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2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1982년 11월 20일부터 12월 3일까지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되었다. 이라크가 결승전에서 쿠웨이트를 1-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4위를 기록했고,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여 최종 9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8년 AFC 챌린지컵
2008년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로 인도에서 20개국이 참가한 국제 축구 대회로, 시드 배정 및 예선을 거쳐 본선이 진행되었으며 인도가 우승, 박송철이 득점왕, 바이춘 부티아가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 인도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51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51년 뉴델리 아시안 게임 축구는 6개국이 참가하여 인도에서 개최되었으며, 인도가 금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1982년 아시안 게임 축구 | |
---|---|
대회 정보 | |
종목 | 축구 |
대회 | 1982년 하계 아시안 게임 |
개최지 | 뉴델리 |
기간 | 1982년 11월 20일 - 12월 3일 |
참가국 | 16개국 |
경기 결과 | |
금메달 | (1번째 우승)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78 방콕 |
다음 대회 | 1986 서울 |
2. 조별 리그
각 조에서 상위 1, 2위를 차지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팀들은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의 최종 순위를 기준으로 시드를 배정받았다.[1] 초기 조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
- '''A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시리아, 북예멘
- '''B조''': 이라크, 쿠웨이트, 네팔, 미얀마, 남예멘
- '''C조''': 인도, 중국,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 '''D조''': 대한민국, 이란, 일본, 오만
2. 1. A조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비고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1 | 2 | 0 | 6 | 3 | +3 | 4 | 8강 진출 |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2 | 0 | 4 | 3 | +1 | 4 | 8강 진출 |
태국 | 3 | 1 | 0 | 2 | 3 | 5 | -2 | 2 | |
시리아 | 3 | 0 | 2 | 1 | 3 | 5 | -2 | 2 |
- '''1982년 11월 20일'''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1 시리아 (암베드카르 스타디움, 뉴델리)
- ** 득점: 장봉영 (21'), 칼릴 (86')
- * 사우디아라비아 1 – 0 태국 (암베드카르 스타디움, 뉴델리)
- ** 득점: 알카타니 (42')
- '''1982년 11월 22일'''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 0 태국 (자와할랄 네루 스타디움, 뉴델리)
- ** 득점: 한형일 (28', 56', 62')
- * 사우디아라비아 1 – 1 시리아 (차타르샬 스타디움, 뉴델리)
- ** 득점: 마다라티 (16'), 알카타니 (54')
- '''1982년 11월 24일'''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2 사우디아라비아 (차타르샬 스타디움, 뉴델리)
- ** 득점: 바야지드 (11'), 압둘샤커 (13'), 김종만 (33'), 황상회 (40')
- * 태국 3 – 1 시리아 (자와할랄 네루 스타디움, 뉴델리)
- ** 득점: 분눔 숙사왓 (8', 23'), 케셰크 (30'), 피야퐁 (60')
2. 2. B조
B조에서는 쿠웨이트와 이라크가 조 1, 2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했다.'''1982년 11월 23일'''
'''1982년 11월 25일'''
- - 이라크 1 – 2 -- 쿠웨이트
- 득점: 시하브 73' (이라크) / 알-수와예드 35', 알-안베리 37' (쿠웨이트)
- 장소: 자와할랄 네루 스타디움, 뉴델리
2. 3. C조
중국 1 – 0 말레이시아
득점: 류청더 23'
장소: 차트라살 경기장, 뉴델리
- ---
'''1982년 11월 20일'''
인도 2 – 0 방글라데시
득점: 프라순 바네르지 1', 90+5' [2]
장소: 자와할랄 네루 스타디움, 뉴델리
- ---
'''1982년 11월 22일'''
인도 1 – 0 말레이시아
득점: 카르틱 세트 68' [2]
장소: 암베드카르 스타디움, 뉴델리
- ---
'''1982년 11월 22일'''
중국 1 – 0 방글라데시
득점: 황샹둥 22'
장소: 자와할랄 네루 스타디움, 뉴델리
- ---
'''1982년 11월 24일'''
인도 2 – 2 중국
득점: 샤비르 알리 53'[2], 카르틱 세트 60'[2] / 선샹푸 25', 쭤수성 82'
장소: 암베드카르 스타디움, 뉴델리
- ---
'''1982년 11월 24일'''
말레이시아 1 – 2 방글라데시
득점: ? ?' / 아시시 바드라 ?'[3], 바달 로이 ?'[3]
장소: 뉴델리
2. 4. D조
'''경기 결과'''
- 11월 21일: 뉴델리 차트라살 스타디움
- '''일본''' 1 – 0 이란 (득점: 기무라 가즈시 79')
- 11월 21일: 뉴델리 암베드카 스타디움
- '''대한민국''' 3 – 0 남예멘 (득점: 정해원 25', 최순호 75', 80')
- 11월 23일: 뉴델리 자바할랄 네루 스타디움
- 대한민국 0 – 1 '''이란''' (득점: 하미드 데라흐샨 47')
- 11월 23일: 뉴델리 자바할랄 네루 스타디움
- '''일본''' 3 – 1 남예멘 (득점: 하라 히로미 66', 79', 돗츠카 테츠야 84' / 메흐디 살렘 아흐메드 50')
- 11월 25일: 뉴델리 차트라살 스타디움
- 대한민국 1 – 2 '''일본''' (득점: 강신우 21' / 기무라 가즈시 58', 가네다 노부토시 79')
- 11월 25일: 뉴델리 암베드카 스타디움
- '''이란''' 2 – 0 남예멘 (득점: 나세르 모하마드카니 47', 알리 피루지 67')
D조에서는 일본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이란이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남예멘에게 승리했지만 이란과 일본에게 연달아 패배하며 1승 2패, 조 3위로 아쉽게 탈락했다. 남예멘은 3전 전패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3. 결선 토너먼트
뉴델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0 중국
뉴델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3 쿠웨이트
(연장)
뉴델리
쿠웨이트 0 - 1 이라크
뉴델리
쿠웨이트 1 - 0 이란
(연장)
뉴델리
인도 0 - 1 사우디아라비아
뉴델리
사우디아라비아 0 - 1 이라크
뉴델리
일본 0 - 1 이라크
(연장)
뉴델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 - 2 사우디아라비아
(몰수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