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앤드루 잭슨 대통령 지지 정당인 민주당이 136석을 확보하여 다수당이 된 선거이다. 국민공화당이 72석, 반메이슨당이 5석을 얻었다. 민주당은 남부 지역에서, 국민공화당은 북동부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다. 선거 결과는 양당제의 확립, 지역주의 심화, 잭슨 행정부의 국정 운영 기반 마련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8년 미국 - 1828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2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앤드루 잭슨과 존 퀸시 애덤스의 대결로, 잭슨의 압승과 민주당의 형성, 네거티브 캠페인, 그리고 민주주의 시대 개막을 알리는 상징적 사건으로 특징지어진다. - 1828년 선거 - 1828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2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앤드루 잭슨과 존 퀸시 애덤스의 대결로, 잭슨의 압승과 민주당의 형성, 네거티브 캠페인, 그리고 민주주의 시대 개막을 알리는 상징적 사건으로 특징지어진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1828–29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국가 | 미국 |
국기 연도 | 1822년 |
유형 | 입법부 |
진행 여부 | 아니오 |
이전 선거 | 1826–27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826년 & 1827년 |
다음 선거 | 1830–31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830년 & 1831년 |
선출 의석 수 | 전체 213석, 미국 하원 |
과반 의석 수 | 107석 |
선거일 | 1828년 7월 9일 – 1829년 10월 5일 |
![]() #b8dbfcff 민주공화당 유지 #4fa8fcff 민주공화당 획득 #fee5b2ff 국민공화당 유지 #f7cf27ff 국민공화당 획득 #ffff9eff 반메이슨당 획득 #808080 구획되지 않은 지역 또는 분할된 복수 선거구" | |
정당별 결과 | |
정당 1 | 잭슨당 (Jacksonian Party) |
![]() | |
지도자 1 | 앤드류 스티븐슨 |
지도자 선거구 1 | 버지니아 제9선거구 |
지난 선거 의석 1 | 113석 |
의석 1 | '136석' |
의석 변화 1 | 증가 23석 |
정당 2 | 반잭슨당 (Anti-Jacksonian Party) |
![]() | |
지도자 2 | 존 W. 테일러 |
지도자 선거구 2 | 뉴욕 제17선거구 |
지난 선거 의석 2 | 100석 |
의석 2 | 72석 |
의석 변화 2 | 감소 28석 |
정당 4 | 반메이슨당 (Anti-Masonic Party) |
지도자 4 | 알 수 없음 |
지도자 선거구 4 | 알 수 없음 |
지난 선거 의석 4 | 0석 |
의석 4 | 5석 |
의석 변화 4 | 증가 5석 |
하원 의장 | |
선거 전 | 앤드류 스티븐슨 |
선거 전 정당 | 잭슨당 |
선거 후 | 앤드류 스티븐슨 |
선거 후 정당 | 잭슨당 |
2. 역사적 배경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앤드루 잭슨을 지지하는 잭슨파와 존 퀸시 애덤스를 지지하는 반 잭슨파 간의 대립 구도 속에서 치러졌다. 이 선거는 미국 정치의 중요한 변화를 가져온 시기로 평가받는다.
이 선거에서 잭슨파는 하원 다수 의석을 차지하며 승리했다. 정당별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1. 앤드루 잭슨의 부상과 민주주의의 확산
182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앤드루 잭슨이 승리하면서, 미국 정치에는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 잭슨은 보통 사람들의 지지를 받으며, 민주주의 이념을 확산시켰다.[11]2. 2. 양당제의 형성: 민주당 vs 국민공화당
앤드루 잭슨을 중심으로 민주당이 형성되었고, 이에 반대하는 세력은 국민공화당으로 결집했다.[11] 이 두 정당은 이후 미국 정치의 주요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2. 3. 지역주의의 심화: 북부 vs 남부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앤드루 잭슨을 지지하는 잭슨파와 존 퀸시 애덤스를 지지하는 반(反) 잭슨파 간의 대립이 심화되는 가운데 치러졌다. 특히, 북부와 남부 간의 경제적, 사회적 차이는 정치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앨라배마, 코네티컷, 델라웨어 주의 선거 결과를 보면 이러한 지역주의적 경향이 나타난다. 앨라배마에서는 3개 선거구 모두에서 잭슨파 후보가 당선되었는데, 이는 남부에서 잭슨의 인기를 보여준다. 반면, 코네티컷에서는 6석 모두 반 잭슨파 후보가 당선되어 북부의 반 잭슨 정서를 반영한다. 델라웨어에서는 반 잭슨파 후보인 킨시 존스 주니어가 재선에 성공했다.
주 | 선거구 | 잭슨파 승리 | 반 잭슨파 승리 |
---|---|---|---|
앨라배마 | 3 | 3 | 0 |
코네티컷 | 6 | 0 | 6 |
델라웨어 | 1 | 0 | 1 |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앤드루 잭슨을 지지하는 민주당과 존 퀸시 애덤스를 지지하는 국민공화당(반 잭슨파)의 대결 구도로 치러졌다.
이러한 선거 결과는 노예제도, 관세 정책 등 주요 현안에 대한 북부와 남부의 입장 차이가 점차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잭슨파는 노예제 옹호와 저율 관세를, 반 잭슨파는 노예제 반대와 보호 무역을 주장하며 대립했다.
3. 주요 정당 및 세력
코네티컷에서는 1829년 4월 29일에 단체 투표제로 6명의 하원의원을 선출, 반 잭슨파(국민공화당) 후보 6명이 당선되었다.[11]
후보 | 정당 | 득표율 |
---|---|---|
랄프 I. 잉거솔 | 반 잭슨파 | 12.3% |
노이스 바버 | 반 잭슨파 | 11.3% |
에베네저 영 | 반 잭슨파 | 9.8% |
제이비즈 W. 헌팅턴 | 반 잭슨파 | 9.4% |
윌리엄 L. 스토러스 | 반 잭슨파 | 8.5% |
윌리엄 W. 엘스워스 | 반 잭슨파 | 8.3% |
데이비드 플랜트 | 잭슨파 | 8.1% |
존 M. 나일스 | 잭슨파 | 4.8% |
앤드류 T. 저드슨 | 잭슨파 | 4.6% |
오렌지 머윈 | 잭슨파 | 4.5% |
엘리샤 펠프스 | 잭슨파 | 3.7% |
존 P. 트로트 | 잭슨파 | 3.4% |
히먼 | 잭슨파 | 3.4% |
로저 셔먼 | 무소속 | 2.0% |
대니얼 버로우 | 무소속 | 1.9% |
기타 | 3.4% |
델라웨어에서는 1828년 10월 7일에 하원의원 1명을 선출, 반 잭슨파(국민공화당) 후보인 킨시 존스 주니어가 52.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3]
후보 | 정당 | 득표율 |
---|---|---|
킨시 존스 주니어 | 반 잭슨파 | 52.3% |
제임스 A. 베어드 주니어 | 잭슨파 | 47.7% |
3. 1. 민주당 (Jacksonian Party)
앤드루 잭슨을 중심으로 결집한 민주당(Jacksonian Party)은 보통 사람들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남부와 서부의 농민, 도시 노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민주당은 제한된 연방 정부, 주(州)의 권리, 자유 무역을 지지했다.[2]다음은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Jacksonian Party) 관련 내용이다.
선거구 | 현직 의원 | 정당 | 첫 당선 | 결과 |
---|---|---|---|---|
미시시피 | 윌리엄 헤일 | 잭슨파 | 1826년 (특별) | 현직 의원이 재선에 실패하여 사임. 잭슨파 유지. |
아칸소 준주 | 헨리 W. 콘웨이 | 없음 | 1823년 | 현직 의원 사망. 잭슨파 획득. |
뉴저지 | 조지 홀콤 | 잭슨파 | 1820년 | 현직 의원 사망. |
헤지 톰슨 | 반 잭슨파 | 1826년 | 현직 의원 사망. | |
뉴욕 5구 | 토마스 J. 오클리 | 잭슨파 | 1826년 | 현직 의원 사임. 잭슨파 유지. |
켄터키 2구 | 토마스 메트칼프 | 반 잭슨파 | 1818년 | 현직 의원 사임. |
메인 4구 | 펄레그 스프라그 | 반 잭슨파 | 1825 | 현직은 이전 의회에서 사임. |
조지아 | 조지 R. 길머 | 잭슨파 | 1820년 | 현직은 법정 기간 내에 직무를 수락하지 못함. 잭슨파 유지. |
펜실베이니아 8구 | 조지 울프 | 잭슨파 | 1824년 (특별) | 현직은 의회가 소집되기 전에 사임. 잭슨파 유지. |
새뮤얼 D. 잉엄 | 잭슨파 | 1812년 | 현직은 미국 재무부 장관이 되기 위해 사임. 잭슨파 유지. | |
노스캐롤라이나 5구 | 가브리엘 홈스 | 잭슨파 | 1825년 | 현직은 사망. 잭슨파 유지. |
노스캐롤라이나 10구 | 존 자일스 | 잭슨파 | 1829년 | 현직은 임기를 수행하지 않고 사임. 잭슨파 유지. |
펜실베이니아 16구 | 윌리엄 윌킨스 | 잭슨파 | 1828년 | 현직은 자격 요건을 갖추기 전에 사임. |
버지니아 10구 | 윌리엄 C. 라이브스 | 잭슨파 | 1823년 | 현직 사임. 잭슨파 유지. |
앨라배마 1구 | 가브리엘 무어 | 잭슨파 | 1821년 | 현직 의원 은퇴. 잭슨파 유지. |
앨라배마 2구 | 존 맥키 | 잭슨파 | 1823년 | 현직 의원 은퇴. 잭슨파 유지. |
앨라배마 3구 | 조지 W. 오웬 | 잭슨파 | 1823년 | 현직 의원 은퇴. 잭슨파 유지. |
코네티컷 | 데이비드 플랜트 | 반 잭슨파 | 1827년 | 현직 재선 실패. |
엘리샤 펠프스 | 반 잭슨파 | 1818년 | 현직 재선 실패. | |
랄프 I. 잉거솔 | 반 잭슨파 | 1825년 | 현직 재선 성공. | |
오렌지 머윈 | 반 잭슨파 | 1825년 | 현직 재선 실패. | |
노이스 바버 | 반 잭슨파 | 1821년 | 현직 재선 성공. | |
존 볼드윈 | 반 잭슨파 | 1825년 | 현직 은퇴. | |
켄터키 1구 | 헨리 다니엘 | 잭슨 | 1827 | 현직 재선. |
켄터키 2구 | 토마스 메트칼프 | 반 잭슨 | 1818년 | 현직자는 사임하여 켄터키 주지사가 됨. 잭슨당 획득. |
현 임기를 마무리하기 위한 선거에서 패배 | ||||
켄터키 3구 | 제임스 클라크 | 반 잭슨 | 1812년 | 현직 재선. |
켄터키 4구 | 로버트 P. 레처 | 반 잭슨 | 1822년 | 현직 재선. |
켄터키 5구 | 로버트 L. 맥해튼 | 잭슨 | 1826년 (특별) | 현직자가 재선에 실패함. 잭슨당 유지. |
켄터키 6구 | 조셉 르콩테 | 잭슨 | 1824년 | 현직 재선. |
켄터키 7구 | 토마스 P. 무어 | 잭슨 | 1822년 | 현직자가 은퇴함. 잭슨당 유지. |
켄터키 8구 | 리처드 A. 버크너 | 반 잭슨 | 1822년 | 현직자가 은퇴함. 잭슨당 획득. |
켄터키 9구 | 찰스 A. 위클리프 | 잭슨 | 1822년 | 현직 재선. |
켄터키 10구 | 조엘 얀시 | 잭슨 | 1827년 | 현직 재선. |
켄터키 11구 | 토마스 칠턴 | 잭슨 | 1827년 (특별) | 현직 재선. |
켄터키 12구 | 치텐든 라이언 | 잭슨 | 1827년 | 현직 재선. |
3. 2. 국민공화당 (National Republican Party, 반 잭슨파)
존 퀸시 애덤스, 헨리 클레이 등 앤드루 잭슨에 반대하는 세력들이 결집하여 국민공화당을 결성했다. 이들은 주로 북동부 지역의 상공업자와 엘리트 계층의 지지를 받았다.[3] 국민공화당은 강력한 연방 정부, 보호 무역 정책, 그리고 국책 은행 설립을 지지하는 입장이었다.[3]다음은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국민공화당(반 잭슨파) 후보들의 선거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3. 3. 반 메이슨당 (Anti-Masonic Party)
반 메이슨당은 비밀 결사 조직인 프리메이슨에 반대하는 세력들이 결집한 정당이다.[1] 이들은 뉴욕주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일부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1] 반 메이슨당은 특정 이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정치 세력화한 초기 사례로 평가받는다.[1]4. 선거 결과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 앤드루 잭슨을 지지하는 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했다. 국민공화당은 일부 의석을 확보했으나 민주당에 미치지 못했고, 반메이슨당은 제3당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하위 섹션의 내용과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간략하게 수정함)
4. 1. 하원 선거 결과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는 앤드루 잭슨을 지지하는 민주당이 하원 다수당을 차지하여 잭슨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힘을 실어주었다. 국민공화당은 북동부 지역에서 일부 의석을 확보했지만, 전체적으로 민주당에 밀렸다. 반 메이슨당은 뉴욕주 등 일부 지역에서 의석을 확보하여 제3당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 2. 주별 선거 결과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각 주별로 다양한 시기에 치러졌다.
- 코네티컷 주: 1829년 4월 29일 (반잭슨파 6석)
- 델라웨어 주: 1828년 10월 7일 (반 잭슨파 1석)
- 조지아 주: 1828년 10월 6일 (잭슨파 7석)
- 일리노이 주: 1828년 8월 4일 (잭슨파 1석)
- 인디애나 주: 1828년 8월 4일 (잭슨파 1석, 반 잭슨파 2석)
- 켄터키 주: 1829년 8월 3일 (잭슨파 8석, 반 잭슨파 4석)
- 루이지애나 주: 1828년 7월 8일~10일 (반 잭슨파 2석, 잭슨파 1석)
- 메인 주: 1828년 9월 8일 (잭슨파 4석, 반 잭슨파 3석)
- 메릴랜드 주: 1829년 10월 5일 (잭슨파 5석, 반 잭슨파 4석)
- 매사추세츠 주: 1828년 11월 7일 (반 잭슨파 13석)
- 미시시피 주: 1828년 8월 4일~5일 (잭슨파 1석)
- 미주리 주: 1828년 8월 4일 (잭슨파 1석)
- 뉴햄프셔 주: 1829년 3월 10일 (잭슨파 6석)
- 뉴저지 주: 1828년 11월 4일 (반 잭슨파 6석)
- 뉴욕 주: 1828년 11월 3일~5일 (잭슨파 20석, 반 잭슨파 7석, 반메이슨당 3석)
- 노스캐롤라이나 주: 1829년 8월 13일 (잭슨파 9석, 반 잭슨파 4석)
- 오하이오 주: 1828년 10월 14일 (잭슨파 9석, 반 잭슨파 5석)
- 펜실베이니아 주: 1828년 10월 14일 (잭슨파 18석, 반 잭슨파 5석, 반메이슨당 1석)
- 로드아일랜드 주: 1829년 8월 27일 (반 잭슨파 2석)
-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1828년 10월 13일~14일 (잭슨파 9석)
- 테네시 주: 1829년 8월 6일~7일 (잭슨파 8석, 반잭슨파 1석)
- 버몬트 주: 1828년 9월 2일 (반 잭슨파 4석, 반메이슨당 1석)
- 버지니아 주: 1829년 4월 (잭슨파 16석, 반 잭슨파 6석)
각 주별 상세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율 |
---|---|---|
랄프 I. 잉거솔 | 반 잭슨파 | 12.3% |
노이스 바버 | 반 잭슨파 | 11.3% |
에베네저 영 | 반 잭슨파 | 9.8% |
제이비즈 W. 헌팅턴 | 반 잭슨파 | 9.4% |
윌리엄 L. 스토러스 | 반 잭슨파 | 8.5% |
윌리엄 W. 엘스워스 | 반 잭슨파 | 8.3% |
데이비드 플랜트 | 잭슨파 | 8.1% |
존 M. 나일스 | 잭슨파 | 4.8% |
앤드류 T. 저드슨 | 잭슨파 | 4.6% |
오렌지 머윈 | 잭슨파 | 4.5% |
엘리샤 펠프스 | 잭슨파 | 3.7% |
존 P. 트로트 | 잭슨파 | 3.4% |
히먼 | 잭슨파 | 3.4% |
로저 셔먼 | 무소속 | 2.0% |
대니얼 버로우 | 무소속 | 1.9% |
기타 | 3.4% |
- 델라웨어 주: 1828년 10월 7일 선거에서 반 잭슨파 후보인 킨시 존스 주니어가 52.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율 |
---|---|---|
킨시 존스 주니어 | 반 잭슨파 | 52.3% |
제임스 A. 베어드 주니어 | 잭슨파 | 47.7% |
- 조지아 주: 1828년 10월 6일 선거에서 7명의 의원 모두 잭슨파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조지 R. 길머 | 잭슨파 | 11.1% |
리처드 헨리 와일드 | 잭슨파 | 11.0% |
와일리 톰슨 | 잭슨파 | 10.2% |
제임스 M. 웨인 | 잭슨파 | 9.4% |
찰스 E. 헤인스 | 잭슨파 | 8.8% |
토마스 F. 포스터 | 잭슨파 | 8.3% |
윌슨 럼킨 | 잭슨파 | 7.6% |
존 A. 커스버트 | 잭슨파 | 6.7% |
토마스 U. 찰턴 | 잭슨파 | 6.2% |
제임스 메리웨더 | 잭슨파 | 5.6% |
윌리엄 트리플렛 | 잭슨파 | 5.5% |
찰스 윌리엄슨 | 잭슨파 | 5.1% |
다니엘 H. 브레이스포드 | 잭슨파 | 4.5% |
- 일리노이 주: 1828년 8월 4일 선거에서 잭슨파 후보인 조셉 던컨이 62.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조셉 던컨 | 잭슨파 | 62.9% |
조지 포커 | 반잭슨파 | 37.1% |
- 인디애나 주: 1828년 8월 4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제1선거구 | 래틀리프 분 | 잭슨파 | 50.3% |
토머스 H. 블레이크 | 반 잭슨파 | 49.7% | |
제2선거구 | 조나단 제닝스 | 반 잭슨파 | 73.3% |
존 H. 톰슨 | 잭슨파 | 26.7% | |
제3선거구 | 존 테스트 | 반 잭슨파 | 55.8% |
존 맥카티 | 잭슨파 | 44.2% |
- 켄터키 주: 1829년 8월 3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제1선거구 | 헨리 다니엘 | 잭슨파 | 66.6% |
제2선거구 | 니콜라스 D. 콜먼 | 잭슨파 | 45.1% |
제3선거구 | 제임스 클라크 | 반 잭슨파 | 71.4% |
제4선거구 | 로버트 P. 레처 | 반 잭슨파 | |
제5선거구 | 리처드 M. 존슨 | 잭슨파 | 55.2% |
제6선거구 | 조셉 르콩테 | 잭슨파 | 54.6% |
제7선거구 | 존 킨케이드 | 잭슨파 | 56.3% |
제8선거구 | 네이선 게이더 | 잭슨파 | 34.5% |
제9선거구 | 찰스 A. 위클리프 | 잭슨파 | 53.6% |
제10선거구 | 조엘 얀시 | 잭슨파 | 51.4% |
제11선거구 | 토마스 칠턴 | 잭슨파 | 64.7% |
제12선거구 | 치텐든 라이언 | 잭슨파 |
- 루이지애나 주: 1828년 7월 8일~10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제1선거구 | 에드워드 D. 화이트 | 반 잭슨파 | 58.6% |
제2선거구 | 헨리 H. 거리 | 반 잭슨파 | 51.1% |
제3선거구 | 월터 H. 오버턴 | 잭슨파 | 55.9% |
- 메인 주: 1828년 9월 8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제1선거구 | 루퍼스 맥킨타이어 | 잭슨파 | 66.0% |
제2선거구 | 존 앤더슨 | 잭슨파 | 76.2% |
제3선거구 | 조셉 F. 윙게이트 | 반잭슨파 | 75.2% |
제4선거구 | 필레그 스프라그 | 반잭슨파 | 94.8% |
제5선거구 | 제임스 W. 립리 | 잭슨파 | 54.4% |
루엘 워시번 | 반잭슨파 | 44.6% | |
제6선거구 | 레너드 자비스 | 잭슨파 | 53.78% |
존 G. 딘 | 미상 | 19.14% | |
새뮤얼 업턴 | 미상 | 16.66% | |
필립 모릴 | 미상 | 6.26% | |
찰스 로웰 | 미상 | 2.05% | |
기타 | 2.12% | ||
제7선거구 | 새뮤얼 버트먼 | 반잭슨파 | 62.0% |
- 메릴랜드 주: 1829년 10월 5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제1선거구 | 클레멘트 도르시 | 반 잭슨파 | 88.1% |
제2선거구 | 베네딕트 J. 셈스 | 반 잭슨파 | 54.5% |
제3선거구 | 조지 C. 워싱턴 | 반 잭슨파 | 100% |
제4선거구 | 마이클 C. 스프리그 | 잭슨파 | 56.0% |
제5선거구 | 벤자민 C. 하워드 | 잭슨파 | 30.0% |
엘리아스 브라운 | 잭슨파 | 29.4% | |
제6선거구 | 조지 E. 미첼 | 잭슨파 | 53.5% |
제7선거구 | 리처드 스펜서 | 잭슨파 | 50.3% |
제8선거구 | 에프레임 K. 윌슨 | 반 잭슨파 | 97.9% |
- 매사추세츠 주: 1828년 11월 7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제1선거구 | 벤자민 고럼 | 반 잭슨파 | 78.6% |
제2선거구 | 벤자민 W. 크로닌실드 | 반 잭슨파 | 54.6% |
제3선거구 | 존 바넘 | 반 잭슨파 | 73.1% |
제4선거구 | 에드워드 에버렛 | 반 잭슨파 | 74.2% |
제5선거구 | 존 데이비스 | 반 잭슨파 | 90.4% |
제6선거구 | 조셉 G. 켄달 | 반 잭슨파 | 52.7% |
제7선거구 | 조지 그레넬 주니어 | 반 잭슨파 | 69.7% |
제8선거구 | 아이작 C. 베이츠 | 반 잭슨파 | 87.7% |
제9선거구 | 헨리 W. 드와이트 | 반 잭슨파 | 53.4% |
제10선거구 | 존 베일리 | 반 잭슨파 | 75.9% |
제11선거구 | 조셉 리차드슨 | 반 잭슨파 | 52.6% |
제12선거구 | 제임스 L. 호지스 | 반 잭슨파 | 81.2% |
제13선거구 | 존 리드 주니어 | 반 잭슨파 | 94.3% |
- 미시시피 주: 1828년 8월 4일~5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율 |
---|---|---|
토마스 힌즈 | 잭슨파 | 43.3% |
데이비드 딕슨 | 잭슨파 | 23.6% |
아담 L. 빙가먼 | 반 잭슨파 | 17.3% |
윌리엄 헤일 | 잭슨파 | 15.8% |
- 미주리 주: 1828년 8월 4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스펜서 D. 페티스 | 잭슨파 | 60.6% |
에드워드 베이츠 | 반 잭슨파 | 39.4% |
- 뉴햄프셔 주: 1829년 3월 10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존 브로드헤드 | 잭슨파 | 9.3% |
토머스 챈들러 | 잭슨파 | 9.2% |
조나단 하비 | 잭슨파 | 9.2% |
조셉 햄몬스 | 잭슨파 | 9.2% |
존 W. 위크스 | 잭슨파 | 9.2% |
헨리 허바드 | 잭슨파 | 9.2% |
랭리 보드먼 | 반 잭슨파 | 7.8% |
조셉 벨 | 반 잭슨파 | 7.7% |
에제키엘 웹스터 | 반 잭슨파 | 7.7% |
조단 로드 | 반 잭슨파 | 7.6% |
데이비드 바커 주니어 | 반 잭슨파 | 7.2% |
존 월러스 | 반 잭슨파 | 6.7% |
- 뉴저지 주: 1828년 11월 4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율 |
---|---|---|
루이스 콘딧 | 반 잭슨파 | 8.7% |
리처드 M. 쿠퍼 | 반 잭슨파 | 8.7% |
아이작 피어슨 | 반 잭슨파 | 8.7% |
새뮤얼 스완 | 반 잭슨파 | 8.7% |
제임스 F. 랜돌프 | 반 잭슨파 | 8.6% |
토머스 H. 휴즈 | 반 잭슨파 | 8.6% |
윌리엄 N. 제퍼스 | 잭슨파 | 8.0% |
제임스 파커 | 잭슨파 | 8.0% |
피터 D. 브룸 | 잭슨파 | 8.0% |
존 클레멘트 | 미상 | 8.0% |
조지 캐시디 | 잭슨파 | 8.0% |
새뮤얼 파울러 | 잭슨파 | 8.0% |
- 뉴욕 주: 1828년 11월 3일~5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제1선거구 | 제임스 렌트 | 잭슨파 | 52.3% |
제2선거구 | 제이콥 크로체론 | 잭슨파 | 59.2% |
제3선거구 | 캠벨 P. 화이트 | 잭슨파 | 24.0% |
굴리안 버플랭크 | 잭슨파 | 18.8% | |
처칠 C. 캄브렐렝 | 잭슨파 | 18.8% | |
제4선거구 | 헨리 B. 코울스 | 반 잭슨파 | 51.0% |
제5선거구 | 아브라함 보키 | 잭슨파 | 58.5% |
제6선거구 | 헥터 크레이그 | 잭슨파 | 55.7% |
제7선거구 | 찰스 G. 드위트 | 잭슨파 | 61.9% |
제8선거구 | 제임스 스트롱 | 반 잭슨파 | 50.9% |
제9선거구 | 존 D. 디킨슨 | 반 잭슨파 | 51.6% |
제10선거구 | 앰브로스 스펜서 | 반 잭슨파 | 51.0% |
제11선거구 | 퍼킨스 킹 | 잭슨파 | 61.6% |
제12선거구 | 피터 I. 보르스트 | 잭슨파 | 57.5% |
제13선거구 | 윌리엄 G. 엔젤 | 잭슨파 | 55.7% |
제14선거구 | 헨리 R. 스토어스 | 반 잭슨파 | 51.1% |
제15선거구 | 마이클 호프먼 | 잭슨파 | 100% |
제16선거구 | 베네딕트 아놀드 | 반 잭슨파 | 52.9% |
제17선거구 | 존 W. 테일러 | 반 잭슨파 | 54.9% |
제18선거구 | 헨리 C. 마틴데일 | 반 잭슨파 | 58.0% |
제19선거구 | 아이작 핀치 | 반 잭슨파 | 48.0% |
제20선거구 | 조지프 호킨스 | 반 잭슨파 | 25.5% |
조지 피셔 | 반 잭슨파 | 25.1% | |
제21선거구 | 로버트 모넬 | 잭슨파 | 63.6% |
제22선거구 | 토마스 비크먼 | 반 잭슨파 | 53.4% |
제23선거구 | 조너스 이어릴 주니어 | 잭슨파 | 50.4% |
제24선거구 | 게르숌 파워스 | 잭슨파 | 61.6% |
제25선거구 | 토마스 맥스웰 | 잭슨파 | 60.1% |
제26선거구 | 로버트 S. 로즈 | 반메이슨당 | 26.4% |
지에힐 H. 할시 | 잭슨파 | 21.4% | |
제27선거구 | 티모시 차일즈 | 반메이슨당 | 54.6% |
제28선거구 | 존 매기 | 잭슨파 | 55.2% |
제29선거구 | 피니어스 L. 트레이시 | 반메이슨당 | 68.9% |
제30선거구 | 에비니저 F. 노턴 | 잭슨파 | 45.0% |
- 노스캐롤라이나 주: 1829년 8월 13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제1선거구 | 윌리엄 비들 셰퍼드 | 반 잭슨파 | 54.0% |
제2선거구 | 윌리스 올스턴 | 잭슨파 | 93.9% |
제3선거구 | 토머스 H. 홀 | 잭슨파 | 93.5% |
제4선거구 | 제시 스페이트 | 잭슨파 | 64.5% |
제5선거구 | 가브리엘 홈스 | 잭슨파 | 52.2% |
제6선거구 | 로버트 포터 | 잭슨파 | 83.9% |
제7선거구 | 에드먼드 데베리 | 반 잭슨파 | 51.9% |
제8선거구 | 대니얼 L. 배링거 | 잭슨파 | 61.5% |
제9선거구 | 어거스틴 H. 셰퍼드 | 잭슨파 | 100% |
제10선거구 | 존 자일스 | 잭슨파 | 58.6% |
제11선거구 | 헨리 W. 코너 | 잭슨파 | |
제12선거구 | 새뮤얼 P. 카슨 | 잭슨파 | 100% |
제13선거구 | 루이스 윌리엄스 | 반 잭슨파 | 58.6% |
- 오하이오 주: 1828년 10월 14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제1선거구
| '''제임스 핀들리'''
| 잭슨파
| 64.4%
|-
| 제2선거구
| '''제임스 실즈'''
| 잭슨파
| 62.1%
|-
| 제3선거구
| '''조셉 H. 크레인'''
| 반 잭슨파
| 57.4%
|-
| 제4선거구
| '''조셉 밴스'''
| 반 잭슨파
| 64.7%
|-
| 제5선거구
| '''윌리엄 러셀'''
| 잭슨파
| 71.8%
|-
| 제6선거구
| '''윌리엄 크레이튼 주니어'''
| 반 잭슨파
| 50.2%
|-
| 제7선거구
| '''새뮤얼 F. 빈턴'''
| 반 잭슨파
| 63.0%
|-
| 제8선거구
| '''윌리엄 스탠베리'''
| 잭슨파
|
|-
| 제9선거구
| '''윌리엄 W. 어빈'''
| 잭슨파
| 56.0%
|-
| 제10선거구
| '''윌리엄 케논 시니어'''
| 잭슨파
| 51.2%
|-
| 제11선거구
| '''존 M. 구데노'''
| 잭슨파
| 52.6%
|-
| 제12선거구
| '''
5. 선거의 영향 및 의의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앤드루 잭슨 대통령 당선과 함께 치러져, 미국 정치의 양당제 확립과 지역주의 심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주당과 국민공화당(반 잭슨파)의 대립 구도가 형성되었고, 이는 이후 미국 정치의 핵심적인 경쟁 구도로 자리 잡았다.
특히, 노예제도와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북부와 남부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는데, 이는 선거 결과에서도 나타난다. 앨라배마, 델라웨어, 조지아 주의 선거 결과를 보면, 남부에서는 잭슨파가, 북부에서는 반 잭슨파가 강세를 보였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북부 | 클레멘트 C. 클레이 | 잭슨파 | 52.0% |
니콜라스 데이비스 | 반 잭슨파 | 48.0% | |
중부[1] | R. E. B. 베일러 | 잭슨파 | 47.3% |
세스 배런 | 미상 | 27.5% | |
헨리 W. 엘리스 | 잭슨파 | 25.2% | |
남부[2] | 딕슨 H. 루이스 | 잭슨파 | 41.4% |
새뮤얼 W. 올리버 | 미상 | 31.3% | |
프랜시스 암스트롱 | 미상 | 27.3% |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전 지역 | 킨시 존스 주니어 | 반 잭슨파 | 52.3% |
제임스 A. 베어드 주니어 | 잭슨파 | 47.7%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조지 R. 길머 | 잭슨파 | 11.1% |
리처드 헨리 와일드 | 잭슨파 | 11.0% |
와일리 톰슨 | 잭슨파 | 10.2% |
제임스 M. 웨인 | 잭슨파 | 9.4% |
찰스 E. 헤인스 | 잭슨파 | 8.8% |
토마스 F. 포스터 | 잭슨파 | 8.3% |
윌슨 럼킨 | 잭슨파 | 7.6% |
존 A. 커스버트 | 잭슨파 | 6.7% |
토마스 U. 찰턴 | 잭슨파 | 6.2% |
제임스 메리웨더 | 잭슨파 | 5.6% |
윌리엄 트리플렛 | 잭슨파 | 5.5% |
찰스 윌리엄슨 | 잭슨파 | 5.1% |
다니엘 H. 브레이스포드 | 잭슨파 | 4.5% |
이러한 결과는 남부에서는 잭슨파의 지지가 강했던 반면, 북부에서는 반 잭슨파의 세력이 만만치 않았음을 보여준다.
한편, 이 선거에서 잭슨 대통령의 민주당은 다수 의석을 확보하여, 인디언 강제 이주 정책, 국책 은행 폐지 등 주요 정책 추진의 기반을 마련했다.[2]
5. 1. 양당제의 확립
1828년에서 1829년 사이의 선거는 미국의 정치에서 양당제가 확고하게 자리 잡는 중요한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앤드루 잭슨을 지지하는 민주당과 존 퀸시 애덤스를 지지하는 국민공화당(반 잭슨파)이 주요 정치 세력으로 부상했다.이 두 정당은 이후 미국의 정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민주당은 잭슨 대통령의 대중적 인기와 광범위한 지지 기반을 바탕으로 성장했고, 국민공화당은 잭슨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결집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이러한 양당 체제의 확립은 미국의 정치 체제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5. 2. 지역주의의 심화
182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앤드루 잭슨을 대통령으로 당선시킨 선거와 함께 치러졌으며, 북부와 남부 간의 경제적, 사회적 차이와 지역주의 심화를 반영했다. 특히, 노예제도와 관세 정책을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은 이후 미국 정치의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었다.앨라배마, 델라웨어, 조지아 주의 선거 결과를 보면 이러한 지역주의 경향이 나타난다.
- 앨라배마 (3석): 3석 모두 잭슨파 후보가 당선되었다.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북부 | 클레멘트 C. 클레이 | 잭슨파 | 52.0% |
니콜라스 데이비스 | 반 잭슨파 | 48.0% | |
중부[1] | R. E. B. 베일러 | 잭슨파 | 47.3% |
세스 배런 | 미상 | 27.5% | |
헨리 W. 엘리스 | 잭슨파 | 25.2% | |
남부[2] | 딕슨 H. 루이스 | 잭슨파 | 41.4% |
새뮤얼 W. 올리버 | 미상 | 31.3% | |
프랜시스 암스트롱 | 미상 | 27.3% |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전 지역 | 킨시 존스 주니어 | 반 잭슨파 | 52.3% |
제임스 A. 베어드 주니어 | 잭슨파 | 47.7%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조지 R. 길머 | 잭슨파 | 11.1% |
리처드 헨리 와일드 | 잭슨파 | 11.0% |
와일리 톰슨 | 잭슨파 | 10.2% |
제임스 M. 웨인 | 잭슨파 | 9.4% |
찰스 E. 헤인스 | 잭슨파 | 8.8% |
토마스 F. 포스터 | 잭슨파 | 8.3% |
윌슨 럼킨 | 잭슨파 | 7.6% |
존 A. 커스버트 | 잭슨파 | 6.7% |
토마스 U. 찰턴 | 잭슨파 | 6.2% |
제임스 메리웨더 | 잭슨파 | 5.6% |
윌리엄 트리플렛 | 잭슨파 | 5.5% |
찰스 윌리엄슨 | 잭슨파 | 5.1% |
다니엘 H. 브레이스포드 | 잭슨파 | 4.5% |
이러한 결과는 남부에서는 잭슨파의 지지가 강했던 반면, 북부에서는 반 잭슨파의 세력이 만만치 않았음을 보여준다.
5. 3. 잭슨 행정부의 국정 운영 기반 마련
1828년 하원 선거에서 앤드루 잭슨 대통령의 민주당은 다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하였다.[2] 이 선거 결과는 잭슨 행정부가 주요 정책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잭슨 대통령이 강력하게 추진했던 정책 중 하나는 인디언 강제 이주 정책이었다. 이 정책은 동남부 지역에 거주하던 체로키족, 크리크 족 등 원주민 부족들을 미시시피 강 서쪽의 지정된 지역으로 강제로 이주시키는 것을 골자로 했다.
또한 잭슨 대통령은 국책 은행에 대한 불신을 공공연히 드러냈으며, 결국 국책 은행의 재인가를 거부하고 폐지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이러한 잭슨 행정부의 주요 정책들은 1828년 하원 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면서 확보한 의회 내 지지 기반을 바탕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6. 특별 선거
제20대 미국 연방 의회와 제21대 미국 연방 의회를 위한 특별 선거가 1828년과 1829년에 치러졌다. 특별 선거는 날짜와 지역구 순으로 정렬되어 있다.
선거구 | 당선자 | 정당 | 이전 선거 | 당선 이유 | 득표 |
---|---|---|---|---|---|
아칸소 준주 | 앰브로스 H. 세비어 | 1828년 특별 선거 | 현직 재선 | ||
플로리다 준주 | 조지프 M. 화이트 | 잭슨 | 1824년 | 현직 재선 | |
미시간 준주 | 오스틴 E. 윙 | 1824년 | 은퇴 |
참조
[1]
서적
Dubin, pg. 95; Martis, pg. 90
[2]
웹사이트
Twentieth Congress March 4, 1827, to March 3, 1829
https://historycms2.[...]
Office of the Historian,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9-05-31
[3]
웹사이트
Twenty-First Congress March 4, 1829, to March 3, 1831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Historian,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9-05-30
[4]
웹사이트
ME District 4 - Special Election - 1st Trial
https://www.ourcampa[...]
2011-01-11
[5]
웹사이트
ME District 4 - Special Election - 2nd Trial
https://www.ourcampa[...]
2011-01-11
[6]
웹사이트
GA At-Large - Special Election
https://www.ourcampa[...]
2011-02-16
[7]
웹사이트
Pennsylvania Election Statistics: 1682-2006
http://staffweb.wilk[...]
Wilkes University
2007-01-31
[8]
웹사이트
NC District 05 - Special Election
https://www.ourcampa[...]
2005-06-26
[9]
웹사이트
NC District 10 - Special Election
https://www.ourcampa[...]
2005-05-08
[10]
웹사이트
VA District 10 Special Election
https://www.ourcampa[...]
2014-12-25
[11]
웹사이트
State of Connecticut Elections Database » Search Past Election Results
https://electionhist[...]
2024-09-23
[12]
웹사이트
ME District 5 - 1st Trial
https://www.ourcampa[...]
2011-02-10
[13]
웹사이트
ME District 5 - 2nd Trial
https://www.ourcampa[...]
2011-02-10
[14]
웹사이트
ME District 6 - 1st Trial
https://www.ourcampa[...]
2011-02-11
[15]
웹사이트
ME District 6 - 2nd Trial
https://www.ourcampa[...]
2011-02-11
[16]
웹사이트
ME District 6 - 3rd Trial
https://www.ourcampa[...]
2011-02-11
[17]
웹사이트
ME District 6 - 4th Trial
https://www.ourcampa[...]
2011-02-11
[18]
웹사이트
ME District 6 - 5th Trial
https://www.ourcampa[...]
2011-02-11
[19]
웹사이트
ME District 6 - 1st Trial
https://www.ourcampa[...]
2011-02-11
[20]
웹사이트
Wilkes University Elections Statistics Project
http://staffweb.wilk[...]
[21]
웹사이트
VT Elections Database » Vermont Election Results and Statistics
https://electionarch[...]
2024-08-29
[22]
웹사이트
Virginia Elections Database » Virginia Election Results and Statistics
https://historical.e[...]
2024-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