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이아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이아카는 하우메아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으로, 2005년 1월 26일에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S/2005 (2003 EL61) 1이라는 임시 부호가 붙었으며, 하와이 신화의 여신 히이아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지름은 약 310 km, 질량은 약 4×1020 kg이며, 표면은 주로 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에 엄폐 현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다음 엄폐는 2138년에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우메아의 위성 - 나마카 (위성)
나마카는 2005년에 발견된 하우메아의 위성으로, 하와이 신화 속 물의 정령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지름 약 170km의 물 얼음 표면을 가지고 히이아카의 섭동으로 인해 원궤도를 유지한다. - 2005년 발견한 천체 - 2MASS J09393548-2448279
2MASS J09393548-2448279는 2005년 발견된 갈색왜성으로, 500K에서 700K 사이의 유효 온도와 25~40 목성 질량 사이의 질량을 가지며, 발견 당시 가장 어두운 갈색왜성이었다. - 2005년 발견한 천체 - 다프니스 (위성)
다프니스는 토성의 위성으로, 킬러 간극 내에서 공전하며 고리에 파동을 일으키고, 불규칙한 모양에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토성 고리에 영향을 준다.
히이아카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히이아카 |
다른 이름 | (136108) 2003 EL61 I S/2005 (2003 EL61) 1 |
발음 | 영어: 하와이어: |
소속 행성 | 하우메아 |
MPC 명칭 | Haumea I |
발견 | |
발견자 |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힐로 데이비드 라비노위츠 외 |
발견일 | 2005년 1월 26일 |
궤도 특성 | |
궤도 참조 | RagozzineBrown2009 |
궤도 장반경 | 49,880 ± 198 km |
궤도 이심률 | 0.0513 ± 0.0078 |
공전 주기 | 49.12 ± 0.03 일 |
궤도 경사 | 126.356 ± 0.064 ° |
승교점 경도 | 206.766 ± 0.033 ° |
근일점 인수 | 154.1 ± 5.8 ° |
평균 근점 이각 | 152.8 ± 6.1 ° |
물리적 특성 | |
평균 반지름 | ~160 km |
질량 | (1.79 ± 0.11)×10^19 kg (하우메아의 0.45%) |
밀도 | ~1 g/cm3 |
표면 온도 | 32 ± 3 K |
자전 주기 | ~9.8 시간 |
축 기울기 | 알려지지 않음 |
반사율 | 0.8 ± 0.07 |
겉보기 등급 | 20.3 (주성보다 3.0 어두움) |
색 지수 (J-H) | -0.399 ± 0.034 |
2. 발견
히이아카는 하우메아 주위를 공전하는 최초의 위성으로, 2005년 1월 26일에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S/2005 (2003 EL61) 1'''이라는 임시 부호가 붙여졌고, 발견팀은 "루돌프"라는 별명을 붙였다. 정식 명칭은 하와이 섬의 수호신이자 하와이 신화의 여신 하우메아의 딸 중 한 명인 히이아카/Hiʻiakahaw에서 유래되었다.
1999년에는 히이아카의 엄폐 현상을 관측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다음 엄폐는 2138년에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 1. 발견 당시 상황
히이아카는 하우메아 주위를 공전하는 최초의 위성으로, 2005년 1월 26일에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S/2005 (2003 EL61) 1'''이라는 임시 부호가 붙여졌고, 발견팀은 "루돌프"라는 별명을 붙였다. 정식 명칭은 하와이 섬의 수호신이자 하와이 신화의 여신 하우메아의 딸 중 한 명인 히이아카/Hiʻiakahaw에서 유래되었다.1999년에는 히이아카의 엄폐 현상을 관측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다음 엄폐는 2138년에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3. 물리적 특성
히이아카는 지름이 약 310 km이고 질량은 ~4×1020 kg이다. 측정된 밝기는 5.9 ± 0.5%이며, 이는 주성인 하우메아의 약 22%에 해당하는 지름, 즉 320 km 범위로 추정된다. 이는 유사한 적외선 알베도를 가정한 것이다. 이를 비유하자면, 히이아카가 소행성대에 있다면, 4개의 가장 큰 소행성인 1 세레스, 2 팔라스, 4 베스타, 10 히기에이아를 제외하고는 가장 클 것이다. 그러나 비교적 큰 크기에도 불구하고, 광도 곡선 연구에 따르면 히이아카는 중력적으로 붕괴된 회전타원체가 아니다. 또한 히이아카는 조석 고정이 되지 않았으며 약 9.8시간의 자전 주기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히이아카의 밝기는 주성의 5.9 ± 0.5 %이며, 알베도가 같다고 가정하면 지름은 주성의 22 %, 즉 350 km에 가깝다. 이는 만약 소행성대에 있다면 케레스, 팔라스, 베스타, 히기에아 다음으로 5번째로 큰 천체가 될 정도이다.
히이아카의 지름은 약 310km이고 질량은 ~4×1020 kg이다. 히이아카의 질량은 허블 우주 망원경과 켁 천문대의 정밀한 상대적 천체측량을 사용하여 1.79±0.11×1019 kg으로 추정되었으며, 3체 점질량 모델을 하우메아 시스템에 적용했다. 하우메아와 두 개의 위성을 합한 계 전체의 질량은 알려져 있으며, 밀도(물의 얼음이라고 가정하면 거의 1) 및 알베도가 주성(主星)과 같다고 가정하면 히이아카의 질량은 하우메아의 1% 정도가 된다.
히이아카의 근적외선 스펙트럼은 물 얼음 흡수 밴드가 지배적이며, 이는 표면이 주로 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1.65μm에서 중심을 이루는 밴드의 존재는 표면 물 얼음이 주로 결정질 형태임을 나타낸다. 현재 표면의 물 얼음이 우주선의 지속적인 조사로 인해 예상되는 비정질 형태로 변하지 않은 이유는 불분명하다.
3. 1. 크기 및 밝기
히이아카는 지름이 약 310 km이고 질량은 ~4×1020 kg이다. 측정된 밝기는 5.9 ± 0.5%이며, 이는 주성인 하우메아의 약 22%에 해당하는 지름, 즉 320 km 범위로 추정된다. 이는 유사한 적외선 알베도를 가정한 것이다. 이를 비유하자면, 히이아카가 소행성대에 있다면, 4개의 가장 큰 소행성인 1 세레스, 2 팔라스, 4 베스타, 10 히기에이아를 제외하고는 가장 클 것이다. 그러나 비교적 큰 크기에도 불구하고, 광도 곡선 연구에 따르면 히이아카는 중력적으로 붕괴된 회전타원체가 아니다. 또한 히이아카는 조석 고정이 되지 않았으며 약 9.8시간의 자전 주기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히이아카의 밝기는 주성의 5.9 ± 0.5 %이며, 알베도가 같다고 가정하면 지름은 주성의 22 %, 즉 350 km에 가깝다. 이는 만약 소행성대에 있다면 케레스, 팔라스, 베스타, 히기에아 다음으로 5번째로 큰 천체가 될 정도이다.3. 2. 질량
히이아카의 지름은 약 310km이고 질량은 ~4×1020 kg이다. 히이아카의 질량은 허블 우주 망원경과 켁 천문대의 정밀한 상대적 천체측량을 사용하여 1.79±0.11×1019 kg으로 추정되었으며, 3체 점질량 모델을 하우메아 시스템에 적용했다. 하우메아와 두 개의 위성을 합한 계 전체의 질량은 알려져 있으며, 밀도(물의 얼음이라고 가정하면 거의 1) 및 알베도가 주성(主星)과 같다고 가정하면 히이아카의 질량은 하우메아의 1% 정도가 된다.3. 3. 구성 성분
히이아카의 근적외선 스펙트럼은 물 얼음 흡수 밴드가 지배적이며, 이는 표면이 주로 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1.65μm에서 중심을 이루는 밴드의 존재는 표면 물 얼음이 주로 결정질 형태임을 나타낸다. 현재 표면의 물 얼음이 우주선의 지속적인 조사로 인해 예상되는 비정질 형태로 변하지 않은 이유는 불분명하다.4. 궤도 및 엄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