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프랑스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2년 프랑스 총선은 샤를 드 골 대통령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 시도와 그에 따른 정치적 갈등 속에서 치러졌다. 알제리 독립 이후 대통령의 권한 강화에 대한 반발로 인해, 의회 해산 및 국민투표를 거쳐 치러진 이 선거에서 드 골의 신공화국연합을 포함한 보수 우파 연합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여 정권 재창출에 성공했다. 프랑스 공산당 등 좌파 연합도 의석수를 늘렸으나 정권 교체에는 실패했으며, 이 선거는 프랑스 정치의 대통령 중심제 전환과 좌우 이념 대립 심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선거 - 제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57년 제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조국전선의 압승으로 끝났으며, 특히 조선로동당이 압도적인 의석을 확보했고 김일성의 출마는 체제 유지를 위한 정치적 상징으로 해석된다. - 1962년 선거 - 제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62년 제2차 이케다 내각 시기에 실시된 제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지역구와 전국구에서 총 127석의 의원을 선출하여 자유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으며, 고도성장, 안보 투쟁, 베트남 전쟁 반전 운동 등이 사회적 배경이었고, 헌법 개정 문제가 쟁점이 되었다. - 1962년 11월 - 대한민국 제1차 국민투표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실시한 대한민국 제1차 국민투표는 대통령 직접 선거제와 대통령 중심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제5차 헌법 개정안을 확정했으며, 야당으로부터 박정희 개인과 군정 연장을 위한 것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 1962년 11월 - 인도-중국 전쟁
인도-중국 전쟁은 1962년 인도와 중국 간의 국경 분쟁으로, 중국의 승리로 끝나면서 인도와 중국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62년 프랑스 - 1962년 10월 프랑스 국민투표
샤를 드 골 프랑스 대통령이 대통령 선출 방식을 직선제로 바꾸는 헌법 개정안에 대한 찬반을 묻기 위해 1962년 10월 프랑스에서 국민투표를 실시했으며, 위헌 논란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62.3% 찬성으로 가결되어 프랑스의 대통령 선출 방식이 직선제로 변경되었다. - 1962년 프랑스 - 1962년 칸 영화제
1962년 칸 영화제는 5월 4일부터 18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개최되었으며, 후루카키 데츠로가 심사위원장을 맡고 안셀모 두아르테 감독의 《산타 바르바라의 맹세》가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국제 비평가 주간이 처음 시작되어 다양한 작품이 상영되었다.
1962년 프랑스 총선 | |
---|---|
1962년 프랑스 총선 | |
선거 이름 | 1962년 프랑스 총선 |
국가 | 프랑스 |
선거 유형 | 의회 |
선거일 | 1962년 11월 18일, 25일 |
이전 선거 | 1958년 프랑스 총선 |
이전 선거 연도 | 1958년 |
차기 선거 | 1967년 프랑스 총선 |
차기 선거 연도 | 1967년 |
선출 의석 | 491 |
투표율 | 68.7% ( 8.4 %p) (1차) 72.1% ( 3.4 %p) (2차) |
정당 | 신공화국연합 |
리더 | 조르주 퐁피두 |
리더 선거구 | 캉탈-2nd |
이전 선거 의석 | 189석 |
당선 의석 | 229석 |
의석 변동 | 40 |
득표수 | 5,855,744 (1차) 6,169,890 (2차) |
득표율 | 31.94% (1차) 40.43% (2차) |
정당 | 노동자 인터내셔널 |
리더 | 기 몰레 |
리더 선거구 | 파드칼레-1st |
이전 선거 의석 | 40석 |
당선 의석 | 65석 |
의석 변동 | 25 |
득표수 | 2,298,729 (1차) 2,264,011 (2차) |
득표율 | 12.54% (1차) 14.84% (2차) |
정당 | 급진당 |
리더 | 모리스 포레 |
리더 선거구 | 로트 |
이전 선거 의석 | 37석 |
당선 의석 | 42석 |
의석 변동 | 5 |
득표수 | 1,429,649 (1차) 1,172,711 (2차) |
득표율 | 7.80% (1차) 7.69% (2차) |
정당 | 프랑스 공산당 |
리더 | 모리스 토레즈 |
리더 선거구 | 센 |
이전 선거 의석 | 10석 |
당선 의석 | 41석 |
의석 변동 | 31 |
득표수 | 4,003,553 (1차) 3,195,763 (2차) |
득표율 | 21.84% (1차) 20.94% (2차) |
정당 | 대중공화운동 |
리더 | 앙드레 콜린 |
리더 선거구 | 피니스테르 (상원의원) |
이전 선거 의석 | 57석 |
당선 의석 | 36석 |
의석 변동 | 21 |
득표수 | 1,665,695 (1차) 821,635 (2차) |
득표율 | 9.09% (1차) 5.38% (2차) |
정당 | 국민중심 |
리더 | 카미유 로렌스 |
이전 선거 의석 | 132석 |
당선 의석 | 28석 |
의석 변동 | 104 |
득표수 | 1,404,177 (1차) - (2차) |
득표율 | 7.66% (1차) - (2차) |
정당 | 독립 공화당 |
리더 |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
리더 선거구 | 퓌드돔 |
이전 선거 의석 | N/A (CNIP에서 분리) |
당선 의석 | 20석 |
의석 변동 | N/A |
득표수 | 1,089,348 (1차) 1,444,666 (2차) |
득표율 | 5.94% (1차) 9.47% (2차) |
수상 | |
선거 전 수상 | 조르주 퐁피두 |
선거 전 소속 정당 | 신공화국연합 |
선거 후 수상 | 조르주 퐁피두 |
선거 후 소속 정당 | 신공화국연합 |
2. 배경
1962년 4월 프랑스 국민투표로 알제리의 독립이 승인된 후, 알제리 독립에 반대하는 비밀무장조직이 8월 22일 샤를 드 골 대통령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에 드골 대통령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시도했다. 그러나 정치권은 대통령의 권한이 강화되는 것을 우려했고, 의회 통과가 어렵다고 판단한 드골 대통령은 조르주 퐁피두 총리를 통해 국민투표 조항을 이용하여 의회를 거치지 않고 개헌을 추진했다.
이에 국민 의회는 10월 4일 헌법을 무시한 책임을 물어 내각 불신임 결의를 통해 퐁피두 총리를 해임했고, 드골 대통령은 국민 의회를 해산했다. 10월 28일 국민투표에서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이 62.3% 찬성으로 통과되었고, 11월엔 해산된 국민의회 선거가 다시 치러졌다.[1]
2. 1. 알제리 독립과 드골의 정치적 위기
1962년 4월 프랑스 국민투표로 알제리의 독립이 승인된 후, 알제리 독립에 반대하는 비밀무장조직(OAS)은 8월 22일 샤를 드 골 대통령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2. 2. 대통령 직선제 개헌 추진과 의회의 반발
1962년 4월 프랑스 국민투표로 알제리의 독립이 승인된 뒤, 알제리 독립에 반대하는 비밀무장조직이 8월 22일 샤를 드 골 대통령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에 드골 대통령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시도했다. 그러나 정치권은 대통령의 권한이 강화되는 것을 우려했고, 의회 통과가 어렵다고 판단한 드골 대통령은 조르주 퐁피두 총리를 통해 국민투표 조항을 이용하여 의회를 거치지 않고 개헌을 추진했다.이에 국민 의회는 10월 4일 헌법을 무시한 책임을 물어 내각 불신임 결의를 통해 퐁피두 총리를 해임했고, 드골 대통령은 국민 의회를 해산하는 강수를 두었다. 10월 28일 국민투표에서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이 62.3% 찬성으로 통과되었고, 11월엔 해산된 국민의회 선거가 다시 치러졌다.[1]
3. 선거 과정
선거 기간 동안 신공화국연합을 제외한 모든 야당들은 '개인의 권력'이 프랑스 민주주의를 왜곡시킬 것이라 비판했다. 이는 의회 정치에 대한 믿음과 보나파르티즘에 대한 경계를 가진 유권자들에게 일정 부분 작용했고, 좌익 진영의 선거 연대와 더불어 야권은 의석수를 늘리게 된다.[1]
3. 1. 정당 간의 대립과 연대
신공화국연합을 제외한 모든 야당들은 대통령 권력 강화를 "개인의 권력"으로 규정하고 프랑스 민주주의를 왜곡시킨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야당들의 비판은 의회 정치에 대한 믿음과 보나파르티즘에 대한 경계를 가진 유권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 프랑스 공산당(PCF)과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를 중심으로 좌파 진영은 선거 연대를 구축하여 의석수를 늘렸다.4. 선거 결과
1962년 11월 18일과 25일에 치러진 프랑스 총선에서 샤를 드 골 대통령이 이끄는 신공화국연합을 비롯한 보수 우파 연합은 과반 의석을 확보하여 정권 재창출에 성공했다. 프랑스 공산당,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급진당, 통합사회당으로 구성된 좌파 연합은 의석수를 늘리며 약진했지만, 정권 교체에는 실패했다. 극우 정당은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4.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수
정당 | 1차 투표 | 결선 투표 | 의석 | ||||
---|---|---|---|---|---|---|---|
득표 | % | 득표 | % | ||||
신공화국연합 | UNR | 5,855,744 | 31.94 | 6,169,890 | 40.43 | 233 | |
대중공화운동 | MRP | 1,665,695 | 9.09 | 821,635 | 5.38 | 36 | |
소상공인과 농민의 국민중심 | CNIP | 1,404,177 | 7.66 | - | - | 27 | |
독립공화당 | RI | 1,089,348 | 5.94 | 1,444,666 | 9.47 | 28 | |
프랑스 공산당 | PCF | 4,003,553 | 21.84 | 3,195,763 | 20.94 | 41 |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 SFIO | 2,298,729 | 12.54 | 2,264,011 | 14.84 | 65 | |
급진당 | PR | 1,429,649 | 7.80 | 1,172,711 | 7.69 | 44 | |
통합사회당 | PSU | 427,467 | 2.33 | 138,131 | 0.91 | 2 | |
극우 | 159,429 | 0.87 | 52,245 | 0.34 | 0 | ||
합계 | 18,333,791 | 100 | 15,208,101 | 100 | 476 |
샤를 드골 대통령이 이끄는 신공화국연합(UNR)은 1차 투표에서 31.94%, 결선 투표에서 40.43%를 득표하여 233석을 확보하며 원내 제1당의 지위를 유지하였다. 프랑스 공산당(PCF)은 1차 투표에서 21.84%, 결선 투표에서 20.94%를 득표하여 41석을 확보, 좌파 진영의 약진을 이끌었다.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는 각각 12.54%(1차 투표), 14.84%(결선 투표)를 득표하여 65석을 확보했다. 대중공화운동(MRP)은 각각 9.09%(1차 투표), 5.38%(결선 투표)를 득표하여 36석을 확보했다. 독립공화당(RI)은 각각 5.94%(1차 투표), 9.47%(결선 투표)를 득표하여 28석을 확보했다. 소상공인과 농민의 국민중심(CNIP)은 1차 투표에서 7.66%를 득표하여 27석을 확보했다. 급진당(PR)은 각각 7.80%(1차 투표), 7.69%(결선 투표)를 득표하여 44석을 확보했다. 통합사회당(PSU)은 각각 2.33%(1차 투표), 0.91%(결선 투표)를 득표하여 2석을 확보했다.
4. 2. 총평
샤를 드 골 대통령이 이끄는 신공화국연합(UNR)을 비롯한 보수 우파 연합은 1962년 프랑스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하여 정권 재창출에 성공했다. 프랑스 공산당(PCF),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 급진당(PR), 통합사회당(PSU)으로 구성된 좌파 연합은 의석수를 늘리며 약진했지만, 정권 교체에는 실패했다. 극우 정당은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정당 | 1차 투표 득표 | 1차 투표 득표율(%) | 결선 투표 득표 | 결선 투표 득표율(%) | 의석 |
---|---|---|---|---|---|
신공화국연합 (UNR) | 5,855,744 | 31.94 | 6,169,890 | 40.43 | 233 |
대중공화운동 (MRP) | 1,665,695 | 9.09 | 821,635 | 5.38 | 36 |
소상공인과 농민의 국민중심 (CNIP) | 1,404,177 | 7.66 | - | - | 27 |
독립공화당 (RI) | 1,089,348 | 5.94 | 1,444,666 | 9.47 | 28 |
우파연합 | 10,014,964 | 54.63 | 8,436,191 | 55.29 | 324 |
프랑스 공산당 (PCF) | 4,003,553 | 21.84 | 3,195,763 | 20.94 | 41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SFIO) | 2,298,729 | 12.54 | 2,264,011 | 14.84 | 65 |
급진당 (PR) | 1,429,649 | 7.80 | 1,172,711 | 7.69 | 44 |
통합사회당 (PSU) | 427,467 | 2.33 | 138,131 | 0.91 | 2 |
좌파연합 | 8,159,398 | 44.50 | 6,770,616 | 44.37 | 152 |
극우 | 159,429 | 0.87 | 52,245 | 0.34 | 0 |
합계 | 18,333,791 | 100 | 15,208,101 | 100 | 476 |
5. 영향
대통령 직선제 개헌은 프랑스 정치 체제를 대통령 중심제로 전환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총선 결과는 드골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대한 견제 심리가 작용했음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보수 세력의 건재함을 확인시켜 주었다.[1] 좌파 정당들의 약진은 이후 프랑스 정치에서 좌우 이념 대립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선거는 알제리 독립 이후 프랑스 사회의 혼란과 변화를 반영하며, 이후 프랑스 정치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