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2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2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은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열린 육상 마라톤 경기이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가 처음으로 마라톤에 참가했으며, 총 28명의 선수가 출전하여 20명이 완주했다. 아르헨티나의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가 2시간 31분 36초의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샘 페리스가 은메달, 아르마스 토이보넨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김은배는 6위, 권태하는 9위를 기록했다. 경기는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시작하고 끝나는 순환 코스에서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32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32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육상은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남자 21개 종목과 여자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32개국 386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193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32년 하계 올림픽 복싱
1932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복싱은 18개국 85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8개 체급에서 메달 경쟁을 펼친 경기로, 아르헨티나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1932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올림픽 육상 - 남자 마라톤 (1932년) | |
![]() | |
대회 | 1932년 하계 올림픽 |
종목 | 육상 남자 마라톤 |
경기장 |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시작 및 종료 지점) |
날짜 | 8월 7일 |
참가 선수 | 28명 |
참가 국가 | 14개국 |
우승 기록 | 2:31:36 올림픽 기록 |
금메달 |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 |
금메달 국가 | ARG |
은메달 | 샘 페리스 |
은메달 국가 | GBR |
동메달 | 아르마스 토이보넨 |
동메달 국가 | FIN |
이전 대회 | 1928 |
다음 대회 | 1936 |
2. 역사적 배경
이번 경기는 12개의 육상 종목 중 하나로, 하계 올림픽에서 매번 개최되는 종목의 9번째 대회였다. 1928년 대회 출전자 중에는 쓰다 세이이치로 (일본, 6위), 샘 페리스 (영국, 8위), 앨버트 미켈슨 (미국, 9위), 클리포드 브리커 (캐나다, 10위) 등이 있었다.[3] 샘 페리스와 덩키 라이트(1928년 20위)는 가장 잘 알려진 선수였으며, 아르마스 토이보넨은 항상 강력한 핀란드 팀을 이끌었다. 핀란드는 유력한 우승 후보였던 파보 누르미가 아마추어 규정 위반으로 과도한 경비를 받았다는 혐의로 올림픽 개막 며칠 전에 출전 정지를 당하면서 불참했다. 핀란드 선수들은 당시 국제 육상 연맹을 관리하던 스웨덴 관계자들이[4] 파보 누르미의 아마추어 자격을 문제 삼기 위해 교묘한 술책을 썼다고 비난하며 스웨덴과의 모든 운동 관계를 중단했다.[5]
경기는 단일 레이스로 진행되었다. 현재 표준 마라톤 거리인 약 41.84km 약 352.04m는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시작하고 끝나는, 로스앤젤레스를 도는 순환 코스에서 치러졌다.[3]
1932년 하계 올림픽 이전까지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이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동아일보가 김은배의 6위 입상 소식을 보도하면서 일장기 말소사건이 일어났다.
[1]
웹사이트
Athletics at the 1932 Los Angeles Summer Games: Men's Marathon
https://web.archive.[...]
2017-04-30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는 올림픽 마라톤에 처음 출전했다. 미국은 9번째 출전으로, 당시까지 모든 올림픽 마라톤에 참가한 유일한 국가였다.
3. 대회 방식
4. 기록
구분 선수 기록 장소 날짜 세계 기록 앨버트 미켈센(미국) 2:29:01.8 미국 포트체스터 1925년 10월 12일 올림픽 기록 하네스 콜레마이넨(핀란드) 2:32:35.8(*) 벨기에 앤트워프 1920년 8월 22일
''(*)'' 코스 길이는 42.75km였다.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아르헨티나)가 2:31:36의 기록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하였다.
5. 경기 결과
순위 선수 국가 기록 비고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 align=left| 2:31:36 샘 페리스 align=left| 2:31:55 아르마스 토이보넨 align=left| 2:32:12 4 덩키 라이트 align=left| 2:32:41 5 쓰다 세이이치로 align=left| 2:35:42 6 김은배 align=left| 2:37:28 7 앨버트 미켈센 align=left| 2:39:38 8 오스카르 헤크슈 align=left| 2:41:35 9 권태하 align=left| 2:42:52 10 안데르스 하팅턴 안데르센 align=left| 2:44:38 11 한스 올다그 align=left| 2:47:26 12 클리포드 브리커 align=left| 2:47:58 13 미켈레 파넬리 align=left| 2:49:09 14 자니 마일스 align=left| 2:50:32 15 폴 드 브뤼인 align=left| 2:52:39 16 프랑수아 베제오 align=left| 2:53:34 17 페르난도 치카렐리 align=left| 2:55:49 18 에디 커드워스 align=left| 2:58:35 19 조앙 클레멘테 다 실바 align=left| 3:02:06 20 마르가리토 폼포소 align=left| 3:10:51 — 호세 리바스 align=left| data-sort-value=4:00:00| 마테우스 마르콘데스 align=left| data-sort-value=4:00:00| 호르헤 페리 align=left| data-sort-value=4:00:00| 빌레 키뢰넨 align=left| data-sort-value=4:00:00| 라세 비르타넨 align=left| data-sort-value=4:00:00| 프란체스코 로카티 align=left| data-sort-value=4:00:00| 산티아고 에르난데스 align=left| data-sort-value=4:00:00| 제임스 헤니건 align=left| data-sort-value=4:00:00| — 르네 보니치 align=left| data-sort-value=9:99:99| 아달베르토 카르도소 align=left| data-sort-value=9:99:99| 알프레드 마아식 align=left| data-sort-value=9:99:99| 빌리 사비단 align=left| data-sort-value=9:99:99| 프란츠 투셰크 align=left| data-sort-value=9:99:99|
6. 경기장
7. 대회 이모저모
참조
[2]
문서
Official Report, p. 377.
[3]
웹사이트
Marathon, Men
https://www.olympedi[...]
2020-08-26
[4]
웹사이트
Battle with Sweden is personal for Finland
https://www.nhl.com/[...]
[5]
뉴스
Finland and Sweden renew old rivalry on the athletics track this weekend
http://www.hs.fi/eng[...]
2012-08-20
[6]
문서
대한민국 출신인 김은배는 일제강점기의 상황으로 일본식 이름인 '긴 온바이'로 출전하였다.
[7]
두피디아
제10회 올림픽경기대회
[8]
문서
대한민국 출신인 김은배는 일제강점기의 상황으로 일본식 이름인 '곤 다이카'로 출전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