 연구로 솔레노돈이 약 7,800만 년 전에 다른 모든 현존하는 포유류로부터 분화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북부 개체군이 남부 개체군보다 유전적 다양성이 훨씬 크다는 사실도 발견되었다.[13][14] 이 연대는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이 히스파니올라섬에 어떻게 서식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가설과 일치한다. 지질학자들은 이 섬이 약 7,500만 년 전 멕시코와 연결된 화산호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한다.[15]

쿠바솔레노돈과는 2,500만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28]

8. 인간과의 관계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은 잿빛얼굴올빼미와 스틱스올빼미의 먹이가 된다.[12] 자연적인 육상 포식자가 없어 방어 능력이 발달하지 못했으며, 느리고 어색하게 뛴다. 야생화된 개와 고양이, 그리고 사탕수수 밭의 쥐를 통제하기 위해 도입된 작은아시아몽구스는 모두 솔레노돈을 잡아먹을 수 있다.

솔레노돈의 생존은 불확실했지만, 도미니카 공화국 정부와 협력하는 "라스트 서바이버스 프로젝트"를 통해 보존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2009년에는 현장 연구, 보존 방법 모색, 장기 생존을 위한 모니터링 도구 조직을 위한 5개년 보존 계획에 자금이 지원되었다.[17][18]

보존 노력의 목표 중 하나는 특히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이 종에 대한 지역 인식을 높이는 것이다. 히스파니올라 조류학회는 지역 주민들에게 솔레노돈 사진을 보여주었지만, 야행성 특성 때문에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19] 2007년 EDGE Species 프로젝트는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을 10대 "핵심 종" 중 하나로 확인했다.[20] 2009년에는 다윈 이니셔티브(영국)의 자금 지원을 받는 협력적 보존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연구가 진행 중이다.[21]

이 종은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지만,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의 국립공원은 농업과 숯 생산을 위한 산림 파괴와 침해로 위협받고 있다. 미국 국제 개발처와 자연 보전 협회는 지역 비정부 기구와 협력하여 보호를 개선하고 공원 관리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1992년 발표된 아이티 개체군 복구 계획은 포괄적 조사, 피크 마카야 국립공원 관리 개선, 교육 캠페인, 외래 포유류 통제, ''ex situ'' 번식 프로그램 시행을 권고했지만, 아직 시행되지 않고 있다.

다윈 이니셔티브의 자금 지원을 받는 두 개의 보존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이 최근 설립되었다. "히스파니올라 섬의 고유 육상 포유류를 보존하기 위한 증거와 역량 구축"(2009년 시작)과 "아이티의 독특한 척추 동물을 위한 미래 구축"(2010년 시작)이다. 이 프로젝트들은 EDGE 프로그램, 더렐 야생 동물 보존 트러스트,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 히스파니올라 조류학회, 도미니카 공화국 국립 동물원, 소시에테 오두본 아이티, 현지 프로젝트 파트너 간의 협력을 통해 진행된다.

외래종에 의한 서식지 손실과 포식은 이 종이 멸종 위기 종으로 간주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1907년까지 거의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히스파니올라 섬 내륙에서 발견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즉각적인 위험에 처해 있다고 생각되지 않았다. 1966년에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1981년, 광범위한 수색 끝에 아이티에서는 "기능적으로 멸종"된 것으로 선언되었고, 남부의 외딴 산에서만 생존했다. 1987년에는 여전히 두 나라에서 발견되었지만, 아이티에서 특히 위협받는 것으로 여겨졌다. 1996년에도 여전히 두 나라에서 발견되었다. 야생 동물 영화 제작자 위르겐 호페는 지난 18년 동안 도미니카 공화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을 촬영할 수 있었다. 가장 최근에 발견된 것은 2008년 여름으로, 더렐 야생 동물 보존 트러스트와 히스파니올라 조류학회 연구팀이 표본을 포획하여 신체 측정과 DNA를 채취한 후 야생으로 돌려보냈다.[22]

6마리의 포획된 개체의 유전체 시퀀싱 연구 결과, 솔레노돈이 다른 현존 포유류와 7,360만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예측되었다. 북부와 남부 개체 간의 단일 염기 다형성(SNP) 변이를 통해 최소 30만 년 전에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 내에서 아종 분리(남부 아종의 제안된 이름은 ''S. paradoxus woodi'')가 있었음을 확인했다.[23]

2020년 IUCN은 솔레노돈의 개체 크기와 분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위기"에서 "최소 관심"으로 하향 조정했다. 2020년 현재, 이전보다 넓은 지역(도미니카 공화국 광역)에 분포한다고 여겨지지만, 산림 벌채나 농지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개나 고양이 등에 의한 포식이 우려되고 있다.[24]

9. 보존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은 현재 카리브해에서 발견되는 마지막 두 종의 토착 곤충을 먹는 포유류 중 하나이며, 히스파니올라 섬에 서식하는 유일한 육상 포유류 종 중 하나이다.[16]

솔레노돈의 생존은 불확실하지만, 도미니카 공화국 정부와 협력하는 "라스트 서바이버스 프로젝트"를 통해 보존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2009년에는 현장 연구, 보존 방법 모색, 장기 생존을 위한 모니터링 도구 조직을 위한 5개년 보존 계획에 자금이 지원되었다.[17][18]

보존 노력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특히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이 종에 대한 지역 인식을 높이는 것이다. 히스파니올라 조류학회에서 지역 주민들에게 솔레노돈 사진을 보여주었지만, 야행성 특성 때문에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19] 2007년 EDGE Species 프로젝트에서 히스파니올라솔레노돈을 10대 "핵심 종" 중 하나로 확인했다.[20] 2009년에는 다윈 이니셔티브(영국)의 지원을 받는 협력적 보존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이 종을 보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1]

이 종은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지만,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의 국립공원은 농업과 숯 생산을 위한 산림 파괴와 침해로 위협받고 있다. 미국 국제 개발처와 자연 보전 협회는 지역 비정부 기구와 협력하여 보호를 개선하고 공원 관리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1992년 아이티 개체군 복구 계획에서는 포괄적 조사, 피크 마카야 국립공원 관리 개선, 교육 캠페인, 외래 포유류 통제, ''ex situ'' 번식 프로그램 시행을 권고했지만, 아직 시행되지 않았다.

다윈 이니셔티브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두 개의 보존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히스파니올라 섬의 고유 육상 포유류를 보존하기 위한 증거와 역량 구축"(2009년 시작), "아이티의 독특한 척추 동물을 위한 미래 구축"(2010년 시작))이 설립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EDGE 프로그램, 더렐 야생 동물 보존 트러스트,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 히스파니올라 조류학회, 도미니카 공화국 국립 동물원, 소시에테 오두본 아이티, 현지 프로젝트 파트너 간의 협력을 통해 진행된다.

외래종에 의한 서식지 손실과 포식은 이 종이 멸종 위기 종으로 간주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1907년까지 거의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히스파니올라 섬 내륙에서 발견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즉각적인 위험에 처해 있다고 생각되지 않았다. 1966년에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1981년, 히스파니올라 솔레노돈은 아이티에서 "기능적으로 멸종"된 것으로 선언되었으며, 남부의 외딴 산에서만 생존했다. 1987년에는 여전히 두 나라에서 발견되었지만, 아이티에서 특히 위협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1996년에도 여전히 두 나라에서 발견되었다. 2008년 여름, 더렐 야생 동물 보존 트러스트와 히스파니올라 조류학회 연구팀이 개체 표본을 포획하여 신체 측정과 DNA를 채취한 후 야생으로 돌려보냈다.[22]

6마리의 포획된 개체의 유전체 시퀀싱 연구 결과, 솔레노돈이 다른 현존하는 포유류와 7,360만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예측되었다. 북부와 남부 개체 간 단일 염기 다형성(SNP) 변이를 통해 최소 30만 년 전에 히스파니올라 솔레노돈 내에서 아종 분리(남부 아종의 제안된 이름 ''S. paradoxus woodi'')가 있었음을 확인했다.[23]

2020년 IUCN은 솔레노돈의 개체 크기와 분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위기"에서 "최소 관심"으로 하향 조정했다. 2020년 시점에서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넓은 지역(도미니카 공화국 광역)에 분포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한편, 산림 벌채나 농지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개나 고양이 등에 의한 포식과 같은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24]

참조

[1] MSW3
[2] IUCN "''Solenodon paradoxus''" 2020
[3] 웹사이트 "''Solenodon paradoxus'' (ASM Mammal Diversity Database #1003840)" https://www.mammaldi[...] 2024
[4] 웹사이트 Agouta https://www.collinsd[...]
[5] 잡지 The rarest animals https://archive.org/[...] 1964-12
[6] 학술지 "''Solenodon paradoxus'' (Soricomorpha: Solenodontidae)" 2015-12
[7] 학술지 On the cranial osteology of the Hispaniolan solenodon, ''Solenodon paradoxus'' {{small|Brandt, 1833}} (Mammalia, Lipotyphla, Solenodontidae) 2008-12
[8] 학술지 Canine grooves: Morphology, function, and relevance to venom
[9] 학술지 Venomous Mammals
[10] 학술지 On the ventral gland field of ''Solenodon paradoxus'' {{small|Brandt, 1833}} (Mammalia, Insectivora)
[11] 학술지 Continued survival of Hispaniolan solenodon ''Solenodon paradoxus'' in Haiti
[12] 학술지 Solenodon paradoxus (Soricomorpha: Solenodontidae) 2015
[13] 보도자료 Endangered venomous mammal predates dinosaurs' extinction http://www.igb.illin[...] Carl R. Woese Institute for Genomic Biology 2020-09-08
[14] 학술지 Mitogenomic sequences support a north–south subspecies subdivision within ''Solenodon paradoxus'' https://digitalcommo[...]
[15] 학술지 Mesozoic origin for West Indian insectivores 2004-04
[16] 웹사이트 Hispaniolan Solenodon http://www.edgeofexi[...]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3-10-25
[17] 웹사이트 Solenodon http://www.durrell.o[...] Durrell Wildlife Conservation Trust
[18] 웹사이트 Last Survivors http://www.thelastsu[...] lastsurvivors.org 2018-08-31
[19] 뉴스 Solenodon hunt: On the trail of a 'living fossil' https://www.bbc.co.u[...]
[20] 뉴스 Protection for 'weirdest' species http://news.bbc.co.u[...] 2007-01-16
[21] 뉴스 The Last Survivors Project http://www.thelastsu[...] 2020-01-14
[22] 뉴스 Venomous mammal caught on camera http://news.bbc.co.u[...] 2009-01-09
[23] 학술지 Innovative assembly strateg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evolution and conservation genetics of the endangered ''Solenodon paradoxus'' from the island of Hispaniola 2018-06-01
[24] 간행물 Solenodon paradoxu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25] 학술지 "''Solenodon paradoxus'' (Soricomorpha: Solenodontidae)" https://doi.org/10.1[...] 2015
[26] 서적 American Recent Eulipotyphla: Nesophontids, Solenodons, Moles, and Shrews in the New World https://doi.org/10.5[...] Smithsonian Institution Scholarly Press 2018
[27] 서적 ハイチソレノドン 講談社 2001
[28] 학술지 Mesozoic origin for West Indian insectivores https://doi.org/10.1[...] Nature Publishing Group 2004
[29] 간행물 Solenodon paradoxus http://www.iucnredl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