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73년 유러피언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2-73년 유러피언컵은 1972년부터 1973년까지 개최된 유럽 클럽 축구 대회이다. 결승전에서 AFC 아약스가 유벤투스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게르트 뮐러가 11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축구 - 1973년 오세아니아컵
1973년 오세아니아컵은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뉴질랜드가 타히티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1973년 축구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2-73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72-73은 아틀레틱 빌바오가 결승전에서 CD 카스테욘을 꺾고 우승을 차지한 스페인의 축구 컵 대회이다. - 1972년 축구 - 1972년 AFC 아시안컵
1972년 AFC 아시안컵은 태국에서 개최되어 이란이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태국과 크메르 공화국이 각각 3위와 4위를 기록했다. - 1972년 축구 -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카메룬에서 개최되어 콩고 공화국이 말리를 꺾고 우승했으며, 판타마디 케이타가 득점왕을 차지한 8번째 대회이다. - 유러피언컵 - 1967-68년 유러피언컵
1967-68년 유러피언컵은 UEFA 주관 클럽 대항전으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SL 벤피카를 꺾고 잉글랜드 클럽 최초로 우승했으며, SL 벤피카의 에우제비우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유러피언컵 - 1955-56년 유러피언컵
1955-56년 유러피언컵은 UEFA가 주관한 첫 번째 대회로, 16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스타드 드 랭스를 꺾고 초대 챔피언이 되었으며 밀로시 밀루티노비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72-73년 유러피언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정보 | |
| 대회 명칭 | 유러피언컵 |
| 시즌 | 1972-73 |
![]() | |
| 기간 | 1972년 9월 13일 – 1973년 5월 30일 |
| 참가 팀 수 | 30 |
| 경기 수 | 57 |
| 총 득점 | 160 |
| 총 관중 수 | 1,752,786 |
| 이전 시즌 | 1971–72 |
| 다음 시즌 | 1973–74 |
| 결과 | |
| 우승 팀 | 아약스 |
| 우승 횟수 | 3 |
| 준우승 팀 | 유벤투스 |
| 득점 | |
| 득점왕 | 게르트 뮐러 (바이에른 뮌헨) |
| 득점 | 11 골 |
2. 대회 방식
3. 참가 팀
바커 인스브루크 안데를레흐트 CSKA 소피아 오모니아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베일레 더비 카운티 TPS 마르세유 마그데부르크 바이에른 뮌헨 파나티나이코스 우이페슈티 도자 케플라비크 워터포드 유벤투스 아리스 슬리에마 원더러스 아약스 TH 로젠보르그 고르니크 자브제 벤피카 아르제슈 피테슈티 셀틱 레알 마드리드 말뫼 FF 바젤 갈라타사라이 디나모 키예프 젤레즈니차르
3. 1. 대한민국 관련 팀 (참고)
4. 경기 결과
1회전
1972-73년 유러피언컵 1회전에서는 여러 팀들이 경합을 벌였다.
CSKA 소피아는 파나티나이코스를 상대로 1차전에서 2-1로 승리한 후, 승부차기에서 3-2로 이겼으나 파나티나이코스의 항의로 재경기가 열려 2-0으로 승리, 합계 4-1로 2회전에 진출했다.[6][7] 아약스와 스파르타크 트르나바는 부전승으로 2회전에 진출했다.
갈라타사라이는 바이에른 뮌헨과의 1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으나, 2차전에서 0-6으로 대패하여 합계 1-7로 탈락했다. 워터퍼드는 오모니아에게 1차전에서 2-1로 이겼지만, 2차전에서 0-2로 패배하여 합계 2-3으로 탈락했다. 바커 인스브루크는 디나모 키예프에게 합계 0-3으로 패배했다.
슬리마 원더러스는 구르니크 자브제에게 합계 0-10으로 대패했고, 아리스는 아르게슈 피테슈티에게 합계 0-6으로 패배했다. 레알 마드리드는 케플라비크를 합계 4-0으로 꺾었다. 마르세유는 유벤투스에게 합계 1-3으로 패배했다.
마그데부르크는 TPS를 합계 9-1로 대파했고, 셀틱은 로센보르그를 합계 5-2로 이겼다. 우이페슈티 도사는 바젤을 합계 4-3으로 꺾었다. 안데를레흐트는 바일레를 합계 7-2로 제압했다.
더비 카운티는 젤레즈니차르를 합계 4-1로 이겼다. 말뫼는 벤피카에게 합계 2-4로 패배했다.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CSKA 소피아 | 4–1 | 파나티나이코스 | 2–1 | 2–0[1][2] |
| 갈라타사라이 | 1–7 | 바이에른 뮌헨 | 1–1 | 0–6 |
| 워터퍼드 유나이티드 | 2–3 | 오모니아 | 2–1 | 0–2 |
| 바커 인스브루크 | 0–3 | 디나모 키예프 | 0–1 | 0–2 |
| 슬리마 원더러스 | 0–10 | 구르니크 자브제 | 0–5 | 0–5 |
| 아리스 | 0–6 | 아르게슈 피테슈티 | 0–2 | 0–4 |
| 레알 마드리드 | 4–0 | 케플라비크 | 3–0 | 1–0 |
| 마르세유 | 1–3 | 유벤투스 | 1–0 | 0–3 |
| 마그데부르크 | 9–1 | TPS | 6–0 | 3–1 |
| 셀틱 | 5–2 | 로센보르그 | 2–1 | 3–1 |
| 우이페슈티 도사 | 4–3 | 바젤 | 2–0 | 2–3 |
| 안데를레흐트 | 7–2 | 바일레 | 4–2 | 3–0 |
| 더비 카운티 | 4–1 | 젤레즈니차르 | 2–0 | 2–1 |
| 말뫼 | 2–4 | 벤피카 | 1–0 | 1–4 |
2회전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CSKA 소피아 | 1–6 | 아약스 | 1–3 | 0–3 |
| 바이에른 뮌헨 | 13–0 | 오모니아 | 9–0 | 4–0 |
| 디나모 키예프 | 3–2 | 구르니크 자브제 | 2–0 | 1–2 |
| 아르게슈 피테슈티 | 3–4 | 레알 마드리드 | 2–1 | 1–3 |
| 유벤투스 | 2–0 | 마그데부르크 | 1–0 | 1–0 |
| 셀틱 | 2–4 | 우이페슈티 도사 | 2–1 | 0–3 |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2–0 | 안데를레흐트 | 1–0 | 1–0 |
| 더비 카운티 | 3–0 | 벤피카 | 3–0 | 0–0 |
CSKA 소피아와 아약스의 경기에서 아약스가 합계 6-1로 승리했다.
오모니아와 바이에른 뮌헨의 경기에서 바이에른 뮌헨이 합계 13-0으로 승리했다.
구르니크 자브제와 디나모 키예프의 경기에서 디나모 키예프가 합계 3-2로 승리했다.
레알 마드리드와 아르게슈 피테슈티의 경기에서 레알 마드리드가 합계 4-3으로 승리했다.
마그데부르크와 유벤투스의 경기에서 유벤투스가 합계 2-0으로 승리했다.
우이페슈티 도사와 셀틱의 경기에서 우이페슈티 도사가 합계 4-2로 승리했다.
안데를레흐트와 스파르타크 트르나바의 경기에서 스파르타크 트르나바가 합계 2-0으로 승리했다.
벤피카와 더비 카운티의 경기에서 더비 카운티가 합계 3-0으로 승리했다.
8강전
1972-73년 유러피언컵 8강전은 1973년 3월 7일과 3월 21일에 진행되었다.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아약스 | 5–2 | 바이에른 뮌헨 | 4–0 | 1–2 |
| 디나모 키예프 | 0–3 | 레알 마드리드 | 0–0 | 0–3 |
| 유벤투스 | 2–2 (a) | 우이페슈티 도사 | 0–0 | 2–2 |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1–2 | 더비 카운티 | 1–0 | 0–2 |
- 레알 마드리드는 디나모 키예프를 합계 3-0으로 이겼다.
- 더비 카운티는 스파르타크 트르나바를 합계 2-1로 이겼다.
준결승전
아약스는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합계 3-1 승리를 거두었다.
유벤투스는 더비 카운티를 상대로 합계 3-1 승리를 거두었다.
결승전
1973년 5월 30일, 아약스()는 베오그라드의 스타디온 츠르베나 즈베즈다에서 열린 유벤투스()와의 결승전에서 렙의 득점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관중 수는 89,484명이었으며, 주심은 유고슬라비아의 밀리보예 구굴로비치였다. 이로써 아약스는 3번째 유러피언컵 우승을 차지했다.
| 1972-73년 유러피언컵 우승 팀 |
|---|
| 아약스 3번째 우승 |
4. 1. 1회전
1972-73년 유러피언컵 1회전에서는 여러 팀들이 경합을 벌였다.CSKA 소피아는 파나티나이코스를 상대로 1차전에서 2-1로 승리한 후, 승부차기에서 3-2로 이겼으나 파나티나이코스의 항의로 재경기가 열려 2-0으로 승리, 합계 4-1로 2회전에 진출했다.[6][7] 아약스와 스파르타크 트르나바는 부전승으로 2회전에 진출했다.
갈라타사라이는 바이에른 뮌헨과의 1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으나, 2차전에서 0-6으로 대패하여 합계 1-7로 탈락했다. 워터퍼드는 오모니아에게 1차전에서 2-1로 이겼지만, 2차전에서 0-2로 패배하여 합계 2-3으로 탈락했다. 바커 인스브루크는 디나모 키예프에게 합계 0-3으로 패배했다.
슬리마 원더러스는 구르니크 자브제에게 합계 0-10으로 대패했고, 아리스는 아르게슈 피테슈티에게 합계 0-6으로 패배했다. 레알 마드리드는 케플라비크를 합계 4-0으로 꺾었다. 마르세유는 유벤투스에게 합계 1-3으로 패배했다.
마그데부르크는 TPS를 합계 9-1로 대파했고, 셀틱은 로센보르그를 합계 5-2로 이겼다. 우이페슈티 도사는 바젤을 합계 4-3으로 꺾었다. 안데를레흐트는 바일레를 합계 7-2로 제압했다.
더비 카운티는 젤레즈니차르를 합계 4-1로 이겼는데, 젤레즈니차르의 홈 구장 보수 공사로 인해 사라예보의 스타디온 코셰보에서 경기가 치러졌다.[1][2] 말뫼는 벤피카에게 합계 2-4로 패배했다.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CSKA 소피아 | 4–1 | 파나티나이코스 | 2–1 | 2–0[1][2] |
| 갈라타사라이 | 1–7 | 바이에른 뮌헨 | 1–1 | 0–6 |
| 워터퍼드 유나이티드 | 2–3 | 오모니아 | 2–1 | 0–2 |
| 바커 인스브루크 | 0–3 | 디나모 키예프 | 0–1 | 0–2 |
| 슬리마 원더러스 | 0–10 | 구르니크 자브제 | 0–5 | 0–5 |
| 아리스 | 0–6 | 아르게슈 피테슈티 | 0–2 | 0–4 |
| 레알 마드리드 | 4–0 | 케플라비크 | 3–0 | 1–0 |
| 마르세유 | 1–3 | 유벤투스 | 1–0 | 0–3 |
| 마그데부르크 | 9–1 | TPS | 6–0 | 3–1 |
| 셀틱 | 5–2 | 로센보르그 | 2–1 | 3–1 |
| 우이페슈티 도사 | 4–3 | 바젤 | 2–0 | 2–3 |
| 안데를레흐트 | 7–2 | 바일레 | 4–2 | 3–0 |
| 더비 카운티 | 4–1 | 젤레즈니차르 | 2–0 | 2–1 |
| 말뫼 | 2–4 | 벤피카 | 1–0 | 1–4 |
4. 2. 2회전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CSKA 소피아 | 1–6 | 아약스 | 1–3 | 0–3 |
| 바이에른 뮌헨 | 13–0 | 오모니아 | 9–0 | 4–0 |
| 디나모 키예프 | 3–2 | 구르니크 자브제 | 2–0 | 1–2 |
| 아르게슈 피테슈티 | 3–4 | 레알 마드리드 | 2–1 | 3–1 |
| 유벤투스 | 2–0 | 마그데부르크 | 1–0 | 0–1 |
| 셀틱 | 2–4 | 우이페슈티 도사 | 2–1 | 0–3 |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2–0 | 안데를레흐트 | 1–0 | 0–1 |
| 더비 카운티 | 3–0 | 벤피카 | 3–0 | 0–0 |
1972년 11월 8일, 소피아에서 열린 CSKA 소피아와 아약스의 2차전 2차전 경기에서 아약스가 3-0으로 승리하며 합계 6-1로 승리했다.
1972년 10월 26일,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열린 오모니아와 바이에른 뮌헨의 2차전 2차전 경기에서 바이에른 뮌헨이 4-0으로 승리하며 합계 13-0으로 승리했다.
1972년 11월 8일, 호주프에서 열린 구르니크 자브제와 디나모 키예프의 2차전 2차전 경기에서 구르니크 자브제가 2-1로 승리했지만, 합계 3-2로 디나모 키예프가 승리했다.
1972년 11월 9일, 마드리드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와 아르게슈 피테슈티의 2차전 2차전 경기에서 레알 마드리드가 3-1로 승리하며 합계 4-3으로 승리했다.
1972년 11월 8일, 마그데부르크에서 열린 마그데부르크와 유벤투스의 2차전 2차전 경기에서 유벤투스가 1-0으로 승리하며 합계 2-0으로 승리했다.
1972년 11월 8일,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우이페슈티 도사와 셀틱의 2차전 2차전 경기에서 우이페슈티 도사가 3-0으로 승리하며 합계 4-2로 승리했다.
1972년 11월 8일, 안데를레흐트에서 열린 안데를레흐트와 스파르타크 트르나바의 2차전 2차전 경기에서 스파르타크 트르나바가 1-0으로 승리하며 합계 2-0으로 승리했다.
1972년 11월 8일, 리스본에서 열린 벤피카와 더비 카운티의 2차전 2차전 경기에서 양 팀은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합계 3-0으로 더비 카운티가 승리했다.
4. 3. 8강전
1972-73년 유러피언컵 8강전은 1973년 3월 7일과 3월 21일에 진행되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아약스 | 5–2 | 바이에른 뮌헨 | 4–0 | 1–2 |
| 디나모 키예프 | 0–3 | 레알 마드리드 | 0–0 | 0–3 |
| 유벤투스 | 2–2 (a) | 우이페슈티 도사 | 0–0 | 2–2 |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1–2 | 더비 카운티 | 1–0 | 0–2 |
- 아약스는 바이에른 뮌헨을 합계 5-2로 이겼다. 1차전은 올림피쉬 스타디온에서 열렸으며, 아리 한의 두 골과 게리 뮈렌, 요한 크라위프의 골로 아약스가 4-0으로 승리했다. 2차전은 올림피아슈타디온에서 열렸으며, 바이에른 뮌헨이 크롤의 자책골과 뮐러의 골로 2-1로 승리했지만, 합계에서 아약스가 앞섰다.
- 레알 마드리드는 디나모 키예프를 합계 3-0으로 이겼다. 1차전은 ChMP 중앙 경기장에서 0-0 무승부로 끝났다. 디나모 키이우는 얼어붙은 잔디밭 때문에 정규 경기장인 중앙 경기장 대신 ChMP 중앙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5] 2차전은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산티야나, 아귈라르, 아만시오의 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3-0으로 승리했다.
- 유벤투스는 우이페슈티 도사와 합계 2-2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규칙에 따라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1차전은 스타디오 코무날레에서 0-0 무승부로 끝났다. 2차전은 메제리 우티 스타디온에서 열렸으며, 베네와 A. 토트가 우이페슈티 도사를 위해 득점했고, 알타피니와 아나스타시가 유벤투스를 위해 득점하며 2-2 무승부로 끝났다.
- 더비 카운티는 스파르타크 트르나바를 합계 2-1로 이겼다. 1차전은 스타디온 트르나바에서 열렸으며, 호르바트의 골로 스파르타크 트르나바가 1-0으로 승리했다. 2차전은 베이스볼 그라운드에서 열렸으며, 헥터의 두 골로 더비 카운티가 2-0으로 승리했다.
4. 4. 준결승전
아약스는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합계 3-1 승리를 거두었다. 1차전은 1973년 4월 11일 암스테르담의 올림피아 스타디온에서 열렸으며, 헐쇼프와 크롤의 득점에 힘입어 피리가 득점한 레알 마드리드를 2-1로 이겼다. 2차전은 1973년 4월 25일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G. 뮈렌의 득점으로 아약스가 1-0으로 승리하였다.
유벤투스는 더비 카운티를 상대로 합계 3-1 승리를 거두었다. 1차전은 1973년 4월 11일 토리노의 스타디오 코무날레에서 열렸으며, 알타피니의 두 골과 카우시오의 득점에 힘입어 헥터가 득점한 더비 카운티를 3-1로 이겼다. 2차전은 1973년 4월 25일 더비의 베이스볼 그라운드에서 열렸으며,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4. 5. 결승전
1973년 5월 30일, 아약스()는 베오그라드의 스타디온 츠르베나 즈베즈다에서 열린 유벤투스()와의 결승전에서 렙의 득점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관중 수는 89,484명이었으며, 주심은 유고슬라비아의 밀리보예 구굴로비치였다. 이로써 아약스는 3번째 유러피언컵 우승을 차지했다.| 1972-73년 유러피언컵 우승 팀 |
|---|
| 아약스 3번째 우승 |
5. 우승 팀
3회 우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