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4 베스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 베스타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위치한 소행성으로, 1807년 하인리히 올베르스에 의해 발견되었다. 로마 신화의 가정과 화로의 여신 베스타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소행대에서 두 번째로 무거운 천체이다. 베스타는 금속 핵, 암석 맨틀, 지각으로 분화된 내부 구조를 가지며, 남극에 거대한 분화구 레아실비아가 존재한다. NASA의 돈 탐사선이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베스타 궤도를 돌며 상세한 표면 지형과 지질 정보를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V형 소행성 - 1981 미다스
  • V형 소행성 - 9969 브라유
    9969 브라유는 루이 브라유의 이름을 딴 화성 궤도 교차 소행성으로, 특이한 궤도 때문에 미래에 지구 궤도 교차 소행성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딥 스페이스 1 탐사선에 의해 근접 관측되었다.
  • 베스타 - 베스타 신전
    로마 포룸에 위치한 베스타 신전은 화로의 여신 베스타에게 봉헌된 원형 신전으로, 누마 폼필리우스에 의해 처음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베스타 여사제들이 신성한 불을 관리하고 로마의 중요한 문서들을 보관하는 장소였으나 여러 차례 파괴 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에 재건되었고 현재 유적은 무솔리니 정권 하에 재건된 것이다.
  • 베스타 - 베스타 신녀
    베스타 신녀는 로마 신화의 여신 베스타를 섬기는 여사제로, 국가의 지원을 받으며 신성한 불을 지키고 로마의 안녕을 기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기독교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해산되기까지 엄격한 자격 요건과 헌신적인 봉사를 통해 특권과 지위를 누렸다.
4 베스타
개요
돈 탐사선이 촬영한 베스타의 실제 색상 이미지. 남극에는 거대한 레아실비아 크레이터가 있다.
돈 탐사선이 촬영한 베스타의 실제 색상 이미지. 남극에는 거대한 레아실비아 크레이터가 있다.
명칭4 베스타
기타 명칭(4) Vesta
발음IPA: /ˈvɛstə/
형용사베스타의
베스티안 (Vestian)
발견
발견자하인리히 빌헬름 올베르스
발견일1807년 3월 29일
명명베스타
궤도 특성
천체 분류주 소행성대 (베스타족)
궤도 기준점2023년 9월 13일 (JD 2453300.5)
원일점2.57 au (3억 8400만 km)
근일점2.15 au (3억 2200만 km)
근일점 통과 시각2021년 12월 26일
장반축2.36 au (3억 5300만 km)
이심률0.0894
공전 주기3.63년 (1325.86일)
궤도 경사황도면 기준 7.1422°
불변면 기준 5.58°
승교점 경도103.71°
근일점 인수151.66°
평균 궤도 운동169.4°
평균 공전 속도19.34 km/s
최소 궤도 교차 거리1.14 au (1억 7100만 km)
물리적 특성
위성 수없음
평균 직경525.4 ± 0.2 km
3축 직경572.6 × 557.2 × 446.4 km
편평률0.2204
표면적8.66 ± 0.2 × 10^5 km²
부피7.4970 × 10^7 km³
질량2.590271 ± 0.000058 × 10^20 kg
밀도3.456 ± 0.035 g/cm³
표면 중력0.25 m/s² (0.0255 g)
탈출 속도0.259 km/s
자전 주기0.2226일 (5.342시간)
자전 속도93.1 m/s
자전축 기울기29°
북극의 적경20시 32분
북극의 적위48°
스펙트럼형V형
겉보기 등급5.1 ~ 8.48
절대 등급3.20
반사율0.423
각크기0.70" ~ 0.22"
표면 온도최소: 75 K (−198 °C)
최대: 250 K (−23 °C)
추가 정보
소행성대주 소행성대

2. 발견

하인리히 올베르스는 1802년에 팔라스를 발견했는데, 이는 세레스가 발견된 지 1년 후였다. 그는 이 두 천체가 파괴된 행성의 잔해라고 제안했다. 그는 이 제안과 함께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에게 편지를 보내 세레스와 팔라스의 궤도가 교차하는 지점 근처를 탐색하면 더 많은 파편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러한 궤도 교차점은 고래자리와 처녀자리에 위치해 있었다.[44] 올베르스는 1802년에 탐색을 시작했고, 1807년 3월 29일 처녀자리에서 베스타를 발견했다. 이는 우연의 일치인데, 세레스, 팔라스, 베스타는 더 큰 천체의 파편이 아니기 때문이다. 유노가 1804년에 발견되었기 때문에, 베스타는 현재 소행성대로 알려진 지역에서 확인된 네 번째 천체가 되었다. 이 발견은 3월 31일 독일 천문학자 요한 H. 슈뢰터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발표되었다.[45] 올베르스는 이미 행성(팔라스; 당시 소행성은 행성으로 간주되었다)을 발견한 공로가 있었기에, 그는 새로운 발견의 명명 영예를 독일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게 넘겼다. 가우스는 천문학자들이 최초의 소행성인 세레스의 존재를 확인하도록 궤도 계산을 했고, 새로운 행성의 궤도를 놀랍게도 10시간이라는 짧은 시간에 계산했다.[46][47] 가우스는 로마의 가정과 화로의 처녀 여신인 베스타를 선택했다.[48]

3. 물리적 특성

베스타는 소행성대에서 두 번째로 무거운 천체이지만,[153] 가장 무거운 세레스 질량의 28%에 불과하다.[138] 내부는 -니켈 핵, 암석질 맨틀, 지각으로 분화되어 있다.[154]

4개의 가장 큰 소행성의 상대적인 크기. 베스타는 왼쪽에서 두 번째이다.




모양은 중력적으로 늘어진 편구면에 가깝지만,[155] 남극 부근의 큰 충돌구 때문에 왜행성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156] 국제천문연맹(IAU) 결의안 XXVI 5에 따르면, 베스타는 질량이 미만이므로 자동적으로 왜행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69] 2012년 ''돈'' 우주선의 관측 결과,[70] 베스타는 현재 유체 정역학적 평형 상태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21][71]

자전 속도는 5.342 시간으로 비교적 빠르며 순행한다. 자전축 기울기는 29°이다.[155]

추정되는 베스타의 내부 구조.


표면 온도는 태양 위치에 따라 -190°C에서 -20°C까지 변한다.[157] 1996년 5월 6일 근일점 근처에서 측정된 일반적인 낮과 밤의 온도는 각각 -60°C와 -130°C였다.[157]

베스타의 지름에 대한 초기 추정치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연도추정 지름 (km)방법
1825년383 ~ 444
1879년513±E.C. 피커링
이후390 ~ 602광도 측광법
1989년498 ~ 548얼룩 간섭계
1991년550 × 462SAO 93228 엄폐 관측 (14개 지점)



''''은 1991년의 측정을 확인했다.[57]

베스타는 질량이 결정된 최초의 소행성이었다.

연도질량 (태양 질량)방법
1966년197 아레테 중력 섭동 관측 (한스 G. 헤르츠)
2001년17 테티스 섭동



베스타는 평균 직경이 2 팔라스 ()보다 약간 크지만 ([21]), 질량은 약 25% 더 크다. 베스타의 표면적은 파키스탄, 베네수엘라, 탄자니아, 나이지리아의 육지 면적과 거의 같으며, 약 900000km2보다 약간 작다.

4. 궤도

베스타는 화성목성 사이의 소행성대 안쪽에서 태양을 공전하며, 공전 주기는 3.6 지구년이다.[18] 궤도는 완만하게 기울어져(''i'' = 7.1°, 수성의 7° 및 명왕성의 17°와 비교) 궤도 이심률이 중간 정도(''e'' = 0.09, 화성과 거의 동일)이다.[18] 특히 2.50 AU의 커크우드 간극 안쪽에 위치한다.

소행성 간의 진정한 궤도 공명은 큰 간격에 비해 질량이 작기 때문에 발생하기 매우 드물다.[61]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스타는 다른 소행성을 임시적인 1:1 공명 궤도 관계(최대 2백만 년 이상)로 포획할 수 있으며, 약 40개의 그러한 천체가 확인되었다.[62] ''''이 베스타 근처에서 감지한 데카미터 크기의 천체는 제대로 된 위성이라기보다는 그러한 준위성일 수 있다.[62]

5. 지질

베스타는 HED 운석을 통해 지질학적 역사와 구조를 연구할 수 있는 소행성이다. 과학자들은 200개 이상의 HED 운석을 통해 베스타를 쉽게 연구할 수 있다. NASA 적외선 망원경 시설(NASA IRTF)에서는 소행성 (237442) 1999 TA10이 베스타의 내부에서 생겼다고 설명했다.[136][158]

베스타는 금속-니켈 과 암석질 감람석 맨틀, 지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약 46억 년 전, 태양계에서 처음으로 생성된 고체 물질인 CAI(Ca-Al-rich inclusions)를 시작으로, 베스타의 진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159][160][161][162][163]

베스타의 진화 연표
2–3 백만 년 전강착 완료
4–5 백만 년 전26Al방사성 붕괴로 인한 용해 완료. 이 과정은 금속 핵이 나뉘는 과정을 낳았다.
6–7 백만 년 전녹은 맨틀의 결정화가 진행되었다. 맨틀을 구성하는 물질의 80%가 결정화되었을 때, 대류 현상은 정지했다.
남은 물질과 현무암질 용암이 분출함에 따라 지각 또는 짧은 시간이나마 마그마 바다를 형성했다.
새로 생성된 표층의 압력으로 인하여 현무암이 변성암으로 변하면서, 지각 심층부에서는 심성암이 형성되었다.
내부는 서서히 냉각되었다.



남극점 부근의 등고선을 나타낸 이미지.


베스타는 표면이 다시 뒤덮이는 방식을 통하여 외부의 큰 충격에 휩싸이지 않은 소행성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소수의 과학자들은 베스타를 소행성보다는 원시 행성으로 취급하기도 한다.[164]

베스타 지각의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165]

지각의 구성 성분 (아래쪽에 있을수록 깊은 곳이다.)
석화된 표토. (하워다이트와 각력화된 유크라이트의 근원)
현무암용암.
휘석, 피조나이트, 사장석 등으로 구성된 심성암.
사방휘석이 풍부하고 입자 크기가 큰 심성암. (디오게나이트의 근원)



V형 소행성의 크기와 남극점 부근, 분화구의 깊이를 바탕으로 종합해봤을 때, 지각의 두께는 10km가량 될 것으로 추정된다.[166]

5. 1. 표면 지형

베스타의 표면 지형은 허블 우주 망원경과 지상 망원경을 통해 관측되어 왔으며,[167] 2011년 7월 ''돈'' 우주선의 도착으로 베스타의 복잡한 표면이 상세하게 드러났다.[77]

가장 두드러진 표면 지형은 남극 근처에 중심을 둔 두 개의 거대한 충돌 분지인데, 너비 500km의 레아실비아와 너비 400km의 베네네이아이다. 레아실비아 분화구는 더 젊고 베네네이아 위에 위치한다.[78] '돈' 과학팀은 더 젊고 더 두드러진 분화구에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어머니이자 신화 속 베스타 여신인 레아실비아라는 이름을 붙였다.[79] 그 폭은 베스타 평균 지름의 95%에 달한다. 분화구의 깊이는 약 19km이다. 중앙 봉우리는 분화구 바닥의 가장 낮은 측정 지점보다 23km 높이 솟아 있으며, 분화구 가장자리의 가장 높은 측정 지점은 분화구 바닥의 최저점보다 31km 높다. 이 충돌로 베스타 부피의 약 1%가 파여나간 것으로 추정되며, 베스타 족과 V형 소행성이 이 충돌의 산물일 가능성이 높다. 만약 그렇다면, 10km 조각들이 현재까지 폭격을 견뎌냈다는 사실은 분화구의 나이가 기껏해야 약 10억 년밖에 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80] 또한 HED 운석의 기원이기도 하다. 알려진 모든 V형 소행성을 합쳐도 방출된 부피의 약 6%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작은 조각으로 존재하거나 3:1 커크우드 간극에 접근하여 방출되거나 야르코프스키 효과 또는 복사압에 의해 궤도가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허블 이미지의 분광학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 분화구는 지각의 여러 뚜렷한 층을 깊숙이 관통했으며, 감람석의 스펙트럼 신호로 미루어 보아 맨틀 (지질학)까지 닿았을 가능성이 있다.[63]

레아실비아 중앙의 큰 봉우리는 높이가 20to(-)이고 폭이 180km이며,[78] 행성 규모의 충돌의 결과일 수 있다.[9]

여러 개의 오래되고 퇴화된 분화구가 크기 면에서 레아실비아와 베네네이아에 근접하지만, 이들 중 어느 것도 그렇게 크지는 않다. 여기에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너비가 270km인 페랄리아 평원이 포함된다.[81] 더 최근에 형성된 더 선명한 분화구의 범위는 158km인 바론닐라와 196km인 포스투미아에 달한다.[82]

"눈사람 분화구"는 베스타 북반구에 있는 인접한 세 개의 분화구 그룹이다. 공식 명칭은 가장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서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마르시아, 칼푸르니아, 미누시아이다. 마르시아는 가장 젊고 칼푸르니아를 가로지릅니다. 미누시아는 가장 오래되었다.

베스타 적도 지역의 대부분은 일련의 평행한 도랑인 디발리아 포사에 의해 조각되어 있으며, 가장 긴 도랑은 폭 10km 에서 20km, 길이 465km이다. 베스타는 달 크기의 7분의 1에 불과하지만, 디발리아 포사는 그랜드 캐니언을 압도한다. 두 번째 도랑은 적도에 경사지게 북쪽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이 북부 도랑 시스템은 사투르날리아 포사라고 불리며, 가장 큰 도랑은 폭 약 40km, 길이 370km가 넘는다. 이 도랑들은 각각 레아실비아와 베네네이아 분화구를 생성한 충돌의 결과로 대규모 그라벤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은 태양계에서 가장 긴 협곡 중 일부이며, 테티스의 이타카 카스마와 거의 비슷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도랑들은 베스타와 충돌한 또 다른 소행성 이후에 형성된 그라벤일 수 있으며, 이는 베스타와 같이 분화된 천체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과정이다.[83] 베스타의 분화는 과학자들이 베스타를 원시 행성으로 간주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84]

베스타의 연쇄 분화구의 이름은 고대 로마의 도시나 축제에서 유래했다.

지명유래
알바롱가 연쇄 분화구(Albalonga Catena)알바 롱가
로비갈리아 연쇄 분화구(Robigalia Catena)로비갈리아


5. 2. 표면 구성

가시광선 및 적외선 분광기(VIR), 감마선 및 중성자 검출기(GRaND), 프레이밍 카메라(FC)에서 얻은 조성 정보는 베스타 표면 조성의 대부분이 하워다이트, 유크라이트, 다이오제나이트 운석의 조성과 일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85][86][87] 레아실비아 지역은 다이오제나이트가 가장 풍부하며, 이는 레아실비아를 형성한 충돌이 베스타 내부 깊은 곳에서 물질을 파낸 것과 일치한다. 레아실비아 지역 내에 감람석이 존재한다는 것은 또한 맨틀 물질의 발굴과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감람석은 레아실비아가 아닌 북반구의 국지적인 지역에서만 감지되었다.[88]

이 감람석의 기원은 현재 불분명하다. 천문학자들은 탐사선 ''돈''이 도착하기 전에 감람석이 베스타의 맨틀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레아실비아와 베네네이아 충돌 분지 내에 감람석이 없다는 점은 이러한 견해를 복잡하게 만든다. 두 충돌 분지 모두 베스타 물질을 60~100 km 깊이까지 파냈는데, 이는 베스타 지각의 예상 두께인 ~30~40 km보다 훨씬 깊다. 베스타의 지각은 예상보다 훨씬 두꺼울 수 있거나, 레아실비아와 베네네이아를 생성한 격렬한 충돌 사건이 물질을 충분히 섞어 관측에서 감람석을 가렸을 수 있다. 또는 ''돈''의 감람석 관측은 베스타의 내부 구조와 관련 없는 감람석이 풍부한 충돌체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126]

움푹 파인 지형은 베스타의 마르시아(Marcia), 코르넬리아(Cornelia), 누미시아(Numisia), 리키니아(Licinia) 등 4개의 크레이터에서 관찰되었다.[89] 움푹 파인 지형의 형성은 충돌로 가열된 휘발성 물질의 탈가스 작용으로 제안되었다. 움푹 파인 지형과 함께 마르시아와 코르넬리아 크레이터에서는 곡선형 협곡이 발견된다. 곡선형 협곡은 엽상 퇴적물로 끝나며, 이는 때때로 움푹 파인 지형에 덮여 있으며, 매장된 얼음 퇴적물이 충돌열에 의해 녹은 후 일시적인 액체 물의 흐름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수화된 물질도 감지되었으며, 이 중 다수는 어두운 물질과 관련이 있다.[90] 결과적으로 어두운 물질은 탄소질 콘드라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충돌에 의해 표면에 퇴적된 것으로 여겨진다. 탄소질 콘드라이트는 광물학적으로 결합된 OH가 상대적으로 풍부하다.[87]

6. 잔해

V형 소행성의 크기(거대한 충돌 시 베스타 지각의 파편으로 추정)와 레아실비아 충돌구의 깊이를 바탕으로 지각의 두께는 대략 10km인 것으로 생각된다.[99] 베스타족 소행성과 HED 운석은 베스타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170] V형 소행성 중 하나인 1929 콜라는 유크라이트 운석과 유사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베스타 지각 깊은 곳에서 기원한 것으로 밝혀졌다.[39]

7. 탐사

2011년 7월, 미국우주 탐사선 돈이 베스타에 접근하여 이미지를 촬영했다.[13] 2011년 7월 16일에 베스타 궤도에 진입했으며, 이후 돈은 2012년 9월까지 약 1년 동안 베스타를 관측했다.[106][109] 이 관측을 통해 베스타에는 다수의 크레이터와 함께 적도 주변의 홈 형태의 지형 등이 발견되었고, 이미지 분석이 진행되었다.

1980년대부터 유럽 우주국(ESA)과 NASA에서 베스타 탐사 계획을 추진했지만, 실제로 실행된 것은 NASA의 돈 탐사선이 유일하다. 1981년 ESA에 제출된 AGORA(Asteroidal Gravity Optical and Radar Analysis) 탐사선 계획은 1990~1994년 사이에 발사되어 베스타에 플라이바이를 실행할 예정이었으나 ESA는 이 제안을 거절했다. NASA와 ESA는 공동으로 MAOSEP(Multiple Asteroid Orbiter with SOlar Electric Propulsion) 계획을 추진하여 베스타 궤도 진입을 시도했으나, NASA는 소행성 탐사에 관심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1980년대에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소련, 미국에서도 소행성대 탐사 계획이 있었지만 승인되지 않았다.[171]

1990년대 초, NASA는 디스커버리 계획을 통해 이온 엔진 탐사선을 이용한 소행성대 탐사를 추진했다. 2004년 돈 탐사선 계획이 승인되면서 자금 문제가 해결되었다.[172]

돈 탐사선은 2011년 7월부터 2012년 7월까지 베스타 궤도를 돌며 탐사했다. 베스타 남반구가 여름일 때 탐사가 진행되어 남극 부근의 큰 크레이터에 태양광이 비췄다. 돈 탐사선은 베스타의 정확한 질량을 계산하고, 과학자들은 소행성 질량 추산에 도움을 받았다.[175]

베스타 궤도를 도는 ''''의 예술적 표현


베스타는 두 개의 경도 좌표계를 사용하며, 본초 자오선은 150° 떨어져 있다. 국제천문연맹(IAU)은 1997년 ''허블'' 사진을 기반으로 좌표계를 설정했는데, 본초 자오선은 200km 크기의 어두운 지형인 올베르스 지역 중앙을 통과한다. ''돈''이 베스타에 도착했을 때, 미션 과학자들은 IAU가 가정한 극의 위치가 10° 벗어났다는 것을 발견했다. IAU 좌표계는 연간 0.06°씩 베스타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했고, 올베르스 지역은 가까이에서 구별할 수 없어 정밀하게 본초 자오선을 정의하는 데 부적합했다. 과학자들은 극을 수정하고, 700미터 크기의 분화구인 클라우디아 중심에서 4° 떨어진 새로운 본초 자오선을 설정했다.[64] NASA는 클라우디아 자오선을 사용하지만, IAU는 올베르스 지역과 일치하는 좌표계를 권장했다.[65][66]

2014년 7월, 베스타의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이 80km보다 깊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130][131] 2014년 11월에는 NASA에서 베스타의 상세한 지질 지도가 공개되었다.[132]

NASA/DLR은 조사 궤도, 고고도 궤도(60~70 m/화소), 저고도 매핑 궤도(20 m/화소)에서 얻은 이미지와 요약 정보(디지털 지형 모델, 비디오, 지도첩 포함)를 공개했다.[110][111][112][113][114][115] 과학자들은 ''돈''을 사용하여 베스타의 정확한 질량과 중력장을 계산했고, HED와 유사한 지각 밀도를 가정하여 약 220 km의 핵 직경 추정값을 얻었다.[110] ''던'' 데이터는 UCLA 웹사이트에서 일반인도 접근할 수 있다.[116]

41,000km 상공에서의 베스타
(2011년 7월 9일)

참조

[1] dict Vesta
[2] 간행물 Meteoritics & planetary science 2007
[3] 웹사이트 In Depth - 4 Vesta https://solarsystem.[...]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2022-12-13
[4] 보고서 Unicode request for historical asteroid symbol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23-09-26
[5] 웹사이트 Proposed new characters https://unicode.org/[...] Unicode Consortium 2023-11-06
[6] 서적 The Book of Signs Dover
[7] 서적 Ephemerides of the asteroids: Ceres, Pallas, Juno, Vesta, 1900–2000 Celestial Communications
[8] 웹사이트 New SPHERE view of Vesta https://www.eso.org/[...] 2018-06-25
[9] 학술지 On the possibility of viscoelastic deformation of the large south polar craters and true polar wander on the asteroid Vesta 2016
[10] 뉴스 Eros's puzzling surface https://skyandtelesc[...] 2023-10-18
[11] 학술지 Formation of ejecta and dust pond deposits on asteroid Vesta https://agupubs.onli[...] 2023-10-18
[12] 웹사이트 Secondary Cratering From Rheasilvia as the Possible Origin of Vesta's Equatorial Troughs https://doi.org/10.1[...] 2024-03-04
[13] 웹사이트 Dawn Mission website of JPL/NASA http://dawn.jpl.nasa[...]
[14] 서적 Cosmic Challenge: The Ultimate Observing List for Amateu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10-21
[15] 웹사이트 Search{{Snd}} Dawn Mission http://dawn.jpl.nasa[...] JPL
[16] 간행물 Meteoritics & planetary science 2007
[17] 웹사이트 Search Results http://www.planetary[...] Planetary Society 2012-08-31
[18]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4 Vesta http://ssd.jpl.nasa.[...] 2008-06-01
[19] 학술지 The solar system's invariable plane 2012-07
[20] 웹사이트 AstDyS-2 Vesta Synthetic Proper Orbital Elements https://newton.space[...]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1-10-01
[21] 학술지 Dawn at Vesta: Testing the Protoplanetary Paradigm https://repository.s[...] 2012
[22] 학술지 The Vesta gravity field, spin pole and rotation period, landmark positions, and ephemeris from the Dawn tracking and optical data https://www.scienced[...] 2014
[23] 웹사이트 Asteroid Lightcurve Derived Data. EAR-A-5-DDR-DERIVED-LIGHTCURVE-V8.0. http://www.psi.edu/p[...] NASA Planetary Data System 2013-12-26
[24] 웹사이트 Asteroid 4 Vesta https://theskylive.c[...] TheSkyLive 2022-12-13
[25] 웹사이트 Asteroid Taxonomy EAR-A-5-DDR-TAXONOMY-V5.0 http://www.psi.edu/p[...] NASA Planetary Data System 2013-12-25
[26] 서적 A Field Guide to the Stars and Planet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983
[27] 웹사이트 Infra-Red Astronomy Satellite (IRAS) Minor Planet Survey. IRAS-A-FPA-3-RDR-IMPS-V6.0. http://www.psi.edu/p[...] NASA Planetary Data System 2007-03-15
[28] 학술지 ISO and Asteroids http://www.esa.int/e[...] 2001
[29] 웹사이트 Dawn Mission Overview http://www.nasa.gov/[...] NASA 2011-08-14
[30]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the Solar Syste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31] 컨퍼런스 Exploring the smallest terrestrial planet: Dawn at Vesta http://meetingorgani[...] 2011
[32] 학술지 High-Precision Ephemerides of Planets—EPM and Determination of Some Astronomical Constants http://iau-comm4.jpl[...] 2005
[33] 학술지 Physical properties of (2) Pallas 2009
[34] 보도자료 Asteroid or Mini-Planet? Hubble Maps the Ancient Surface of Vesta http://hubblesite.or[...] HubbleSite 2006-10-17
[35] 뉴스 Asteroid Vesta is "last of a kind" rock https://www.bbc.co.u[...] BBC 2012-05-11
[36] 논문 The structure of the asteroid 4 Vesta as revealed by models of planet-scale 2013-02-14
[37] 웹사이트 Dawn Reality-Checks Telescope Studies of Asteroids http://dawn.jpl.nasa[...] 2014-04-30
[38] 논문 Dawn; the Vesta-HED connection; and the geologic context for eucrite, diogenites, and howardites 2013-11-27
[39] 논문 Quantified mineralogical evidence for a common origin of 1929 Kollaa with 4 Vesta and the HED meteorites https://zenodo.org/r[...] 2003
[40] 웹사이트 Vesta http://www.nasa.gov/[...] NASA/JPL 2011-07-12
[41] 웹사이트 Ceres, Pallas, Vesta, and Hygiea http://www.orbitsimu[...] Gravity Simulator 2008-05-31
[42] 웹사이트 Mission > Mission Status{{Snd}} Dawn Mission http://dawn.jpl.nasa[...] JPL 2012-09-06
[43] 웹사이트 "It's Complicated: Dawn Spurs Rewrite of Vesta's Story" http://dawn.jpl.nasa[...] 2014-04-30
[44] 서적 Planets Beyond: Discovering the Outer Solar System https://archive.org/[...]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04
[45] 논문 The discovery of Vesta 1907-02
[46] 서적 Carl Friedrich Gauss: Titan of Science https://archive.org/[...]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04
[47] 논문 Gauss, Ramanujan and Hypergeometric Series Revisited 2003
[48]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Prepared on Behalf of Commission 20 Under the Auspices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https://archive.org/[...] Springer 2003
[49] 서적 Monatliche correspondenz zur beförderung der erd- und himmels-kunde https://books.google[...] 1807
[50] 서적 Effemeridi astronomiche di Milano per l'anno 1809 https://books.google[...] 1808
[51] 서적 Annuaire pour l'an 1808 https://books.google[...] 1807
[52] 서적 Elementi di fisica matematica https://books.google[...] 1810
[53] 웹사이트 The Planet Hygiea http://spaceweather.[...] 1851
[54] 보고서 When Did the Asteroids Become Minor Planets? http://aa.usno.navy.[...]
[55] 간행물 Photometry of 4 Vesta from its 2007 Apparition
[56] 논문 The Historical Unravelling of the Diameters of the First Four Asteroids 1994-09
[57] 논문 The January 4, 1991 Occultation of SAO 93228 by Asteroid (4) Vesta 2001-09
[58] 웹사이트 Dawn-NASA-NSSDCA-Spacecraft-Details https://nssdc.gsfc.n[...] 2022-12-16
[59] 논문 Mass of Vesta 1968-04-19
[60] 논문 Determination of the mass of (4) Vesta based on new close approaches 2005-01
[61] 논문 Co-orbital objects in the main asteroid belt 2000
[62] 논문 A population of Main Belt Asteroids co-orbiting with Ceres and Vesta 2012-01
[63] 논문 Vesta: Spin Pole, Size, and Shape from HST Images 1997
[64] 논문 Space missions trigger map wars 2012
[65] 웹사이트 IAU WGCCRE Coordinate System for Vesta {{pipe}} USGS Astrogeology Science Center https://astrogeology[...] Astrogeology.usgs.gov 2014-06-25
[66] 웹사이트 Body-Fixed Coordinate Systems for Asteroid (4) Vesta https://sbn.psi.edu/[...]
[67] 간행물 The Path to Defining Planets https://www.iau.org/[...] 2006
[68] 논문 Astrometric masses of 21 asteroids, and an integrated asteroid ephemeris 2008
[69] 웹사이트 The IAU draft definition of "planet" and "plutons" http://www.iau.org/p[...] IAU 2009-12-16
[70] 논문 Early Viscous Relaxation of Asteroid Vesta and Implications for Late Impact-Driven Despinning http://www.lpi.usra.[...] 2013
[71] 논문 The Gravity Field of Vesta and Implications for Interior Structure http://www.lpi.usra.[...] 2012
[72] 논문 Introduction: The geologic mapping of Vesta 2014-12
[73] 논문 Geomorphology and structural geology of Saturnalia Fossae and adjacent structures in the northern hemisphere of Vesta https://keep.lib.asu[...] 2014-12
[74] 논문 Imprint of the Rheasilvia impact on Vesta https://repository.a[...] 2019-09-24
[75] 논문 Morphology and formation ages of mid-sized post-Rheasilvia craters 2014-12
[76] 논문 Near-IR imaging of Asteroid 4 Vesta http://observatory.s[...] 2005
[77] 논문 Vesta's Shape and Morphology 2012
[78] 논문 The Geologically Recent Giant Impact Basins at Vesta's South Pole 2012
[79] 뉴스 Rheasilvia http://www.universet[...] 2011-09-21
[80] 논문 Geologic Mapping of Vesta from 1994 Hubble Space Telescope Images 1997
[81] 간행물 Geologic Mapping of Av-10 Oppia Quadrangle of Asteroid 4 Vesta https://www.lpi.usra[...] 2012-03
[82] 웹사이트 Nomenclature Search Results / Target: VESTA / Feature Type: Crater, craters http://planetaryname[...] IAU
[83] 논문 Large-scale troughs on Vesta: A signature of planetary tectonics
[84] 간행물 Asteroid's troughs suggest stunted planet http://www.agu.org/n[...]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12-11-25
[85] 논문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Mineralogy and Its Diversity Across Vesta 2012
[86] 논문 Elemental Mapping by Dawn Reveals Exogenic H in Vesta's Regolith 2012
[87] 논문 Color and Albedo Heterogeneity of Vesta from Dawn 2012
[88] 논문 Olivine in an unexpected location on Vesta's surface 2013
[89] 논문 Pitted Terrain on Vesta and Implications for the Presence of Volatiles 2012
[90] 논문 Detection of Widespread Hydrated Materials on Vesta by the vir Imaging Spectrometer on Board Thedawnmission 2012
[91] 웹사이트 A look into Vesta's interior https://www.mpg.de/8[...] 2011-01-06
[92] 논문 A Thermal Model for the Differentiation of Asteroid 4 Vesta, Based on Radiogenic Heating 1998
[93] 논문 A magma ocean on Vesta: Core formation and petrogenesis of eucrites and diogenites 1997
[94] 논문 The eucrite/Vesta story 2001
[95] 논문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differentiation of accreting planetesimals with 26Al and 60Fe as the heat sources 2007
[96] 논문 Differentiation of Vesta and the parent bodies of other achondrites 2010
[97] 웹사이트 When Is an Asteroid Not an Asteroid? http://www.nasa.gov/[...] NASA/JPL 2011-07-30
[98] 논문 Mineralogical records of early planetary processes on the HED parent body with reference to Vesta 1997
[99] 논문 Metamorphic History of the Eucritic Crust of 4 Vesta 1995
[100] 논문 Distinctive space weathering on Vesta from regolith mixing processes
[101] 논문 Dark material on Vesta from the infall of carbonaceous volatile-rich material
[102] 강연 Now Appearing At a Dwarf Planet Near You: NASA's Dawn Mission to the Asteroid Belt https://www.youtube.[...] 2015-04-08
[103] 서적 Robotic Exploration of the Solar System: Hiatus and Renewal, 1983–1996 Springer 2008
[104] 논문
[106] 뉴스 NASA's Dawn Spacecraft Enters Orbit Around Asteroid Vesta http://www.nasa.gov/[...] NASA 2011-07-16
[107] 웹사이트 Dawn mission timeline http://dawn.jpl.nasa[...]
[108] 웹사이트 Dawn Mission: Mission http://dawn.jpl.nasa[...] Dawn Journal 2011-03-29
[109] 웹사이트 Dawn has Departed the Giant Asteroid Vesta http://www.nasa.gov/[...] NASA 2012-09-05
[110] 논문 Dawn completes its mission at 4 Vesta 2013
[111] 논문 High resolution Vesta High Altitude Mapping Orbit (HAMO) Atlas derived from Dawn framing camera images 2012
[112] 논문 High-resolution Vesta Low Altitude Mapping Orbit Atlas derived from Dawn Framing Camera images 2013
[113] 웹사이트 NASA's Journey Above Vesta http://www.jpl.nasa.[...] NASA 2011-09-18
[114] 웹사이트 DLR public Dawn products site http://dawn_gis.dlr.[...]
[115] 웹사이트 NASA Dawn http://dawn.jpl.nasa[...]
[116] 웹사이트 Dawn Public Data http://dawndata.igpp[...] Univ. California, Los Angeles 2015-03-06
[117] 웹사이트 Sky & Telescope: See Vesta at Its Brightest! http://www.skyandtel[...] 2007-05-07
[118] 웹사이트 Vesta Finder http://media.skytoni[...] Sky & Telescope 2007-05-07
[119] 웹사이트 Vesta http://www.southastr[...] 2008-11-06
[120] 웹사이트 Horizons Ephemeris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0-01-09
[121] 웹사이트 Elements and Ephemeris for (4) Vesta http://scully.cfa.ha[...] Minor Planet Center
[122] 웹사이트 2012 Astronomy Special http://nightskyonlin[...] Nightskyonline.info 2012-11-23
[123] 웹사이트 T. Flanders – '''Ceres and Vesta: July 2012 – April 2013''' – Sky & Telescope http://www.skyandtel[...]
[124] 웹사이트 surface ellipsoid 286.3x278.6x223.2 http://www.wolframal[...]
[125] Perihelion occurs when rdot flips from negative to positive Horizons Batch for 4 Vesta on 2021-Dec-26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1-09-26
[126] 논문 Detection of new olivine-rich locations on Vesta 2015-09
[127] 웹사이트 小惑星日本語表記索引 : 1 - 50 http://planetary.jp/[...] 日本惑星協会 2019-03-09
[128]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天文学辞典 朝倉書店
[129] 문서 ただし、発見当初は小惑星に分類されていたケレスは、2006年に[[準惑星]]に分類変更された。
[130] 뉴스 宇宙: ドーン探査機が照らし出すベスタの地殻マントル境界 http://www.natureasi[...] NATURE 2014-07-21
[131] 문서 この解析の実施以前は、ベスタのモホロビチッチ不連続面の深さは、30 km程度と考えられていた。
[132] 뉴스 Geologic Maps of Vesta from NASA’s Dawn Mission Published http://www.nasa.gov/[...] NASA 2014-11-18
[133] 문서 大規模な隕石衝突でクレーターが形成された際には、クレーターの中心部に隆起した場所が形成される場合が有る。この現象は、地球でも事例が知られている。
[134] 웹사이트 マルキア (Marcia) https://planetarynam[...] USGS 2023-12-01
[135] 웹사이트 Rheasilvia super mysterious south pole basin at Vesta is named after Romulus and remus roman mother https://www.universe[...] 2023-12-01
[136] 웹인용 A look into Vesta’s interior http://www.mpg.de/en[...] Max Planck Society 2011-01-07
[137] 웹인용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4 Vesta http://ssd.jpl.nasa.[...] 2008-06-01
[138] 간행물 High-Precision Ephemerides of Planets—EPM and Determination of Some Astronomical Constants http://iau-comm4.jpl[...] 2011-06-09
[139] 문서 "[[2009년]] [[2월 10일]], 세레스가 [[근일점]]에 있을 때, 베스타가 [[원일점]]에 있을 때보다 가까웠다. (2009년 2월 10일 : 베스타 2.56AU; 세레스 2.54AU)"
[140] 웹인용 Ceres, Pallas Vesta and Hygiea http://www.orbitsimu[...] Gravity Simulator 2008-05-31
[141] 서적 Planets Beyond: Discovering the Outer Solar System https://archive.org/[...] Courier Dover Publications
[142] 논문 The discovery of Vesta 1907-02
[143]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Prepared on Behalf of Commission 20 Under the Auspices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https://archive.org/[...] Springer
[144] 서적 Carl Friedrich Gauss: Titan of Science https://archive.org/[...]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45] 논문 Gauss, Ramanujan and Hypergeometric Series Revisited
[146] 웹인용 The Planet Hygiea http://spaceweather.[...] 2008-06-01
[147] 문서 Older form and discussion of its complexity from Gould, 1852 Gould, B. A. (1852), ''On the Symbolic Notation of the Asteroids'', Astronomical Journal, 2, as cited and discussed at http://aa.usno.navy.[...]
[148] 서적 Photometry of 4 Vesta from its 2007 Apparition http://adsabs.harvar[...] 2008-03-10
[149] 논문 The Historical Unravelling of the Diameters of the First Four Asteroids 1994-09
[150] 논문 The January 4, 1991 Occultation of SAO 93228 by Asteroid (4) Vesta 2001-09
[151] 논문 Mass of Vesta 1968-04-19
[152] 논문 Determination of the mass of (4) Vesta based on new close approaches 2005-01
[153] 논문 Astrometric masses of 21 asteroids, and an integrated asteroid ephemeris http://www.springerl[...]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B.V. 2007 2008-11-11
[154] 웹인용 Asteroid or Mini-Planet? Hubble Maps the Ancient Surface of Vesta http://hubblesite.or[...] Hubble Site News Release STScI-1995-20 2006-10-17
[155] 논문 Vesta: Spin Pole, Size, and Shape from HST Images
[156] 웹인용 The IAU draft definition of "planet" and "plutons" http://www.iau.org/p[...] IAU 2006-08
[157] 논문 ISO and Asteroids http://www.esa.int/e[...]
[158] 웹인용 The interior of asteroid Vesta http://www.physorg.c[...] Physorg.com 2011-03-29
[159] 논문 A Thermal Model for the Differentiation of Asteroid 4 Vesta, Based on Radiogenic Heating
[160] 논문 A magma ocean on Vesta: Core formation and petrogenesis of eucrites and diogenites
[161] 논문 The eucrite/Vesta story https://archive.org/[...]
[162] 논문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differentiation of accreting planetesimals with 26Al and 60Fe as the heat sources
[163] 논문 Differentiation of Vesta and the parent bodies of other achondrites
[164] 뉴스 When Is an Asteroid Not an Asteroid? http://www.nasa.gov/[...]
[165] 논문 Mineralogical records of early planetary processes on the HED parent body with reference to Vesta
[166] 논문 Metamorphic History of the Eucritic Crust of 4 Vesta
[167] 논문 Near-IR imaging of Asteroid 4 Vesta http://observatory.s[...] 2008-11-21
[168] 논문 Geologic Mapping of Vesta from 1994 Hubble Space Telescope Images
[169] 논문 Hubble Space Telescope Images of Asteroid Vesta in 1994
[170] 논문 Quantified mineralogical evidence for a common origin of 1929 Kollaa with 4 Vesta and the HED meteorites
[171] 서적 Robotic Exploration of the Solar System: Hiatus and Renewal, 1983-1996 Springer
[172] 논문 Dawn Mission to Vesta and Ceres http://spc.igpp.ucla[...] 2010-04-02
[173] 웹인용 Dawn mission timeline http://dawn.jpl.nasa[...] 2011-09-06
[174] 웹인용 Dawn Mission: Mission http://dawn.jpl.nasa[...] Dawn Journal 2010-09-27
[175] 논문 Dawn Mission to Vesta and Ceres
[176] 웹인용 Sky & Telescope: See Vesta at Its Brightest! http://www.skyandtel[...] 2007-05-07
[177] 웹인용 Vesta Finder http://media.skytoni[...] Sky & Telescope 2007-05-07
[178] 웹인용 Vesta http://homepage.mac.[...] 2008-11-06
[179] 웹인용 Horizons Ephemeris http://ssd.jpl.nasa.[...]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0-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