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보수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보수당은 1866년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독일 통일 사업을 지지하기 위해 프로이센 보수당 내 자유주의적 보수파 의원들이 결성한 정당이다. 사회주의, 급진주의, 반동주의 운동에 반대하고 온건한 입헌 군주제를 지향했으며, 비스마르크에게 가장 신뢰받는 당으로 여겨졌다. 1876년 이후에는 독일 제국 의회에서 '독일 제국당'으로 활동했으며, 보수당 및 국민자유당과 함께 비스마르크를 지지하는 연합을 형성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국가 인민당으로 재편되었고, 일부는 독일 인민당으로 합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7년 설립된 정당 -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은 1867년 결성되어 자유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개인의 자유, 사회 정의, 다문화주의를 옹호하며, 보수당과 번갈아 가며 집권하여 캐나다의 주권 강화와 다문화주의를 추진해왔다. - 1867년 설립된 정당 - 캐나다 보수당 (1867년)
캐나다 보수당(1867년)은 자유-보수당 연합에서 기원하여 캐나다 연합을 지지하고 강력한 중앙 정부 수립에 기여했으며, 존 A. 맥도널드가 초대 총리가 되어 캐나다 최초의 국가 정부를 구성했고, 이후 진보보수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 독일 제국의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은 1875년 설립된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60만 명의 당원들이 지역 단위에서 의결권을 행사하며, 사회적 시장경제를 지향하고, 빌리 브란트, 헬무트 슈미트, 게르하르트 슈뢰더, 올라프 숄츠 등 여러 총리를 배출했다. - 독일 제국의 정당 - 독일 조국당
독일 조국당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7년에 창설된 독일의 극우 민족주의 정당으로, 전쟁 승리와 영토 확장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후 나치당의 기원이 되는 독일 노동자당 결성에 영향을 주었다. - 보수주의 정당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는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법치주의, 강력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반공주의와 민족주의를 중시하며, 경제 개입주의를 옹호하는 경향과 소득 재분배에 대한 제한적인 입장을 취하고, LGBT 권리와 페미니즘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을 받아왔으나 1987년 민주화 이후 신자유주의적 가치를 강조하며 변화를 거듭해왔다. - 보수주의 정당 - 대안신당
대안신당은 2019년 민주평화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2020년 창당되었으나, 2020년 민생당에 흡수되어 소멸된 정당이다.
자유보수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자유보수당 |
원어 이름 | (독일어) |
다른 이름 | (독일어, 제국당) |
약칭 | FKP |
위치 | 베를린, 프로이센 왕국 |
색상 | |border=darkgray}} 하늘색 |
역사 | |
창당 | 1866년 7월 28일 |
해산 | 1918년 12월 13일 |
분리 정당 | 프로이센 보수당 |
후계 정당 | 독일 국가인민당 (우익 파벌), 독일 인민당 (온건 파벌) |
지도부 | |
역사적 지도자 | 빅토르 1세 폰 라티보르 공작 |
이념 및 정책 | |
정치적 이념 | 자유보수주의 진보적 보수주의 정치적 개신교 동엘베 지역주의 독일 민족주의 농본주의 |
정치적 위치 | 중도 ~ 중도우파 |
반대 | 반동 |
조직 및 활동 | |
본부 | 베를린 |
신문 | Die Post |
2. 당사
자유보수당은 1876년 이후 제국 의회에서는 "독일 제국당"이라는 당명으로 활동했지만, 프로이센에서는 "자유보수당"이라는 이름을 유지했다.[4] 1887년 독일 보수당, 제국당, 국민자유당은 선거 협정을 맺고 "카르텔"이라 불렸다.[5]
제국당은 제국 의회에서 의석수는 적었지만, 보수당과 국민자유당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독일 보수당이 농업 이익 단체화 되어가는 것과는 달리, 제국당은 명망가들이 모이는 보수 정당으로 남았으나, 제국 의회 선거 때마다 의석을 잃어 군소 정당으로 전락했다.
프로이센 하원에서는 불평등한 선거 제도 덕분에 독일 사회민주당의 진출을 막고, 보수당, 자유보수당, 국민자유당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2. 1. 창당 배경
프로이센의 보수당은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독일 통일 사업을 "위로부터의 혁명"으로 여겨 반대했다. 그러나 보수당 내에는 이러한 초보수주의에 반대하며 비스마르크를 지지하는 에두아르트 폰 베투지-후크 백작이 이끄는 자유주의적 보수파도 있었다. 이들은 1866년 7월 28일 비스마르크를 지지하는 새로운 보수 정당인 "자유보수당"을 결성했다.[1][2]자유보수당은 독일 진보당에서 비스마르크 지지파가 분당한 국민자유당보다 더 광범위하게 비스마르크를 지지했다. 비스마르크도 자유보수당을 가장 신뢰했으며, "순종 비스마르크 당(Bismarck sans phrase)"이라고 불렸다.[1]
자유보수당은 사회주의, 급진주의, 반동주의 운동에 반대하고 온건한 입헌 군주제를 지향했다. 보수당이 프로테스탄트 색채가 강한 프로이센의 대지주, 고급 관료, 장교 등을 지지층으로 삼은 반면, 자유보수당은 지식인층에게도 일정 수준의 지지를 받았고, 고급 관리를 중심으로 했다.[3] 슐레지엔 지방이나 라인 지방의 귀족 및 실업가 등이 작지만 강력하게 단결한 당이었다.[4][5] 보수당과 자유보수당은 모두 프로이센·독일의 전통적 보수주의 계보에 있는 정당이었다.[3]
2. 2. 비스마르크와의 관계
프로이센의 보수당은 프로이센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독일 통일 사업을 "위로부터의 혁명"으로 거부하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보수당 내에는 이러한 초보수주의에 반대하며 비스마르크를 지지하는 에두아르트 폰 베투지-후크가 이끄는 자유주의적 보수파도 존재했다. 그들은 보수당 의원단 내에서 독자적인 의원단을 구성하고 있었지만, 1866년 7월 28일에 비스마르크를 지지하는 새로운 보수 정당으로 "자유보수당"을 결성했다.[1][2]자유보수당은 동시기 독일 진보당에서 비스마르크 지지파가 분당한 국민자유당 이상으로 무조건적이고 광범위하게 비스마르크를 지지하는 당이었다. 비스마르크에게서도 가장 신뢰받는 당이었으며, "순종 비스마르크 당(Bismarck sans phrase)"이라고 불렸다.[1]
1876년 이후에는 제국 의회에서 "독일 제국당"이라는 당명으로 활동했다. 다만 프로이센에서는 "자유보수당"의 당명으로 활동했다.[3] 1876년에는 보수당이 독일 보수당으로 개편되어 친비스마르크적인 정당이 되었기 때문에, 보수당·제국당·국민자유당이 비스마르크 정치를 지지하는 일이 늘어났다. 1887년에 비스마르크는 보수당·제국당·국민자유당에 "3당 중 지난 선거에서 승리한 정당이 있는 선거구는, 그 당의 후보자를 나머지 두 당이 지원하고, 그 외의 선거구에서는 단일 후보를 옹립한다"라는 협정을 체결하게 했다. 그 때문에 이 이후 이 3당은 "카르텔"이라고 불리게 되었다.[4]
제국당은 제국 의회에서 의원 수가 많은 당은 아니었지만, 정치적으로 보수당과 국민자유당의 중간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정부 여당으로서는 중요한 지위를 차지했다.
2. 3. 이념과 지지층
자유보수당은 사회주의적, 급진적, 반동적 운동에 반대하고 온건한 입헌 군주제를 지향했다. 보수당이 개신교 색채가 강한 프로이센의 융커(대지주), 고급 관료, 장교 등을 지지층으로 삼은 데 반해, 자유보수당은 지식인층에게도 일정 수준의 지지를 받았고, 고급 관리들을 중심 기반으로 했다.[1] 슐레지엔 지방이나 라인 지방의 귀족 및 실업가 등이 작지만 강력하게 단결한 당이었다.[2][3] 다만,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보수당과 자유보수당은 모두 프로이센·독일의 전통적 보수주의의 계보에 있는 정당이었다.[1]1876년 이후에는 제국 의회에서 "독일 제국당"이라는 당명으로 활동했다. 다만 프로이센에서는 "자유보수당"이라는 당명으로 활동했다.[5] 독일 보수당이 농업자동맹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농업 이익 단체화되어 간 것과는 대조적으로, 제국당은 여러 명망가들이 모이는 보수 정당으로 남았다.[5]
2. 4. 주요 활동
오토 폰 비스마르크를 지지하는 보수 정당인 자유보수당은 1866년 7월 28일에 결성되었다. 이들은 비스마르크의 독일 통일 사업을 "위로부터의 혁명"으로 여기는 것에 반대하며, 비스마르크를 적극 지지하였다.자유보수당은 국민자유당보다 더 광범위하고 무조건적으로 비스마르크를 지지했으며, 비스마르크에게 가장 신뢰받는 당이었다. "순종 비스마르크 당(Bismarck sans phrase)"이라고 불렸다.[1] 이들은 사회주의, 급진주의, 반동주의 운동에 반대하고 온건한 입헌 군주제를 지향했다.[2]
대지주, 고급 관료, 장교 등을 기반으로 하는 보수당과 달리, 자유보수당은 지식인층에게도 일정 수준의 지지를 받았으며, 고급 관료들을 중심으로 했다.[2] 슐레지엔 지방이나 라인 지방의 귀족 및 실업가들이 주요 구성원이었다.[3]
1876년 이후 제국 의회에서는 "독일 제국당"이라는 당명으로 활동했지만, 프로이센에서는 "자유보수당"이라는 이름을 유지했다.[4] 1876년, 보수당이 독일 보수당으로 개편되어 친비스마르크적인 정당이 되면서, 보수당, 제국당, 국민자유당은 비스마르크를 지지하는 연합 세력이 되었다.[5] 1887년에는 이들 3당이 선거 협정을 맺어 "카르텔"이라고 불렸다.[5]
제국당은 제국 의회에서 의석수는 적었지만, 보수당과 국민자유당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독일 보수당이 농업 이익 단체화 되어가는 것과는 달리, 제국당은 다양한 명망가들이 모이는 보수 정당으로 남았다. 그러나 제국 의회 선거 때마다 의석을 잃어 군소 정당으로 전락했다.
프로이센 하원에서는 불평등한 선거 제도 덕분에 독일 사회민주당의 진출을 막고, 보수당, 자유보수당, 국민자유당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 12월, 자유보수당은 보수당, 국민자유당 우파 등과 함께 독일 국가 인민당으로 재편되었고, 일부는 독일 인민당으로 합류했다. 자유보수당 출신의 오스카 헤르크트는 독일 국가 인민당의 초대 당수가 되었다. 제국당 소속 제국 의회 의원이었던 에두아르트 폰 리에베르트는 1929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에 입당했다.
3. 역대 당수
4. 주요 당원
- Heinrich von Achenbach
- Carl Ferdinand von Stumm-Halberg
- 클로트비히 추 호엔로에-실링스퓌르스트 후작
- Willibald von Dirksen
- 한스 델브뤼크
- Karl Rudolf Friedenthal
- Johann Viktor Bredt
- 한스 폰 베셀러
- Hermann von Hatzfeldt
- Hugo zu Hohenlohe-Öhringen
- 한스 하인리히 11세 폰 호흐베르크 백작, 프레스 후작, 퓔르스텐슈타인 남작
- 빅토르 1세 폰 라티보르 공작, 콜바이 후작
- Karl Max von Lichnowsky
- Eduard von Liebert
5. 선거 결과
자유보수당은 독일 제국의 제국 의회 선거에 참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날짜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순위 |
---|---|---|---|---|
1867년 2월 | 348,537 | 9.33% | 39석 | 4위 |
1867년 8월 | 205,792 | 8.95% | 36석 | 4위 |
1871년 | 343,098 | 8.83% | 37석 | 5위 |
1874년 | 388,840 | 7.49% | 33석 | 4위 |
1877년 | 424,228 | 7.85% | 38석 | 5위 |
1878년 | 785,631 | 13.64% | 57석 | 3위 |
1881년 | 382,149 | 7.50% | 27석 | 6위 |
1884년 | 387,637 | 6.85% | 28석 | 6위 |
1887년 | 736,389 | 9.77% | 41석 | 4위 |
1890년 | 461,307 | 6.38% | 19석 | 6위 |
1893년 | 437,972 | 5.71% | 28석 | 6위 |
1898년 | 337,601 | 4.35% | 22석 | 6위 |
1903년 | 336,617 | 3.54% | 21석 | 6위 |
1907년 | 471,863 | 4.19% | 24석 | 6위 |
1912년 | 396,948 | 3.25% | 14석 | 6위 |
5. 1. 프로이센 의회
선거 연도 | 획득 의석 (총 의석) | 의석 순위 |
---|---|---|
1867년 | 48석 (432석) | 제3당[5] (보수당, 국민자유당에 이어 독일 진보당과 동률) |
1870년 | 41석 (432석) | 제5당[5] (국민자유당, 보수당, 중앙당, 독일 진보당에 이음) |
1873년 | 35석 (432석) | 제4당[5] (국민자유당, 중앙당, 독일 진보당에 이음) |
1876년 | 35석 (433석) | 제5당[5] (국민자유당, 중앙당, 독일 진보당, 독일 보수당에 이음) |
1879년 | 51석 (433석) | 제4당[5] (독일 보수당, 국민자유당, 중앙당에 이음) |
1882년 | 57석 (433석) | 제4당[5] (독일 보수당, 중앙당, 국민자유당에 이음) |
1885년 | 62석 (433석) | 제4당[5] |
1888년 | 64석 (433석) | 제4당[5] |
1893년 | 65석 (433석) | 제4당[5] |
1898년 | 59석 (433석) | 제4당[5] |
1903년 | 60석 (433석) | 제4당[5] |
1908년 | 60석 (443석) | 제4당[5] |
1913년 | 54석 (443석) | 제4당[5] |
1918년 | 53석 (437석) | 제4당[5] |
5. 2. 북독일 연방 제국 의회
날짜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순위 | 비고 |
---|---|---|---|---|---|
1867년 2월 | 348,537 | 9.33% | 39석 | 4위 | 야당 |
1867년 8월 | 205,792 | 8.95% | 36석 | 4위 | 야당 |
5. 3. 독일 제국 의회
날짜 | 득표수 | 의석 | 순위 | 규모 | |||
---|---|---|---|---|---|---|---|
득표수 | 득표율 | ± %p | 의석 | ± | |||
1871년 | 343,098 | 8.83 | 37 | 5위 | |||
1874년 | 388,840 | 7.49 | 1.34 | 33 | 4 | 4위 | |
1877년 | 424,228 | 7.85 | 0.36 | 38 | 5 | 4위 | |
1878년 | 785,631 | 13.64 | 5.79 | 57 | 19 | 3위 | |
1881년 | 382,149 | 7.50 | 6.14 | 28 | 29 | 6위 | |
1884년 | 387,637 | 6.85 | 0.65 | 28 | 6위 | ||
1887년 | 736,389 | 9.77 | 2.92 | 41 | 13 | 4위 | |
1890년 | 461,307 | 6.38 | 3.39 | 20 | 21 | 6위 | |
1893년 | 437,972 | 5.71 | 0.67 | 28 | 8 | 5위 | |
1898년 | 337,601 | 4.35 | 1.36 | 23 | 5 | 6위 | |
1903년 | 336,617 | 3.54 | 0.81 | 21 | 2 | 5위 | |
1907년 | 471,863 | 4.19 | 0.65 | 24 | 3 | 6위 | |
1912년 | 396,948 | 3.25 | 0.94 | 14 | 10 | 7위 |
참조
[1]
서적
Modern Prussian History: 1830-194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2]
서적
Economists in Parliament in the Liberal Age: (1848–192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
서적
The Politics of Moderation in Modern European History
Springer Nature
2019
[4]
간행물
Liebert, Eduard v.
[5]
웹사이트
Wahlen in Deutschland
http://www.wahlen-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