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2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랄라시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1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오스트랄라시아 선수단은 수영, 육상, 조정, 테니스 종목에 출전했다. 수영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고, 테니스에서 동메달 1개를 추가했다. 수영에서는 패니 듀락이 여자 100m 자유형에서 금메달, 세실 히리, 말콤 챔피언, 레슬리 보드먼, 해럴드 하드윅이 남자 4 × 200m 자유형 계영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테니스에서는 앤서니 와일딩이 남자 실내 단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오스트랄라시아 선수단 - 1908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랄라시아 선수단
1908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랄라시아 선수단은 럭비에서 금메달 1개를 포함하여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3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1912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랄라시아 선수단 | |
---|---|
기본 정보 | |
NOC | ANZ |
참가 올림픽 | 하계 올림픽 |
연도 | 1912년 |
개최지 | 스톡홀름 |
국가 | 오스트랄라시아 |
깃발 설명 | 오스트랄라시아 올림픽 깃발 |
이전 코드 | (없음) |
웹사이트 | (없음) |
참가 정보 | |
참가 선수 | 26명 |
남자 선수 | 24명 |
여자 선수 | 2명 |
종목 | 4개 |
세부 종목 | 16개 |
기수 | 맬컴 챔피언 |
임원 | (없음) |
성적 | |
순위 | 12위 |
금메달 | 2개 |
은메달 | 2개 |
동메달 | 3개 |
총 메달 수 | 7개 |
올림픽 참가 역사 | |
첫 참가 | 1908년 |
마지막 참가 | 1912년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없음) |
관련 정보 | |
같이 보기 | 오스트레일리아 (1896–1904, 1920–) 뉴질랜드 (1920–) |
2. 메달 집계
1908년 런던 올림픽에 이어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합동 선수단을 결성하여 오스트랄라시아로 참가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3개로 총 7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 | 파니 듀락 | 수영 | 여자 100m 자유형 |
-- | 세실 히리, 말콤 챔피언, 레슬리 보드먼, 해럴드 하드윅 | 수영 | 남자 4 × 200m 자유형 계영 |
-- | 세실 히리 | 수영 | 남자 100m 자유형 |
-- | 빌헬미나 와일리 | 수영 | 여자 100m 자유형 |
-- | 해럴드 하드윅 | 수영 | 남자 400m 자유형 |
-- | 해럴드 하드윅 | 수영 | 남자 1500m 자유형 |
-- | 앤서니 와일딩 | 테니스 | 남자 단식 실내 |
2. 1. 종목별 메달 집계
2. 2. 메달리스트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패니 듀락 | 수영 | 여자 100m 자유형 | |
금메달 | 레즐리 보드맨, 맬컴 챔피언, 세실 힐리, 해롤드 하드윅 | 수영 | 남자 4x200m 자유형 계주 |
세실 힐리 | 수영 | 남자 100m 자유형 | |
은메달 | 윌헤미너 와일리 | 수영 | 여자 100m 자유형 |
해롤드 하드윅 | 수영 | 남자 400m 자유형, 남자 1500m 자유형 | |
동메달 | 앤서니 와일딩 | 테니스 | 남자 실내 단식 |
1912년 하계 올림픽에 오스트랄라시아 선수단은 수영, 육상, 조정, 테니스 등 4개 종목에 참가했다.
3. 종목별 성적
수영에서는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였으며, 대회 마지막 날 세계신기록 1개와 올림픽신기록 1개를 추가했다. 육상, 조정, 테니스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3. 1. 수영
1912년 하계 올림픽에 오스트랄라시아 선수단은 총 9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이들은 대회 마지막 날 세계신기록 1개와 올림픽신기록 1개를 추가했다.
오스트랄라시아의 여자 수영 선수 패니 듀락과 미나 와일리는 여자 100m 자유형에서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듀락은 준준결승에서 올림픽신기록을 세웠고, 이 기록은 이후 경기에서도 깨지지 않았다.
남자 자유형 계영 팀은 1908년 하계 올림픽에서 영국 팀이 세운 종전 기록(10:53.4)을 미국 팀이 경신한 10:26.4를 다시 12.4초 앞당기며 세계신기록으로 금메달을 땄다. 이후 결승에서 다시 2.8초를 단축했다.
해롤드 하드윅과 세실 힐리는 남자 400m 자유형 예선에서 각각 올림픽 기록을 잠시 갱신했고, 결승에서는 각각 3, 4위를 차지했다. 하드윅은 1500m 자유형에서 동메달, 힐리는 100m 자유형에서 은메달을 추가했다.
선수 | 종목 | 예선 | 준준결승 | 준결승 | 결승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레즐리 보드맨 | 100m 자유형 | 1:06.0 | 6 | 1:05.4 | 7 | 진출 실패 | |||
맬컴 챔피언 | 400m 자유형 | colspan=2 | | 5:37.0 | 5 | 5:38.0 | 6 | 진출 실패 | ||
1500m 자유형 | colspan=2 | | 23:34.0 | 7 | 23:24.2 | 6 | 기권 | |||
패니 듀락 | 100m 자유형 | colspan=2 | | 1:19.8 OR | 1 | 1:20.2 | 1 | 1:22.2 | -- | |
해롤드 하드윅 | 100m 자유형 | 1:05.8 | 5 | 1:06.0 | 8 | 진출 실패 | |||
400m 자유형 | colspan=2 | | 5:36.0 OR | 3 | 5:31.0 | 3 | 5:31.2 | -- | ||
1500m 자유형 | colspan=2 | | 23:23.2 | 6 | 23:14.0 | 4 | 23:15.4 | -- | ||
세실 힐리 | 100m 자유형 | 1:05.2 | 3 | 1:04.8 | 5 | 1:05.6 | 3 | 1:04.6 | -- |
400m 자유형 | colspan=2 | | 5:34.0 OR | 1 | 5:37.8 | 5 | 5:37.8 | 4 | ||
윌리엄 롱워스 | 100m 자유형 | 1:05.2 | 3 | 1:05.2 | 6 | 1:06.2 | 5 | 기권 | |
1500m 자유형 | colspan=2 | | 23:03.6 | 3 | 기권 | 진출 실패 | ||||
프랭크 슈라이버 | 200m 평영 | colspan=2 | | 3:24.0 | 17 | 진출 실패 | ||||
400m 평영 | colspan=2 | | 7:07.8 | 10 | 진출 실패 | |||||
테오도르 타르타코버 | 100m 자유형 | 1:12.2 | ? | 진출 실패 | |||||
400m 자유형 | colspan=2 | | 기권 | 진출 실패 | ||||||
미나 와일리 | 100m 자유형 | colspan=2 | | 1:26.8 | 6 | 1:27.0 | 3 | 1:25.4 | -- | |
레즐리 보드맨 맬컴 챔피언 해롤드 하드윅 세실 힐리 | 4 × 200m 자유형 계영 | colspan=4 | | 10:14.0 WR | 1 | 10:11.2 WR | -- |
3. 2. 육상
총 다섯 명의 선수가 참가했다.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조지 힐 | 5000m | colspan=2 | | 15:56.8 | ? | 진출 실패 | ||
10000m | colspan=2 | | 기권 | 진출 실패 | ||||
윌리엄 머레이 | 10km 경보 | colspan=2 | | 실격 | 진출 실패 | |||
스튜어트 폴터 | 마라톤 | colspan=4 | | 기권 | ||||
클로드 로스 | 400m | — | 진출 실패 | ||||
윌리엄 스튜어트 | 100m | 11.0 | ? | ? | ? | 진출 실패 | |
200m | 26.0 | ? | 기권 | 진출 실패 |
3. 3. 조정
1912년 하계 올림픽에서 오스트랄라시아를 대표하여 10명의 선수가 조정 경기에 참가했다. 경기는 매치 레이스 형식으로 진행되었다.선수 | 콕스 | 종목 | 예선 | 8강 | 준결승 | 결승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세실 맥빌리 | 싱글 스컬 | 실격 | 진출 실패 | |||||||
존 라이리 사이먼 프레이저 휴 워드 토마스 파커 헨리 하우엔스타인 시드니 미들턴 해리 로스-소덴 로저 피츠하딩 | 로버트 왈리 | 에이트 | 6:57.0 | 승리 | 패배 | 진출 실패 |
3. 4. 테니스
오스트랄라시아에서 1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앤서니 와일딩은 남자 단식 종목에만 출전해 동메달을 획득했다.선수 | 세부 종목 | 64강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순위 |
---|---|---|---|---|---|---|---|---|
앤서니 와일딩 | 남자 실내 단식 | Lennart Silfverstolpe|렌나르트 실프베르스톨페sv (스웨덴) 6-0, 6-1, 6-1 승 | Torsten Grönfors|토르스텐 그뢴포르스sv (스웨덴) 6-3, 6-3, 6-3 승 | 조지 카리디아 (영국) 6-1, 6-2, 6-2 승 | 찰스 P. 딕슨 (영국) 0-6, 6-4, 4-6, 4-6 패 | 고든 로이 (영국) 4-6, 6-2, 7-5, 6-0 승 |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