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긴반지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반지름은 기하학에서 타원이나 쌍곡선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타원의 경우, 중심에서 두 초점을 지나는 긴지름의 절반이며, 쌍곡선에서는 두 쌍곡선 사이의 최단 거리의 절반을 의미한다. 천문학에서는 궤도 긴반지름이 공전 주기와 함께 궤도 요소로 사용되며, 케플러의 법칙에 따라 공전 주기와 관련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인공위성 궤도 설계 및 우주 탐사선 궤적 결정 등 다양한 분야에 궤도 긴반지름 개념이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뿔 곡선 - 이심률
    이심률은 원뿔곡선의 형태를 결정하는 값으로, 초점과 준선으로부터의 거리 비율로 정의되며, 값에 따라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으로 구분되고, 타원과 쌍곡선의 경우 중심과 초점 사이의 거리와 반장축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심률이 같은 원뿔곡선은 서로 닮음이다.
  • 원뿔 곡선 - 포물선
    포물선은 원뿔 곡선의 일종으로, 메나이크모스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으며, 아르키메데스와 아폴로니오스에 의해 성질이 연구되었고, 고전역학, 광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초점과 준선, 이차 함수의 그래프 등의 기하학적 성질을 가진다.
  • 천체동역학 - 호만 전이 궤도
    호만 전이 궤도는 우주선을 낮은 원형 궤도에서 높은 원형 궤도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타원 궤도로, 두 번의 엔진 점화를 통해 궤도를 변경하며, 특정 조건 하에서 최소 에너지를 사용하는 궤도 전이 방법이다.
  • 천체동역학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 천체역학 - 공전
    공전은 천문학에서 어떤 천체가 다른 천체의 중심 주위를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하며, 태양계 행성, 위성, 은하 내 항성 등 다양한 천체에서 관찰되고, 케플러의 법칙에 따라 공전 주기가 결정된다.
  • 천체역학 - 중력
    중력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그 크기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지구에서는 물체를 아래로 떨어뜨리는 힘으로 작용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되며, 현대 물리학에서는 양자 중력 이론과 중력파 관측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긴반지름
개요
정의궤도의 타원의 가장 긴 지름의 절반
기호a
단위길이 단위 (예: 미터, 천문단위)
궤도 요소
정의궤도를 정의하는 6개의 요소 중 하나
종류궤도 경사 (궤도 기울기)
승교점 경도
이심률
근일점 인수
평균 근점 이각
긴반지름
계산 및 관계
공전 주기 (T)케플러의 제3법칙에 따라 결정됨: T² ∝ a³
총 에너지 (E)E = -GMm / 2a (G: 중력 상수, M: 중심 천체의 질량, m: 궤도를 도는 천체의 질량)
궤도 에너지특정 궤도의 궤도 에너지는 긴반지름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다른 궤도 요소에는 의존하지 않음.
쌍곡선 궤도긴반지름이 음수 값을 가짐.
추가 정보
관련 용어짧은반지름
궤도 요소
케플러 법칙
관련 위키백과 문서
링크궤도
궤도 요소
케플러 법칙
타원

2. 기하학

타원쌍곡선에서 궤도 긴반지름은 도형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궤도 긴반지름은 이들 도형의 중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타원과 쌍곡선에서의 긴반지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2. 1. 타원

타원의 긴반지름은 중심과 두 초점을 지나는 긴지름의 절반이다. 긴반지름 a영어, 짧은반지름 b영어인 타원에서 이심률 e영어는 다음과 같다.

:b영어=a영어2

타원에서 궤도 장반경은 장축 방향의 반지름이다. 궤도 장반경을 포함하는 직선은 중심과 두 개의 초점, 타원 위에서 가장 곡률이 큰 두 점을 지난다. 원의 경우에는 궤도 장반경은 반지름과 같다.

궤도 장반경의 길이 a영어는, 궤도 단반경 b영어, 이심률 e영어, 반통경 l영어과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b영어 = a영어sqrt|√1 - e2영어

:l영어 = a(1 - e2)영어

:al영어 = b2영어

하나의 초점을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초점을 한 방향으로 계속 늘이면 포물선을 얻을 수 있다. a영어와 b영어는 무한대가 되지만, a영어 쪽이 b영어보다 빠르게 증가한다.

궤도 장반경은, 하나의 초점에서 타원 위의 한 점에 이르는, 최소 거리와 최대 거리의 평균값이다. 극좌표계에서 하나의 초점을 원점, 다른 하나의 초점을 x축의 양의 방향에 두면,

:r(1 - ecosθ)영어 = l영어

이 되며,

:r영어 = l/(1 + e)영어과 r영어 = l/(1 - e)영어의 평균값은

:a영어=l/(1-e2)영어

이다.

2. 2. 쌍곡선

쌍곡선에서 긴반지름은 두 쌍곡선 사이의 최단 거리가 된다. 쌍곡선 식

:\frac{\left( x-h \right)^2}{a^2} - \frac{\left( y-k \right)^2}{b^2} = 1

에서 긴반지름은 a이다.

쌍곡선에서 궤도 긴반지름은 두 분기점 사이의 절반 거리이다. ax 축 방향에 있다고 하면,

:\frac{\left( x - h \right)^2}{a^2} - \frac{\left( y - k \right)^2}{b^2} = 1

이 된다.

반통경과 이심률을 사용하면,

:a = \frac{\ell}{e^2 - 1}

로 쓸 수 있다.

쌍곡선의 주축은 궤도 긴반지름과 같은 방향이다.

3. 천문학

천문학에서 궤도 긴반지름은 공전 주기와 함께 천체의 궤도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궤도 요소 중 하나이다. 태양계 내에서는 케플러의 제3법칙에 따라 궤도 긴반지름과 공전 주기가 서로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국제 우주 정거장의 공전 주기는 91.74분이며, 궤도 긴반지름은 6738km이다.

3. 1. 공전 주기

천체역학에서 타원 궤도를 도는 천체공전 주기 T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 = 2\pi\sqrt{\frac {a^3} \mu}

이 식에서, 같은 궤도 긴반지름을 가진 타원 궤도의 공전 주기는 이심률에 관계없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2. 케플러의 법칙

태양계에서 궤도 긴반지름은 케플러의 제3법칙에 의해 공전 주기와 관련된다.

:T^2 = a^3.

여기서 ''T''는 년으로 나타낸 공전 주기, ''a''는 천문단위로 나타낸 궤도 긴반지름이다. 이 식은 아이작 뉴턴에 의해 유도된 이체 문제를 기술하는 다음 식으로부터 중력 항을 단순화한 것이다.

:T^2 = \frac{4\pi^2}{G(M + m)}a^3.

여기서

  • ''G''는 중력 상수,
  • ''M''는 주성의 질량,
  • ''m''은 반성의 질량이다.


일반적으로 ''M''는 ''m''보다 충분히 크기 때문에, ''m''의 영향은 무시할 수 있으며, 케플러의 식이 유도된다.

3. 3. 위치 벡터로부터의 계산

천체역학에서 궤도 긴반지름(a)은 천체의 위치 벡터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타원 궤도에서는 다음과 같다.

:a = -\frac{\mu}{2\epsilon}

여기서,

  • v는 속도 벡터로부터 얻어지는 궤도 속도
  • \mathbf{r}는 주성의 위치 벡터
  • G중력 상수
  • M은 주성의 질량


:\epsilon = \frac{\,v^2}{2\,} - \frac{\mu}{\left | \mathbf{r} \right |}

:\mu = GM

주성의 질량과 전체 위치 에너지가 주어지면 궤도 이심률과는 관계없이 궤도 긴반지름의 값이 결정된다.

4. 한국 천문학 및 우주 개발에의 응용

긴반지름 개념은 대한민국의 여러 우주 개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저궤도 인공위성은 지구 관측, 통신 등 다양한 목적에 맞게 궤도 긴반지름을 조절하여 설계된다.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 적도 상공에서 지구 자전 주기와 동일한 공전 주기를 가지며, 궤도 긴반지름은 약 42164km이다. 대한민국의 정지궤도 위성으로는 천리안, 무궁화 위성 등이 있다. 우주 탐사선의 경우, 행성 간 이동 궤도를 결정할 때 궤도 긴반지름이 핵심 변수로 활용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