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65년 유러피언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4-65년 유러피언컵은 31개 팀이 참가했으며, 이탈리아의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가 결승전에서 SL 벤피카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예선 및 토너먼트 경기를 거쳐 인테르나치오날레는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했고, 조제 토레스(벤피카)가 11골로 대회 최고 득점자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축구 - 1964년 AFC 아시안컵
1964년 AFC 아시안컵은 이스라엘에서 이스라엘, 대한민국, 인도, 홍콩 4개국이 참가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이스라엘이 우승, 인도가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했으며 모르데하이 슈피글러와 인데르 싱이 공동 득점왕을 기록했다. - 1964년 축구 -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은 스페인에서 개최된 두 번째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로, 스페인이 결승에서 소련을 꺾고 우승했으며 흐세스 마리아 페레다가 MVP를 수상했다. - 1965년 축구 - 196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6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튀니지에서 6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되어 가나가 튀니지를 꺾고 우승하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 1965년 축구 - 1964-65년 유러피언컵위너스컵
1964-65년 유러피언컵위너스컵은 32개 팀이 참가한 UEFA 주관의 유럽 축구 대회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가 결승에서 TSV 1860 뮌헨을 꺾고 우승했으며,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단판으로 결승전이 치러졌다. - 유러피언컵 - 1967-68년 유러피언컵
1967-68년 유러피언컵은 UEFA 주관 클럽 대항전으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SL 벤피카를 꺾고 잉글랜드 클럽 최초로 우승했으며, SL 벤피카의 에우제비우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유러피언컵 - 1955-56년 유러피언컵
1955-56년 유러피언컵은 UEFA가 주관한 첫 번째 대회로, 16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스타드 드 랭스를 꺾고 초대 챔피언이 되었으며 밀로시 밀루티노비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64-65년 유러피언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요약 | |
| 대회 명칭 | 유러피언컵 |
| 시즌 | 1964–65 |
![]() | |
| 기간 | 1964년 8월 17일 – 1965년 5월 27일 |
| 참가 팀 수 | 31 |
| 참가 협회 수 | 30 |
| 우승 팀 | flagicon: ITA 인테르 밀란 |
| 우승 횟수 | 2회 |
| 준우승 팀 | flagicon: POR 벤피카 |
| 총 경기 수 | 63 |
| 총 득점 수 | 215 |
| 총 관중 수 | 2219373 |
| 득점왕 | 조제 토레스 (벤피카), 11골 |
| 이전 시즌 | 1963–64 |
| 다음 시즌 | 1965–66 |
| 참고자료 | |
2. 참가 팀
총 31개 팀이 대회에 참가했다.[2] 전년도 우승 팀인 인테르 (이탈리아)는 자동 진출권을 얻었고, 그 외 각국 리그 우승 팀들이 참가했다.[2]
인테르 밀란, 볼로냐(이상 이탈리아), 레알 마드리드, 벤피카, 레인저스, 두클라 프라하 등이 참가했다.[2]
로코모티프 소피아, 케미 라이프치히, 리버풀, 레이파스 라흐티, 죄리 바사스 에토, KR, 볼로냐, 아리스 본느부아, 슬리에마 원더러스, DWS, 글렌토란, 말뫼 FF, 라 쇼드퐁은 이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했다.[2]
생테티엔, 볼드클루벤 1909, 샴록 로버스, 라피드 빈,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는 오랜만에 대회에 복귀했다.[2]
| 국가 | 팀 |
|---|---|
| 알바니아 | 파르티자니 |
| 오스트리아 | 라피드 빈 |
| 벨기에 | 안데를레흐트 |
| 불가리아 | 로코모티프 소피아 |
| 체코슬로바키아 | 두클라 프라하 |
| 덴마크 | 볼드클루벤 1909 |
| 동독 | 케미 라이프치히 |
| 잉글랜드 | 리버풀 |
| 핀란드 | 레이파스 라흐티 |
| 프랑스 | 생테티엔 |
| 그리스 | 파나티나이코스 |
| 헝가리 | 죄리 바사스 에토 |
| 아이슬란드 | KR |
| 이탈리아 | 볼로냐 |
| 이탈리아 | 인테르 밀란 TH |
| 룩셈부르크 | 아리스 본느부아 |
| 몰타 | 슬리에마 원더러스 |
| 네덜란드 | DWS |
| 북아일랜드 | 글렌토란 |
| 노르웨이 | 린 |
| 폴란드 | 고르니크 자브르제 |
| 포르투갈 | 벤피카 |
| 아일랜드 | 샴록 로버스 |
| 루마니아 | 디나모 부쿠레슈티 |
| 스코틀랜드 | 레인저스 |
| 스페인 | 레알 마드리드 |
| 스웨덴 | 말뫼 FF |
| 스위스 | 라 쇼드퐁 |
| 튀르키예 | 페네르바흐체 |
| 서독 | 1. FC 쾰른 |
| 유고슬라비아 |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
1964-65년 유러피언컵은 예선전, 1회전,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3. 경기 일정 및 결과
=== 예선전 ===
총 30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합계 점수가 같은 팀들은 플레이오프를 치렀으며, 플레이오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은 경우에는 동전 던지기로 다음 라운드 진출 팀을 결정했다.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슬리마 원더러스 (MLT|몰타영어) | 0–7 | 디나모 부쿠레슈티 (ROU|루마니아ro) | 0–2 | 0–5 |
| 레인저스 (SCO|스코틀랜드영어) | 5–5 | 츠르베나 즈베즈다 (YUG|유고슬라비아영어) | 3–1 | 2–4 |
| 라피트 빈 (AUT|오스트리아de) | 5–0 | 샴록 로버스 (IRL|아일랜드영어) | 3–0 | 2–0 |
| 글렌토런 (NIR|북아일랜드영어) | 4–5 | 파나티나이코스 (GRE|그리스el) | 2–2 | 2–3 |
| 파르티자니 티라나 (ALB|알바니아sq) | 0–2 | 쾰른 (GER|독일de) | 0–0 | 0–2 |
| 안데를레흐트 (BEL|벨기에프랑스어) | 2–2 | 볼로냐 (ITA|이탈리아it) | 1–0 | 1–2 |
| KR (ISL|아이슬란드is) | 1–11 | 리버풀 (ENG|잉글랜드영어) | 0–5 | 1–6 |
| 체미 라이프치히 (GDR|동독de) | 2–6 | 버서시 ETO 죄르 (HUN|헝가리hu) | 0–2 | 2–4 |
| 로코모티브 소피아 (BUL|불가리아bg) | 8–5 | 말뫼 (SWE|스웨덴sv) | 8–3 | 0–2 |
| DWS (NED|네덜란드nl) | 4–1 | 페네르바체 (TUR|튀르키예tr) | 3–1 | 1–0 |
| 레이파스 라티 (FIN|핀란드fi) | 2–4 | 륀 오슬로 (NOR|노르웨이no) | 2–1 | 0–3 |
| 볼클루벤 1909 (DEN|덴마크da) | 2–9 | 레알 마드리드 (ESP|스페인es) | 2–5 | 0–4 |
| 두클라 프라하 (TCH|체코슬로바키아cs) | 4–4 | 구르니크 자브제 (POL|폴란드pl) | 4–1 | 0–3 |
| 생테티엔 (FRA|프랑스프랑스어) | 3–4 | 라쇼드퐁 (SUI|스위스프랑스어) | 2–2 | 1–2 |
| 아리스 (LUX|룩셈부르크lb) | 2–10 | 벤피카 (POR|포르투갈pt) | 1–5 | 1–5 |
이번 시즌에는 예선 라운드에 참가하는 팀들이 지리적으로 분할되지 않아, 일부 팀들은 경기를 위해 4,400km 이상을 이동해야 했다. (예: DWS와 페네르바흐체)
=== 1회전 ===
예선전을 통과한 15개 팀과 전년도 우승 팀 인테르를 포함하여 총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파나티나이코스 | 2–3 | 쾰른 | 1–1 | 1–2 |
| 리버풀 | 4–0 | 안데를레흐트 | 3–0 | 1–0 |
| 인테르나치오날레 | 7–0 | 디나모 부쿠레슈티 | 6–0 | 1–0 |
| 레인저스 | 3–0 | 라피트 빈 | 1–0 | 2–0 |
| DWS | 8–1 | 륀 오슬로 | 5–0 | 3–1 |
| 버서시 ETO 죄르 | 8–7 | 로코모티브 소피아 | 5–3 | 3–4 |
| 라쇼드퐁 | 1–6 | 벤피카 | 1–1 | 0–5 |
| 레알 마드리드 | 6–2 | 두클라 프라하 | 4–0 | 2–2 |
[2]
=== 8강전 ===
1회전을 통과한 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쾰른 (독일) | 0–01 | 리버풀 (잉글랜드) | 0–0 | 0–0 |
| 인테르나치오날레 (이탈리아) | 3–2 | 레인저스 (스코틀랜드) | 3–1 | 0–1 |
| DWS (네덜란드) | 1–2 | 버서시 ETO 죄르 (헝가리) | 1–1 | 0–1 |
| 벤피카 (포르투갈) | 6–3 | 레알 마드리드 (스페인) | 5–1 | 1–2 |
=== 준결승전 ===
8강전을 통과한 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결승 진출팀을 가렸다.
결과적으로 '''인테르'''가 합계 4-3으로, '''벤피카'''가 합계 5-0으로 각각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했다.
=== 결승전 ===
1965년 5월 27일 21시 30분 (CET), 이탈리아 밀라노의 산 시로에서 인테르와 벤피카의 경기가 열렸다.[6] 자이르의 결승골로 인테르는 벤피카를 1-0으로 꺾고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6] 이날 경기는 77,000명의 관중이 지켜보았으며,[6] 스위스의 고트프리트 디엔스트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 인테르 | 벤피카 | ||
|---|---|---|---|
| GK | 줄리아노 사르티 | GK | 알베르토 다 코스타 페레이라 |
| DF | 아르만도 피키 | DF | 도미시아노 카벤 |
| DF | 알스티데 과르네리 | DF | 페르난도 크루스 |
| DF | 탈치시오 부르니치 | DF | 제르마노 |
| MF | 자친토 파케티 | DF | 라울 마샤도 |
| MF | 잔프랑코 베딘 | MF | 조제 네투 |
| MF |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루이스 수아레스es | MF | 마리오 코르나 |
| MF | 마리오 코르소 | MF | 조제 아우구스토 |
| FW | 자이르 | FW | 에우제비우 |
| FW | 산드로 마촐라 | FW | 조제 아우구스토 토레스 |
| FW | 호아킨 페이로es | FW | 안토니오 시몬이스 |
| 감독 | 감독 | ||
| 엘레니오 에레라 | 엘렉 슈바르츠ro | ||
3. 1. 예선전
총 30개 팀이 예선전에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몇몇 팀들은 합계 점수 동률로 인해 플레이오프를 치렀으며, 플레이오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은 경우에는 동전 던지기로 다음 라운드 진출 팀을 결정했다.- 레인저스 (스코틀랜드)와 츠르베나 즈베즈다 (유고슬라비아)는 플레이오프 결과 레인저스가 3-1로 승리하였다. [1]
- 안데를레흐트 (벨기에)와 볼로냐 (이탈리아)는 플레이오프에서 0-0으로 비긴 후 동전 던지기 결과 안데를레흐트가 진출하였다. [2]
- 두클라 프라하 (체코슬로바키아)와 구르니크 자브제 (폴란드)는 플레이오프에서 0-0으로 비긴 후 동전 던지기 결과 두클라 프라하가 진출하였다. [3]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슬리마 원더러스 (MLT|몰타영어) | 0–7 | 디나모 부쿠레슈티 (ROU|루마니아ro) | 0–2 | 0–5 |
| 레인저스 (SCO|스코틀랜드영어) | 5–5 | 츠르베나 즈베즈다 (YUG|유고슬라비아영어) | 3–1 | 2–4 |
| 라피트 빈 (AUT|오스트리아de) | 5–0 | 샴록 로버스 (IRL|아일랜드영어) | 3–0 | 2–0 |
| 글렌토런 (NIR|북아일랜드영어) | 4–5 | 파나티나이코스 (GRE|그리스el) | 2–2 | 2–3 |
| 파르티자니 티라나 (ALB|알바니아sq) | 0–2 | 쾰른 (GER|독일de) | 0–0 | 0–2 |
| 안데를레흐트 (BEL|벨기에프랑스어) | 2–2 | 볼로냐 (ITA|이탈리아it) | 1–0 | 1–2 |
| KR (ISL|아이슬란드is) | 1–11 | 리버풀 (ENG|잉글랜드영어) | 0–5 | 1–6 |
| 체미 라이프치히 (GDR|동독de) | 2–6 | 버서시 ETO 죄르 (HUN|헝가리hu) | 0–2 | 2–4 |
| 로코모티브 소피아 (BUL|불가리아bg) | 8–5 | 말뫼 (SWE|스웨덴sv) | 8–3 | 0–2 |
| DWS (NED|네덜란드nl) | 4–1 | 페네르바체 (TUR|튀르키예tr) | 3–1 | 1–0 |
| 레이파스 라티 (FIN|핀란드fi) | 2–4 | 륀 오슬로 (NOR|노르웨이no) | 2–1 | 0–3 |
| 볼클루벤 1909 (DEN|덴마크da) | 2–9 | 레알 마드리드 (ESP|스페인es) | 2–5 | 0–4 |
| 두클라 프라하 (TCH|체코슬로바키아cs) | 4–4 | 구르니크 자브제 (POL|폴란드pl) | 4–1 | 0–3 |
| 생테티엔 (FRA|프랑스프랑스어) | 3–4 | 라쇼드퐁 (SUI|스위스프랑스어) | 2–2 | 1–2 |
| 아리스 (LUX|룩셈부르크lb) | 2–10 | 벤피카 (POR|포르투갈pt) | 1–5 | 1–5 |
이번 시즌에는 예선 라운드에 참가하는 팀들이 지리적으로 분할되지 않아, 일부 팀들은 경기를 위해 4,400km 이상을 이동해야 했다. (예: DWS와 페네르바흐체)
3. 2. 1회전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파나티나이코스 | 2–3 | 쾰른 | 1–1 | 1–2 |
| 리버풀 | 4–0 | 안데를레흐트 | 3–0 | 1–0 |
| 인테르나치오날레 | 7–0 | 디나모 부쿠레슈티 | 6–0 | 1–0 |
| 레인저스 | 3–0 | 라피트 빈 | 1–0 | 2–0 |
| DWS | 8–1 | 륀 오슬로 | 5–0 | 3–1 |
| 버서시 ETO 죄르 | 8–7 | 로코모티브 소피아 | 5–3 | 3–4 |
| 라쇼드퐁 | 1–6 | 벤피카 | 1–1 | 0–5 |
| 레알 마드리드 | 6–2 | 두클라 프라하 | 4–0 | 2–2 |
[2]
1회전은 예선전을 통과한 15개 팀과 전년도 우승 팀 인테르를 포함하여 총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3. 3. 8강전
1964-65년 유러피언컵 8강전은 1회전을 통과한 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쾰른 (독일) | 0–01 | 리버풀 (잉글랜드) | 0–0 | 0–0 |
| 인테르나치오날레 (이탈리아) | 3–2 | 레인저스 (스코틀랜드) | 3–1 | 0–1 |
| DWS (네덜란드) | 1–2 | 버서시 ETO 죄르 (헝가리) | 1–1 | 0–1 |
| 벤피카 (포르투갈) | 6–3 | 레알 마드리드 (스페인) | 5–1 | 1–2 |
3. 4. 준결승전
1964-65년 유러피언컵 준결승전은 8강전을 통과한 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결승 진출팀을 가렸다.
결과적으로 '''인테르'''가 합계 4-3으로, '''벤피카'''가 합계 5-0으로 각각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했다.
3. 5. 결승전
1965년 5월 27일 21시 30분 (CET), 이탈리아 밀라노의 산 시로에서 인테르와 벤피카의 1964-65년 유러피언컵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6] 자이르의 결승골로 인테르는 벤피카를 1-0으로 꺾고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6] 이날 경기는 77,000명의 관중이 지켜보았으며,[6] 스위스의 고트프리트 디엔스트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인테르 | 벤피카 | ||
|---|---|---|---|
| GK | 줄리아노 사르티 | GK | 알베르토 다 코스타 페레이라 |
| DF | 아르만도 피키 | DF | 도미시아노 카벤 |
| DF | 알스티데 과르네리 | DF | 페르난도 크루스 |
| DF | 탈치시오 부르니치 | DF | 제르마노 |
| MF | 자친토 파케티 | DF | 라울 마샤도 |
| MF | 잔프랑코 베딘 | MF | 조제 네투 |
| MF |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루이스 수아레스es | MF | 마리오 코르나 |
| MF | 마리오 코르소 | MF | 조제 아우구스토 |
| FW | 자이르 | FW | 에우제비우 |
| FW | 산드로 마촐라 | FW | 조제 아우구스토 토레스 |
| FW | 호아킨 페이로es | FW | 안토니오 시몬이스 |
| 감독 | 감독 | ||
| 엘레니오 에레라 | 엘렉 슈바르츠ro | ||
4. 우승 팀
5. 최고 득점자
| 순위 | 선수 | 팀 | 골 |
|---|---|---|---|
| 1 | 조제 토레스 | 벤피카 | 11 |
| 2 | 에우제비우 | 벤피카 | 9 |
| 3 | 로저 헌트 | 리버풀 | 7 |
| 니콜라 코트코프 | 로코모티프 소피아 | ||
| 5 | 아만시오 | 레알 마드리드 | 6 |
| 짐 포레스트 | 레인저스 | ||
| 파코 겐토 | 레알 마드리드 | ||
| 8 | 스피로 데바르스키 | 로코모티프 소피아 | 5 |
| 이안 세인트 존 | 리버풀 | ||
| 10 | 프란스 헤르트선 | DWS | 4 |
| 라몬 그로소 | 레알 마드리드 | ||
| 라슬로 케글로비치 | 죄리 바사스 에토 | ||
| 보 라르손 | 말뫼 FF | ||
| 산드로 마촐라 | 인테르 밀란 | ||
| 라슬로 포바자이 | 죄리 바사스 에토 | ||
| 모스제 템밍 | DWS |
참조
[1]
뉴스
Jair seals Inter's second successive crown
https://www.uefa.com[...]
UEFA
2014-09-01
[2]
웹사이트
NIFS - Norsk & Internasjonal Fotballstatistikk
https://www.nifs.no/[...]
2024-10-16
[3]
간행물
Partizani v Köln, 9 September 1964
UEFA match attendance
2022-03-12
[4]
간행물
Real Madrid v Dukla Prague, 18 November 1964
UEFA match attendance
2022-03-12
[5]
간행물
Real Madrid v Benfica, 17 March 1965
UEFA match attendance
2022-03-12
[6]
간행물
Internazionale v Benfica, 27 May 1965
UEFA match attendance
2022-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