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는 온두라스 테구시갈파에서 개최된 대회로, 과테말라가 우승을 차지했다. 예선에서 아이티, 트리니다드 토바고, 과테말라, 니카라과가 본선에 진출했으며, 본선에는 멕시코, 온두라스가 추가되어 총 6개 팀이 참가했다. 대회는 단일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과테말라가 4승 1무의 성적으로 1위를 차지했고, 멕시코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3월 - 1967년 프랑스 총선
1967년 프랑스 총선은 우파 연합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좌파의 약진이 두드러졌으며, 드골 정권에 대한 국민적 심판으로 해석되는 선거였다.
196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CONCACAF 선수권 대회 1967 |
연도 | 1967 |
![]() | |
개최국 | 온두라스 |
대회 기간 | 1967년 3월 5일 ~ 3월 19일 |
참가 팀 수 | 6 |
연맹 | 1 |
경기장 수 | 1 |
도시 수 | 1 |
결과 | |
우승 | 과테말라 |
우승 횟수 | 1 |
준우승 | 멕시코 |
준우승 당시 국기 | 1934 |
3위 | 온두라스 |
3위 당시 국기 | 1949 |
4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통계 | |
경기 수 | 15 |
총 득점 | 35 |
평균 득점 | 2.33 |
최다 득점 선수 | 마누엘 레시노스(4골)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65 |
다음 대회 | 1969 |
2. 예선
아이티가 3승 1무,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2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자메이카는 1승 2무 1패, 쿠바는 2무 2패,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2무 2패를 기록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득점 |
---|---|---|---|---|---|---|---|---|
아이티/Haïtiht | 4 | 3 | 1 | 0 | 7 | 3 | +4 | 7 |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 4 | 2 | 1 | 1 | 7 | 7 | 0 | 5 |
자메이카/Jamaica영어 | 4 | 1 | 2 | 1 | 4 | 4 | 0 | 4 |
쿠바/Cubaes | 4 | 0 | 2 | 2 | 5 | 7 | -2 | 2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Nederlandse Antillennl | 4 | 0 | 2 | 2 | 4 | 6 | -2 | 2 |
1967년 2월 11일, 자메이카와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경기가 1-1 무승부로 끝났다. 2월 12일에는 쿠바와 아이티의 경기가 1-1 무승부로 끝났다. 2월 13일에는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를 2-1로 이겼다. 2월 14일에는 자메이카가 쿠바를 2-1로 이겼다. 2월 16일에는 아이티가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4-2로 이겼다. 2월 17일에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와 쿠바의 경기가 2-2 무승부로 끝났다. 2월 18일에는 자메이카와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경기가 1-1 무승부로 끝났다. 2월 19일에는 아이티가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를 1-0으로 이겼다. 2월 20일에는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쿠바를 2-1로 이겼다. 2월 21일에는 자메이카가 아이티에게 0-1로 졌다.
1967년 2월 13일, 과테말라 시에서 과테말라가 파나마를 3 – 1로 이겼다. 2월 15일에는 과테말라가 니카라과를 3 – 1로 이겼다. 2월 17일에는 파나마가 니카라과에게 1 – 3으로 졌다.
2. 1. 1조 (킹스턴, 자메이카)
1조는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진행되었다. 아이티가 3승 1무,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2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자메이카는 1승 2무 1패, 쿠바는 2무 2패,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2무 2패를 기록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득점 |
---|---|---|---|---|---|---|---|---|
아이티/Haïtiht | 4 | 3 | 1 | 0 | 7 | 3 | +4 | 7 |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 4 | 2 | 1 | 1 | 7 | 7 | 0 | 5 |
자메이카/Jamaica영어 | 4 | 1 | 2 | 1 | 4 | 4 | 0 | 4 |
쿠바/Cubaes | 4 | 0 | 2 | 2 | 5 | 7 | -2 | 2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Nederlandse Antillennl | 4 | 0 | 2 | 2 | 4 | 6 | -2 | 2 |
1967년 2월 11일, 자메이카와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경기가 1-1 무승부로 끝났다. 2월 12일에는 쿠바와 아이티의 경기가 1-1 무승부로 끝났다. 2월 13일에는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를 2-1로 이겼다. 2월 14일에는 자메이카가 쿠바를 2-1로 이겼다. 2월 16일에는 아이티가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4-2로 이겼다. 2월 17일에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와 쿠바의 경기가 2-2 무승부로 끝났다. 2월 18일에는 자메이카와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경기가 1-1 무승부로 끝났다. 2월 19일에는 아이티가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를 1-0으로 이겼다. 2월 20일에는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쿠바를 2-1로 이겼다. 2월 21일에는 자메이카가 아이티에게 0-1로 졌다.
2. 2. 2조 (과테말라 시, 과테말라)
1967년 2월 13일, 과테말라 시에서 과테말라가 파나마를 3 – 1로 이겼다. 2월 15일에는 과테말라가 니카라과를 3 – 1로 이겼다. 2월 17일에는 파나마가 니카라과에게 1 – 3으로 졌다.
3. 본선
3. 1. 참가국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개최국), 멕시코(전 대회 우승팀), 니카라과,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아이티는 1964년에 예선을 통과했다.
3. 2. 경기장
196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의 모든 경기는 테구시갈파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에서 개최되었다.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35,000명이다.
3. 3. 경기 결과
196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는 단일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팀은 다른 팀과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과테말라가 4승 1무로 우승을 차지했고,[4] [5] 멕시코가 4승 1패로 준우승을 차지했다.[4] [5] 온두라스, 트리니다드 토바고, 아이티, 니카라과가 그 뒤를 이었다.[4] [5]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967년 3월 5일: 온두라스 1 – 0 트리니다드 토바고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6일: 과테말라 2 – 1 아이티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6일: 멕시코 4 – 0 니카라과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8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3 – 2 아이티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8일: 온두라스 1 – 1 니카라과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10일: 아이티 2 – 1 니카라과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10일: 과테말라 1 – 0 멕시코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12일: 멕시코 4 – 0 트리니다드 토바고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12일: 온두라스 0 – 0 과테말라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14일: 과테말라 2 – 0 트리니다드 토바고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6]
- 1967년 3월 14일: 멕시코 1 – 0 아이티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17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3 – 1 니카라과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17일: 온두라스 2 – 0 아이티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19일: 과테말라 2 – 0 니카라과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 1967년 3월 19일: 온두라스 0 – 1 멕시코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테구시갈파)
4.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과테말라/Guatemalaes | 9 | 5 | 4 | 1 | 0 | 7 | 1 | +6 |
2 | 멕시코/Méxicoes | 8 | 5 | 4 | 0 | 1 | 10 | 1 | +9 |
3 | 온두라스/Hondurases | 6 | 5 | 2 | 2 | 1 | 4 | 2 | +2 |
4 |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영어 | 4 | 5 | 2 | 0 | 3 | 6 | 10 | -4 |
5 | 아이티/Haïti프랑스어 | 2 | 5 | 1 | 0 | 4 | 5 | 9 | -4 |
6 | 니카라과/Nicaraguaes | 1 | 5 | 0 | 1 | 4 | 3 | 12 | -9 |
과테말라가 1번째 우승을 차지했다.[4][5]
5. 우승팀
과테말라
첫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