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8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는 독일 제국의 국가의회를 구성하기 위해 치러진 선거이다. 국민자유당은 99석을 얻어 원내 제1당을 유지했으나 의석수가 감소했고, 중앙당은 98석으로 제2당을 유지했다. 사회주의노동자당은 11석을 얻었으며, 보수 정당들의 의석이 늘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7년 2월 - 1887년 2월 22일 일식
188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 |
---|---|
선거 개요 | |
선거 이름 | 1887년 독일 연방 선거 |
국가 | 독일 제국 |
선거 유형 | 의회 |
선거일 | 1887년 2월 21일 |
이전 선거 | 1884년 독일 연방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884년 |
다음 선거 | 1890년 독일 연방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890년 |
선출 의석 수 | 국가 의회의 전체 397석 |
과반 의석 수 | 199석 |
등록 유권자 수 | 9,769,654명 |
등록 유권자 수 변화 | 4.12% |
투표율 | 7,570,710명 (77.49%) |
투표율 변화 | 16.94%p |
![]() | |
주요 정당 및 지도자 | |
정당 대표 | 루돌프 폰 베닉센 |
정당 | 국민자유당 |
대표 취임일 | 1867년 |
이전 선거 득표율 | 17.44%, 50석 |
획득 의석 수 | 98석 |
의석 수 변화 | 48 |
득표수 | 표 |
득표율 | 21.90% |
득표율 변화 | 4.46 %p |
정당 대표 | 루드비히 빈트호르스트 |
정당 | 독일 중앙당 |
대표 취임일 | 1874년 5월 26일 |
이전 선거 득표율 | 22.52%, 99석 |
획득 의석 수 | 98석 |
의석 수 변화 | 1 |
득표수 | ""표 |
득표율 | 19.91% |
득표율 변화 | 2.61 %p |
정당 대표 | 오토 폰 헬도르프 |
정당 | 독일 보수당 |
대표 취임일 | 1876년 6월 7일 |
이전 선거 득표율 | 15.16%, 78석 |
획득 의석 수 | 80석 |
의석 수 변화 | 2 |
득표수 | ""표 |
득표율 | 15.21% |
득표율 변화 | 0.05 %p |
정당 대표 | 빅토르 1세, 라티보르 공작 |
정당 | 자유보수당 |
이전 선거 득표율 | 6.85%, 28석 |
획득 의석 수 | 41석 |
의석 수 변화 | 13 |
득표수 | ""표 |
득표율 | 9.77% |
득표율 변화 | 2.92 %p |
정당 대표 | 루돌프 피르호 |
정당 | 독일 자유사상당 |
대표 취임일 | 1884년 3월 5일 |
이전 선거 득표율 | 17.28%, 66석 |
획득 의석 수 | 32석 |
의석 수 변화 | 34 |
득표수 | ""표 |
득표율 | 12.62% |
득표율 변화 | 4.66 %p |
정당 | 폴란드당 |
이전 선거 득표율 | 3.71%, 16석 |
획득 의석 수 | 13석 |
의석 수 변화 | 3 |
득표수 | ""표 |
득표율 | 3.02% |
득표율 변화 | 0.69 %p |
선거 이후 | |
이전 국가의회 의장 | 빌헬름 폰 베델-피스도르프 |
이전 의장 소속 정당 | 독일 보수당 |
선거 후 국가의회 의장 | 빌헬름 폰 베델-피스도르프 |
선거 후 의장 소속 정당 | 독일 보수당 |
2. 선거 결과
188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 득표수 | % | 의석수 | +/– |
---|---|---|---|---|
국민자유당 | 1,678,000 | 22.26 | 99 | +48 |
독일 중앙당 | 1,516,200 | 20.12 | 98 | -1 |
독일 보수당 | 1,147,200 | 15.18 | 80 | +2 |
독일 자유사상당 | 973,100 | 12.91 | 32 | -35 |
사회주의노동자당 | 763,100 | 10.12 | 11 | -13 |
독일 제국당 | 736,400 | 9.77 | 41 | +13 |
알자스-로렌 그룹 | 233,700 | 3.10 | 15 | 0 |
폴란드인 그룹 | 220,000 | 2.92 | 13 | -3 |
독일-하노버당 | 112,800 | 1.50 | 4 | -7 |
독일 인민당 | 88,800 | 1.18 | 0 | -7 |
덴마크인 그룹 | 12,000 | 0.16 | 1 | 0 |
반유대주의 | 11,600 | 0.15 | 1 | +1 |
기타 | 47,600 | 0.63 | 2 | +2 |
무효/기권 | 29,800 | – | – | – |
합계 | 7,570,700 | 100 | 397 | 0 |
등록 유권자/투표율 | 9,769,800 | 77.49 | – | – |
비스마르크를 지지하는 국민자유당, 보수당, 독일 제국당, 이른바 '카르텔' 정당들이 의석을 대폭 늘렸다. 특히 국민자유당은 48석을 추가하며 원내 제1당이 되었다. 반면 자유사상당과 사회주의노동자당은 의석이 크게 줄었다. 중앙당은 1석을 잃었지만, 여전히 제2당의 위치를 유지했다.[1]
2. 1. 지역별 결과 (알자스-로렌)
비스마르크와의 갈등으로 국민자유당은 원내 제1당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의석수가 감소했다. 사회민주당은 정부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의석을 일부 회복하며,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확인했다. 중앙당은 가톨릭교회의 굳건한 지지를 바탕으로 제2당의 자리를 유지했다. 보수 정당들은 의석을 늘리며 세력을 확장했다.
[1]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3. 결과 분석 및 영향
정당 득표수 의석수 득표율 변화 의석수 변화 국민자유당 1,651,288 98 +4.46% +48 중앙당 1,501,774 98 -2.61% -1 독일 보수당 1,147,200 80 +0.05% +2 독일 자유국민당 951,861 32 -4.66% -34 사회민주당 763,102 11 +0.41% -13 독일 제국당 736,389 41 +2.92% +13 알자스-로렌 정당 233,685 15 +0.18% 0 폴란드당 227,835 13 -0.69% -3 독일-하노버당 119,441 4 -0.12% -7 독일 인민당 88,818 0 -0.51% -7 무소속 자유주의자 73,080 3 +0.47% +1 무소속 보수주의자 13,531 0 +0.14% 0 덴마크당 12,360 1 -0.10% 0 무소속 반유대주의자 11,593 1 +0.15% +1 기타 8,826 0 -0.09% 0 불명 157 0 0.00% 0
참조
[2]
서적
[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