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07 카밀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7 카밀라는 어둡고 원시적인 탄소질 조성을 가진 소행성이다. 4.844시간의 짧은 자전 주기와 0.32에서 0.53 등급 사이의 밝기 진폭을 보인다. 카밀라는 두 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첫 번째 위성은 S/2001 (107) 1, 두 번째 위성은 S/2016 (107) 1으로 명명되었다. 107 카밀라는 소행성대에서 위성이 발견된 여섯 번째 소행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8년 발견한 천체 - 102 미리암
  • 1868년 발견한 천체 - 103 헤라
    103 헤라는 태양계 소행성대의 밝은 소행성으로 규산염 광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4 베스타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며 지구 근접 소행성이자 자원 개발 가능성이 높은 천체로 평가받고 있으며 한국 천문학계에서도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 소행성대의 소행성 - 3915 후쿠시마
    3915 후쿠시마는 내부 소행성대에서 태양을 약 3년 10개월 주기로 공전하며, 붉은색을 띠는 P형 또는 C형 소행성으로, 일본의 천문학자 후쿠시마 히사오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 소행성대의 소행성 - 세레스 (왜행성)
    세레스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로, 행성과 소행성으로 여겨지다 2006년에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으며, 돈 탐사선 탐사 결과 얼음 화산 활동 흔적과 소금물 바다 존재 가능성으로 과학적 관심을 받고 있다.
107 카밀라
기본 정보
카밀라의 광도 곡선 반전 3D 모델
광도 곡선 기반 카밀라 3차원 모델
명칭107 카밀라
다른 이름A868 WA, 1893 QA, 1938 OG,
형용사카밀리아 또는 카밀레아,
이름 유래카밀라 (로마 신화)
소행성 분류주 소행성대
실비아키벨레
발견
발견일1868년 11월 17일
발견자N. R. 포그슨
발견 장소마드라스 천문대
MPC 이름(107) 카밀라
궤도 특성
궤도 기준점2018년 3월 23일 (JD 2458200.5)
불확실성0
관측 호149.17 년 (54,485 일)
원일점3.7202 AU
근일점3.2622 AU
궤도 장반경3.4912 AU
궤도 이심률0.0656
공전 주기6.52 년 (2,383 일)
평균 근점각265.91°
평균 운동/ 일
궤도 경사10.001°
승교점 경도172.61°
근일점 인수306.77°
물리적 특성
위성 수2
평균 직경




밀도
알베도



분광형X
C
P
B–V 0.705
U–B 0.298
겉보기 등급11.53
절대 등급7.08
위성 S/2001 (107) 1
가명/다른 이름S/2001 (107) 1
분류소행성의 위성
발견일2001년3월 1일
발견자G. 가프리 외
궤도 장반경1,235 ± 16 km
궤도 이심률0.006 ± 0.002
공전 주기3.710 ± 0.001 일
궤도 경사3 ± 1 도
모행성(107) 카밀라
직경9 ± 2 km
질량~1.5 kg
탈출 속도~6 m/s
절대 등급13.18

2. 물리적 특성

카밀라는 매우 어두운 표면과 원시적인 탄소질 조성을 가지고 있다.

2. 1. 자전 주기 및 형태

1980년대 이후 광학 관측을 통해 다수의 회전 광도 곡선이 얻어졌다. 가장 좋은 결과는 4.844시간의 짧은 자전 주기와 0.32에서 0.53 등급 사이의 밝기 진폭을 보였다.

광도 곡선 분석에 따르면 카밀라의 극은 황도 좌표계 (β, λ) = (+51°, 72°)를 가리키며 불확실성은 10°로, 축 기울기는 29°이다. 후속 광도 데이터 모델링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2. 2. 크기 및 반사율 (알베도)

1975년 키트 피크에서 수집된 10μ의 방사 측정 데이터는 카밀라의 직경을 209km로 추정했다. 이후 일본의 아카리 위성, 적외선 천문 위성 IRAS, NASA의 광역 적외선 탐사기의 NEOWISE 임무 등 우주 기반 관측과 켁 천문대 관측 및 광도 측정을 통해 카밀라의 직경은 185km에서 247km 사이, 표면 알베도는 0.160에서 0.294 사이로 측정되었다.

3. 위성

카밀라는 소행성대에서 87 실비아, 45 유게니아, 216 클레오파트라, 93 미네르바, 130 일렉트라에 이어 여섯 번째로 위성이 발견된 소행성이다. 2001년 3월 1일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으로 위성이 발견되었으며, 'S/2001 (107) 1'이라는 임시 부호가 부여되었으나 정식 이름은 결정되지 않았다.

2005년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유럽 남방 천문대의 초대형 망원경 VLT 관측으로 궤도가 밝혀졌으며, 궤도 경사각은 10도 이하로 추정된다. 위성의 반지름은 약 9km, 질량은 약 1.5×1015 kg으로 추정된다.

3. 1. S/2001 (107) 1

2001년 3월 1일, A. 스토어스, F. 빌라스, R. 랜디스, E. 웰스, C. 우즈, B. 젤너, 그리고 M. 개피가 허블 우주 망원경을 사용하여 카밀라의 소행성 위성을 발견했다. 이 위성은 S/2001 (107) 1로 지정되었지만 아직 공식적인 이름은 부여받지 못했다.

이후 2005년 9월 초대형 망원경 (VLT)을 사용한 관측으로 궤도를 결정할 수 있었다. 궤도경사는 (β, λ) = (+55°, 75°)를 가리키는 축을 기준으로 3 ± 1°로 밝혀졌다. 카밀라의 실제 자전축에 대한 ~10°의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궤도의 궤도경사는 10° 미만이라고 할 수 있다.

위성의 직경은 약 11 km로 추정된다. 주성체와 비슷한 밀도를 가정하면, 대략 ~1.5×1015 kg의 질량을 갖게 된다. 색상은 주성체와 유사하다.

3. 2. S/2016 (107) 1

2016년에 칠레 세로 파라날의 초대형 망원경(VLT) 천문학자들은 107 카밀라의 두 번째 위성의 발견을 보고했다. 임시 명칭은 S/2016 (107) 1이다.

관측은 2015년 5월 29일부터 2016년 7월 30일까지 VLT의 8미터 "멜리팔"(UT3) 유닛에 부착된 주요 장비인 VLT-SPHERE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5번의 관측 세션 중 3번에서 새로운 위성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 천체의 궤도는 긴반지름이 340 킬로미터이다.

참조

[1] 서적 A Pract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884
[2] 논문 Physical, spectral, and dynamical properties of asteroid (107) Camilla and its satellites 2018-03
[3] 문서 Assuming a similar density to the primary.
[4] 웹사이트 小惑星日本語表記索引 : 101 - 150 http://planetary.jp/[...] 日本惑星協会 2019-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