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6년 6월 프랑스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6년 6월 프랑스 총선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 1월 샤를 드 골이 임시정부 의장직에서 물러난 후, 5월 국민투표에서 헌법 제정이 부결됨에 따라 치러진 선거이다. 선거 결과, 대중공화운동이 28.22%의 득표율로 166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고, 프랑스 공산당은 153석,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는 128석을 확보했다. 삼당 연합은 과반 의석을 유지했으며, 원내 교섭단체는 대중공화운동, 프랑스 공산당,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등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6월 - 1946년 이탈리아 국가형태 국민투표
1946년 이탈리아 국가형태 국민투표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이탈리아의 국가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되어 공화제가 54.27%로 승리, 이탈리아 왕국이 멸망하고 이탈리아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이는 이탈리아 근대화와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 1946년 6월 - 일본인민공화국 헌법 초안
일본인민공화국 헌법 초안은 1945년 일본 공산당이 발표한 것으로, 주권재민과 대의민주주의를 핵심 원칙으로 인민의 자유와 권리 보장, 천황제 폐지, 봉건적 토지 소유제 철폐, 재벌 해체 등 급진적인 사회경제적 변화, 국회를 최고 주권 기관으로 하는 정치 체제를 구상했다. - 1946년 선거 -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46년 일본에서 최초로 여성 참정권이 인정된 중의원 의원 총선거로, 일본자유당이 제1당이 되었으나 요시다 시게루가 총리가 되었고 39명의 여성 의원이 당선되었다. - 1946년 선거 - 1946년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선거
1946년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선거는 전후 시대의 정치적 분수령으로, 벤 치플리 총리의 노동당이 승리하여 정권을 유지했으나 하원 의석은 줄고 자유당-국민당 연립은 의석을 늘렸으며, 상원에서는 노동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했다. - 1946년 프랑스 - 1946년 5월 프랑스 국민투표
1946년 5월 프랑스 국민투표는 프랑스 제4공화국 헌법 제정을 위해 실시되었으나, 반대가 찬성보다 많아 헌법안이 부결되었고, 이는 공산당 주도 단원제 도입에 대한 우파 세력의 반발이 반영된 결과였다. - 1946년 프랑스 - 1946년 10월 프랑스 국민투표
1946년 10월 프랑스 국민투표는 의원내각제를 골자로 하는 새 헌법 제안에 대해 53.2%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 1946년 6월 프랑스 총선 | |
|---|---|
| 선거 정보 | |
| 국가 | 프랑스 |
| 선거 유형 | 의회 |
| 이전 선거 | 1945년 프랑스 총선 |
| 이전 선거 연도 | 1945 |
| 다음 선거 | 1946년 11월 프랑스 총선 |
| 다음 선거 연도 | 1946 |
| 선출 의석 | 586 |
| 과반 의석 | 294 |
| 선거일 | 1946년 6월 2일 |
| 투표율 | 81.85% ( 2.02%p) |
| 총리 | 총리 |
| 선거 전 총리 | 펠릭스 고앵 |
| 선거 전 정당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
| 선거 후 총리 | 조르주 비도 |
| 선거 후 정당 | 대중공화운동 |
| 지도 | |
![]() | |
| 정당별 결과 | |
![]() | |
| 대표 | 조르주 비도 |
| 의석수 | 160 |
| 득표수 | 5,589,059 |
| 득표율 | 28.11% |
![]() | |
| 대표 | 모리스 토레즈 |
| 의석수 | 146 |
| 득표수 | 5,199,111 |
| 득표율 | 26.15% |
![]() | |
| 대표 | 기 몰레 |
| 의석수 | 115 |
| 득표수 | 4,187,818 |
| 득표율 | 21.06% |
![]() | |
| 의석수 | 62 |
| 득표수 | 2,539,845 |
| 득표율 | 12.78% |
| 대표 | 장-폴 다비드 |
| 의석수 | 39 |
| 득표수 | 2,295,119 |
| 득표율 | 11.54% |
2. 배경
임시정부 수반이었던 샤를 드 골 장군은 대통령 중심제를 원했으나, 이를 보나파르티즘의 부활로 여긴 삼당연합이 반대하자 1946년 1월 임시정부 의장직에서 물러났다. 드 골의 사임으로 새 수상이 된 노동자 인터내셔널의 펠릭스 구앵은 상원을 폐지하고 단원제를 실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헌법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 헌법안은 1946년 5월 프랑스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었고, 이에 따라 제헌의회 구성을 위한 재선거가 불가피해졌다.
1946년 6월 총선 결과, 대중공화운동(Mouvement républicain populaire프랑스어, MRP)이 28.22%의 득표율로 166석을 차지하며 제1당으로 부상했다. 그 뒤를 이어 프랑스 공산당(PCF)이 25.98%의 득표율로 153석을,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가 21.14%로 128석을 확보했다. 이들 세 정당으로 구성된 삼당 연합은 총 득표율 75.34%와 447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우파 정당들(Modérés프랑스어)은 12.82%의 득표율로 78석을, 공화좌파연합(RGR)은 11.61%로 52석을 얻었다.
3. 선거 결과
3.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 분포
wikitext
| 정당 | 득표수 | % | 의석수 |
|---|---|---|---|
| 대중공화운동 (Mouvement républicain populaire프랑스어) | 5,589,213 | 28.22 | 166 |
| 프랑스 공산당 (Parti communiste français프랑스어) | 5,145,325 | 25.98 | 153 |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프랑스어) | 4,187,747 | 21.14 | 128 |
| 삼당 연합 | 14,922,285 | 75.34 | 447 |
| 우파 (Modérés프랑스어) | 2,538,167 | 12.82 | 78 |
| 공화좌파연합 (Rassemblement des gauches républicaines프랑스어) | 2,299,963 | 11.61 | 52 |
| 기타 | 44,915 | 0.23 | 9 |
| 합계 | 20,215,200 | 100 | 586 |
3. 2. 교섭단체
wikitext| 정당 | 의석 |
|---|---|
| 대중공화운동 | 166 |
| 프랑스 공산당 | 153 |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 128 |
| 자유공화당 | 35 |
| 급진당 | 32 |
| 독립공화당 | 32 |
| 민주사회저항연합 | 20 |
| 알제리 선언 민주연합 | 11 |
| 무소속 | 9 |
| 합계 | 586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