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아신스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아신스족은 히아신스아과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4개의 아족(마소니아아족, 히아신스아족, 프세우도프로스페로아족, 미분류 속)으로 나뉜다. 각 아족은 다양한 속을 포함하며, 마소니아아족은 남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히아신스아족은 유럽, 지중해 연안 및 서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히아신스족에는 무릇속, 히아신스속, 무스카리속, 블루벨속 등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릇아과 - 히아신스
    히아신스는 가을에 심는 구근 식물로, 짙은 향기와 다양한 색상의 꽃이 특징이며 향료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옥살산이 함유된 구근은 독성을 지니며, 봄, 부활, 노루즈와 관련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무릇아과 - 오지로에속
    오지로에속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덩이줄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식물 속으로, 흰색 화피 6장으로 이루어진 꽃을 피우며 일반 뿌리와 수축성 뿌리를 가진다.
  • 1827년 기재된 식물 - 도금양아과
    도금양아과는 도금양과에 속하는 아과로, 도금양아과와 프실록실론아과의 두 아과로 분류되며, 15개의 족으로 구성된다.
  • 1827년 기재된 식물 - 연꽃과
    연꽃과는 연꽃속과 멸종된 여러 속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현존하는 연꽃속은 아시아 원산의 연꽃과 북미 원산의 미국연꽃 두 종으로 나뉜다.
히아신스족 - [생물]에 관한 문서
히아신스족
학술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비짜루목
비짜루과
아과무릇아과
히아신스족(Hyacintheae)
족 명명자Dumort., 1827
모식속히아신스속(Hyacinthus Tourn. ex L.)
하위 분류
아족히아신스아족(Hyacinthinae)
마소니아아족(Massoniinae)
프세우도프로스페로아족(Pseudoprospero)
학명
학명Hyacintheae
명명자Dumort., Fl. Belg. 141. (1827)
이명
이명Hyacinthaceae Batsch ex Borkh., Bot. Wörterb. 1: 315. (1797)
Massonieae Baker, J. Linn. Soc. London, Bot. 11: 355. (1870)
기타
드리미옵시스 마쿨라타(Drimiopsis maculata)

2. 하위 분류

히아신스족은 다음 3개의 아족으로 분류된다.


  • 마소니아아족(Massoniinae Benth. & Hook.f.)[2]
  • 히아신스아족(Hyacinthinae Parl.)[3]
  • 프세우도프로스페로아족(Pseudoprosperineae J.C.Manning & Goldblatt)[4]

2. 1. 마소니아아족 (Massoniinae)

남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분포한다.[2] 다음 속들을 포함한다:

  • 마소니아속(''Massonia'' Thunb. ex Houtt.)
  • ''Daubenya'' Lindl.
  • ''Drimiopsis'' Lindl. & Paxton
  • ''Eucomis'' L'Hér.
  • ''Lachenalia'' J.Jacq. ex Murray
  • ''Ledebouria'' Roth
  • ''Merwilla'' Speta
  • ''Namophila'' U.Müll.-Doblies & D.Müll.-Doblies
  • ''Resnova'' van der Merwe
  • ''Schizocarphus'' van der Merwe
  • ''Spetaea'' Wetschnig & Pfosser
  • ''Veltheimia'' Gled.
  • ''Whiteheadia'' Harv.

2. 2. 히아신스아족 (Hyacinthinae)


  • 무릇속(''Barnardia'' Lindl.)[3]
  • 블루벨속(''Hyacinthoides'' Heist. ex Fabr.)
  • 실라속(''Scilla'' L.)
  • 히아신스속(''Hyacinthus'' Tourn. ex L.)
  • ''Alrawia'' (Wendelbo) Perss. & Wendelbo
  • ''Bellevalia'' Lapeyr.
  • ''Brimeura'' Salisb.
  • ''Fessia'' Speta
  • ''Hyacinthella'' Schur
  • ''Leopoldia'' Parl.
  • 무스카리속 (''Muscari'') Mill.
  • ''Prospero'' Salisb.
  • ''Pseudomuscari'' Garbari & Greuter
  • ''Puschkinia'' Adams
  • ''Zagrosia'' Speta

2. 3. 프세우도프로스페로아족 (Pseudoprosperineae)

프세우도프로스페로속(''Pseudoprospero'' Speta)만을 포함하는 단형 아족으로,[4] 아족명 Pseudoprosperineae는 J.C.Manning과 Goldblatt이 명명했다.

2. 4. 미분류 속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1827
[2] 서적 Genera Plantarum 1883
[3] 서적 Flora italiana; ossia, Descrizione delle piante che crescono spontanee o vegetano come tali in Italia e nelle isole ad essa aggiacenti; disposta secondo il metodo naturale 1852
[4] 논문 A Revised Generic Synopsis of Hyacinthaceae in Sub-saharan Africa, Based on Molecular Evidence, Including New Combinations and the New Tribe Pseudoprosper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