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되었으며, 24개국이 참가하여 대구, 부산, 울산, 광주, 창원, 양산 등 6개 도시 7개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이란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을, 일본이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태국은 4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선수 명단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선수 명단은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오만, 베트남 등 여러 국가의 대표팀 선수 명단을 각 조별로 제공하며, 대한민국은 남자 U-23 대표팀과 여자 대표팀이 참가했고 박지성, 이운재, 이천수, 이동국 등이 남자 대표팀의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에 관한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에 관한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는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금메달, 아랍에미리트가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201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는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금메달, 아랍에미리트가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토너먼트
대회 이름2002년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토너먼트
국가대한민국
날짜2002년 9월 27일 – 10월 13일
참가 팀 수24
대륙 연맹1
경기장 수6
도시 수4
우승 횟수1
총 경기 수50
총 득점154
최다 득점자알리레자 바헤디 니크바흐트 (5)
나카야마 사토시 (5)
이전 시즌1998
다음 시즌2006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종목축구
대회2002년 아시안 게임
이미지[[파일:Football pictogram.svg|50px]]
토너먼트남자
여자
선수단남자
여자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축구 남자
대회2002년 하계
그림[[파일:Football pictogram.svg|60px]] [[파일:Asian Games logo.svg|60px]]
개최지부산
기간2002년 9월 27일 - 10월 13일
참가국24
금메달(4번째 우승)
이전 대회1998 방콕
다음 대회2006 도하

2. 경기장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경기는 대구, 부산, 울산, 광주, 창원, 양산의 6개 도시 7개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2. 1. 경기장 목록

대구부산울산
대구월드컵경기장아시아드주경기장구덕운동장문수축구경기장
수용 인원: 68,014수용 인원: 53,769수용 인원: 12,349수용 인원: 44,102
대구월드컵경기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구덕운동장
문수축구경기장
광주창원양산
광주월드컵경기장창원축구센터마산종합운동장양산종합운동장
수용 인원: 42,880수용 인원: 27,085수용 인원: 21,484수용 인원: 22,061
광주월드컵경기장
창원축구센터
마산종합운동장
--


3. 참가국 및 선수 명단

문서는 제거되어야 하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에는 총 24개국이 참가했다. 각국은 23세 이하 선수들로 구성된 대표팀을 구성했으며, 와일드카드(23세 초과 선수)는 3명까지 허용되었다.

4. 조별 리그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의 조별 리그는 24개 팀이 6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 1위 팀과 2위 팀 중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 각 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A조 ===

경기수승점
대한민국3300132+119
오만320185+36
말레이시아310236-33
몰디브3003112-110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경기 결과
일시팀 1결과팀 2경기장
2002년 9월 27일대한민국4 – 0몰디브구덕운동장, 부산
득점: 최태욱 , 아사드 압둘 가니 , 이동국 , 소바 모하메드
2002년 9월 27일오만1 – 0말레이시아마산종합운동장, 마산 (현 창원시)
득점: 타키 무바라크
2002년 9월 30일몰디브1 – 3말레이시아구덕운동장, 부산
득점: 이브라힘 파질 (몰디브), 무하마드 칼리드 잠루스 , , (말레이시아)
2002년 9월 30일오만2 – 5대한민국양산종합운동장, 양산
득점: 하심 살레 , 유수프 알부사이디 (오만), 조성환 , 김두현 , 이동국 , 이천수 , (대한민국)
2002년 10월 3일말레이시아0 – 4대한민국마산종합운동장, 마산 (현 창원시)
득점: 김은중 , , 최태욱 , 이동국 (대한민국)
2002년 10월 3일몰디브0 – 5오만울산문수축구경기장, 울산
득점: 나빌 아슈르 , 파우지 바시르 , 하심 살레 , , 무니르 아일 (오만)



=== B조 ===

경기수승점
ทีมชาติไทย|태국th330091+89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311134-14
اليمن|예멘ar310235-23
Việt Nam|베트남vi301205-51



ทีมชาติไทย|태국th (3승, 9득점 1실점, 승점 9점)이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경기 결과
일시팀 1결과팀 2경기장
2002년 9월 27일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0 – 0Việt Nam|베트남vi울산문수축구경기장, 울산
2002년 9월 27일اليمن|예멘ar0 – 3ทีมชาติไทย|태국th마산종합운동장, 마산 (현 창원시)
득점: เกียรติศักดิ์ เสนาเมือง|키아티숙 세나무앙th, ณรงค์ชัย วชิรบาล|나롱차이 와치라반th, มานิตย์ น้อยเวช|마닛 노이웨치th (태국)
2002년 9월 30일Việt Nam|베트남vi0 – 3ทีมชาติไทย|태국th마산종합운동장, 마산 (현 창원시)
득점: ณรงค์ชัย วชิรบาล|나롱차이 와치라반th, อิศวะ สิงทอง|이사와 싱통th, เกียรติศักดิ์ เสนาเมือง|키아티숙 세나무앙th (태국)
2002년 9월 30일اليمن|예멘ar1 – 2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구덕운동장, 부산
득점: عادل السالمي|아델 알살리미ar (예멘), سبيت خاطر|수바이트 카테르ar, سالم سعد|살렘 사드ar (아랍에미리트)
2002년 10월 3일ทีมชาติไทย|태국th3 – 1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구덕운동장, 부산
득점: มานิตย์ น้อยเวช|마닛 노이웨치th, เกียรติศักดิ์ เสนาเมือง|키아티숙 세나무앙th, ณรงค์ชัย วชิรบาล|나롱차이 와치라반th (태국), فيصل علي|파이살 알리ar (아랍에미리트)
2002년 10월 3일Việt Nam|베트남vi0 – 2اليمن|예멘ar마산종합운동장, 마산 (현 창원시)
득점: صالح الشهري|살레 알셰흐리ar, عادل السالمي|아델 알살리미ar (예멘)



=== C조 ===

경기수승점
중국330090+99
인도320163+36
투르크메니스탄310248-43
방글라데시300319-80



중국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경기 결과
날짜시간팀 1득점팀 2경기장
2002년 9월 27일16:33투르크메니스탄0 – 4중국구덕운동장, 부산
득점: 쉬량, 옌쑹, 왕성, 쑨샹 (중국)
2002년 9월 27일19:03인도3 – 0방글라데시울산문수축구경기장, 울산
득점: 부티아 , , R. 싱 (인도)
2002년 9월 30일16:33투르크메니스탄1 – 3인도양산종합운동장, 양산
득점: W. 바이라마우 (투르크메니스탄), 부티아 , , 야다브 (인도)
2002년 9월 30일19:03방글라데시0 – 3중국마산종합운동장, 마산 (현 창원시)
득점: 왕신신, 위타오, 가오밍 (중국)
2002년 10월 3일19:03중국2 – 0인도양산종합운동장, 양산
득점: 위타오 , (중국)
2002년 10월 3일19:03방글라데시1 – 3투르크메니스탄구덕운동장, 부산
득점: 수잔 (방글라데시), 우라조프 , , 나자로프 (투르크메니스탄)



=== D조 ===

경기수승점
일본330082+69
바레인3201105+56
우즈베키스탄310224-23
팔레스타인300309-90



일본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으며, 바레인이 조 2위(2승 1패)로 8강에 진출했다.


  • 2002년 9월 28일
  • * 양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팔레스타인과 일본의 경기에서 다나카 다쓰야(田中 達也|다나카 다쓰야일본어)와 Nemoto의 득점으로 일본이 2-0으로 승리했다.
  • * 창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바레인의 경기에서는 Jalal, H. Ali, Hassan의 득점으로 바레인이 3-0으로 승리했다.
  • 2002년 10월 1일
  • * 양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팔레스타인의 경기에서는 Bayramov와 Haydarov의 득점으로 우즈베키스탄이 2-0으로 승리했다.
  • *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일본과 바레인의 경기에서는 오쿠보 요시토 (2골), Nakayama, 마쓰이 다이스케, 다나카 다쓰야의 득점과 Al-Dosari, Isa의 득점으로 일본이 5-2로 승리했다.
  • 2002년 10월 5일
  • * 창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바레인과 팔레스타인의 경기에서는 H. Ali, Hassan (2골), Husain, Al-Dosari의 득점으로 바레인이 5-0으로 승리했다.
  • * 마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일본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에서는 Nakayama의 페널티골로 일본이 1-0으로 승리했다.


=== E조 ===

경기수승점
이란3210131+127
카타르3120132+115
레바논3111123+94
아프가니스탄3003032-320



=== F조 ===

경기수승점
الكويت|쿠웨이트ar330090+9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320173+46
香港|홍콩중국어310243+13
پاکستان|파키스탄ur3003014-140



쿠웨이트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승 1패로 조 2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했다.


  • 2002년 9월 28일
  • * 창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 香港|홍콩중국어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 한성철홍영조의 득점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 * 구덕운동장에서 열린 쿠웨이트와 پاکستان|파키스탄ur의 경기에서는 압둘라가 3골을 넣는 등 쿠웨이트가 6-0 대승을 거두었다.
  • 10월 1일
  • * 창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쿠웨이트와 香港|홍콩중국어의 경기에서는 알리의 득점으로 쿠웨이트가 1-0으로 승리했다.
  • * 양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پاکستان|파키스탄ur의 경기에서는 전철의 2골 등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5-0 대승을 거두었다.
  • 10월 5일
  • * 양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پاکستان|파키스탄ur과 香港|홍콩중국어의 경기에서는 陳耀麟|찬유룬중국어, 羅志焜|로치관중국어, 羅振邦|로춘봉중국어의 득점으로 홍콩이 3-0으로 승리했다.
  • *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쿠웨이트의 경기에서는 알살라마와 압둘라의 득점으로 쿠웨이트가 2-0으로 승리했다.


=== 각 조 2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

경기수승점
D바레인3201105+56
F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20173+46
A오만320185+36
C인도320163+36
E카타르3120132+115
B아랍에미리트311134-14



D조의 바레인과 F조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8강에 진출했다.

4. 1. A조

경기수승점
대한민국3300132+119
오만320185+36
말레이시아310236-33
몰디브3003112-110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오만, 말레이시아, 몰디브는 탈락했다.

경기 결과
일시팀 1결과팀 2경기장
2002년 9월 27일대한민국4 – 0몰디브구덕운동장, 부산
득점: 최태욱 , 아사드 압둘 가니 , 이동국 , 소바 모하메드
2002년 9월 27일오만1 – 0말레이시아마산종합운동장, 마산 (현 창원시)
득점: 타키 무바라크
2002년 9월 30일몰디브1 – 3말레이시아구덕운동장, 부산
득점: 이브라힘 파질 (몰디브), 무하마드 칼리드 잠루스 , , (말레이시아)
2002년 9월 30일오만2 – 5대한민국양산종합운동장, 양산
득점: 하심 살레 , 유수프 알부사이디 (오만), 조성환 , 김두현 , 이동국 , 이천수 , (대한민국)
2002년 10월 3일말레이시아0 – 4대한민국마산종합운동장, 마산 (현 창원시)
득점: 김은중 , , 최태욱 , 이동국 (대한민국)
2002년 10월 3일몰디브0 – 5오만울산문수축구경기장, 울산
득점: 나빌 아슈르 , 파우지 바시르 , 하심 살레 , , 무니르 아일 (오만)


4. 2. B조

태국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 예멘, 베트남은 탈락했다.

ทีมชาติไทย|타이th (3승, 9득점 1실점, 승점 9점)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시팀 1결과팀 2경기장
2002년 9월 27일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0 – 0Việt Nam|베트남vi울산문수축구경기장, 울산
2002년 9월 27일اليمن|예멘ar0 – 3ทีมชาติไทย|타이th마산종합운동장, 마산
2002년 9월 30일Việt Nam|베트남vi0 – 3ทีมชาติไทย|타이th마산종합운동장, 마산
2002년 9월 30일اليمن|예멘ar1 – 2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구덕운동장, 부산
2002년 10월 3일ทีมชาติไทย|타이th3 – 1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구덕운동장, 부산
2002년 10월 3일Việt Nam|베트남vi0 – 2اليمن|예멘ar마산종합운동장, 마산


4. 3. C조

경기수승점
중국330090+99
인도320163+36
투르크메니스탄310248-43
방글라데시300319-80



C조에서는 중국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인도, 투르크메니스탄, 방글라데시는 탈락했다.

경기 결과
날짜시간팀 1득점팀 2경기장
2002년 9월 27일16:33투르크메니스탄0 – 4중국구덕운동장, 부산
2002년 9월 27일19:03인도3 – 0방글라데시울산문수축구경기장, 울산
2002년 9월 30일16:33투르크메니스탄1 – 3인도양산종합운동장, 양산
2002년 9월 30일19:03방글라데시0 – 3중국마산종합운동장, 마산
2002년 10월 3일19:03중국2 – 0인도양산종합운동장, 양산
2002년 10월 3일19:03방글라데시1 – 3투르크메니스탄구덕운동장, 부산


4. 4. D조

경기수승점
일본330082+69
바레인3201105+56
우즈베키스탄310224-23
팔레스타인300309-90


  • 2002년 9월 28일, 양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팔레스타인과 일본의 경기에서 다나카 다쓰야(田中 達也|다나카 다쓰야일본어)와 Nemoto의 득점으로 일본이 2-0으로 승리했다.
  • 같은 날 창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바레인의 경기에서는 Jalal, H. Ali, Hassan의 득점으로 바레인이 3-0으로 승리했다.
  • 2002년 10월 1일, 양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팔레스타인의 경기에서는 Bayramov와 Haydarov의 득점으로 우즈베키스탄이 2-0으로 승리했다.
  • 같은 날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일본과 바레인의 경기에서는 오쿠보 요시토 (2골), Nakayama, 마쓰이 다이스케, 다나카 다쓰야의 득점과 Al-Dosari, Isa의 득점으로 일본이 5-2로 승리했다.
  • 2002년 10월 5일, 창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바레인과 팔레스타인의 경기에서는 H. Ali, Hassan (2골), Husain, Al-Dosari의 득점으로 바레인이 5-0으로 승리했다.
  • 같은 날 마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일본과 우즈베키스탄의 경기에서는 Nakayama의 페널티골로 일본이 1-0으로 승리했다.


일본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으며, 바레인이 조 2위(2승 1패)로 8강에 진출했다. 우즈베키스탄과 팔레스타인은 탈락했다.

4. 5. E조

경기수승점
이란3210131+127
카타르3120132+115
레바논3111123+94
아프가니스탄3003032-320

4. 6. F조

경기수승점
الكويت|쿠웨이트ar330090+9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320173+46
香港|홍콩중국어310243+13
پاکستان|파키스탄ur3003014-140


  • 2002년 9월 28일
  • * 창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홍콩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 * 구덕운동장에서 열린 쿠웨이트와 파키스탄의 경기에서는 쿠웨이트가 6-0 대승을 거두었다.
  • 10월 1일
  • * 창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쿠웨이트와 홍콩의 경기에서는 쿠웨이트가 1-0으로 승리했다.
  • * 양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파키스탄의 경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5-0 대승을 거두었다.
  • 10월 5일
  • * 양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파키스탄과 홍콩의 경기에서는 홍콩이 3-0으로 승리했다.
  • *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쿠웨이트의 경기에서는 쿠웨이트가 2-0으로 승리했다.


결과적으로 쿠웨이트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승 1패로 조 2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했다. 홍콩과 파키스탄은 탈락했다.

4. 7. 각 조 2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경기수승점
D바레인3201105+56
F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20173+46
A오만320185+36
C인도320163+36
E카타르3120132+115
B아랍에미리트311134-14



요약에 따르면, D조의 바레인과 F조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8강에 진출했다.

5. 결선 토너먼트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다. 8강전은 10월 8일마산, 부산, 양산, 울산에서 열렸으며, 일본, 태국, 이란, 대한민국이 각각 승리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은 10월 10일에 울산과 부산에서 열렸고, 일본과 이란이 결승에 진출했다.

10월 13일 울산에서는 대한민국이 태국을 3-0으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같은 날 부산에서는 이란이 일본을 2-1로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5. 1. 8강전

2002 Asian Games영어 남자 축구 8강전은 2002년 10월 8일에 열렸다.



대한민국은 바레인을 1-0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이동국이 페널티킥으로 골을 넣었다.

5. 2. 준결승전

2002년 10월 10일 울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일본태국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3-0으로 승리하였다. 같은 날 부산 구덕운동장에서 열린 이란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0-0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이란이 5-3으로 승리하였다.

5. 3. 3·4위전

3·4위전에서 대한민국은 태국을 3-0으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경기에서 박동혁, 이천수, 최태욱이 득점을 기록했다. 경기는 2002년 10월 13일 16시 03분에 울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시작되었다.

5. 4. 결승전

2002년 10월 13일 19시 3분,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부산광역시)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이란일본을 2-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이란은 자바드 카제미안과 바야티니아의 골로, 일본은 나카야마의 골로 경기를 마쳤다.

6. 우승국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에서 이란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통산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란은 1974년, 1990년, 1998년 대회에 이어 네 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7. 메달 리스트

금메달은메달동메달
이란일본대한민국


8. 최종 순위

순위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금메달
align=left|6420162+1414
은메달
align=left|6501134+915
동메달
align=left|6510172+1516
4align=left|6402107+312
5align=left|430191+89
5align=left|430191+89
7align=left|4202106+46
8align=left|420274+36
9align=left|320185+36
10align=left|320163+36
11align=left|3120132+115
12align=left|3111123+94
13align=left|311134−14
14align=left|310243+13
15align=left|310235−23
16align=left|310224−23
17align=left|310236−33
18align=left|310248−43
19align=left|301205−51
20align=left|300319−80
21align=left|300309−90
22align=left|3003112−110
23align=left|3003014−140
24align=left|3003032−320


9. 득점 선수

득점 수선수국가
5알리레자 바헤디 니크바흐트علی‌رضا واحدی نیکبخت|알리레자 바헤디 니크바흐트fa (이란)
5나카야마 사토시中山 悟志|나카야마 사토시일본어 (일본)
4바이춘 부티아बाइचुंग भुटिया|바이충 부티아ne (인도)
4이동국이동국|李同國한국어 (대한민국)
4바샤르 압둘라بشار عبد الله|바샤르 압둘라ar (쿠웨이트)
4사예드 알리 베치르سيد علي البشير|사이드 알리 베시르ar (카타르)
3아메드 하산 탈레브أحمد حسان|아흐메드 하산ar (바레인)
3위 타오于涛|위타오중국어 (중국)
3알리 다에이علی دایی|알리 다에이fa (이란)
3최태욱최태욱|崔兌旭한국어 (대한민국)
3이천수이천수|李天秀한국어 (대한민국)
3나스라트 알-자말نصرت الجمل|나스라트 알자말ar (레바논)
3파디 고슨فادي غصن|파디 고슨ar (레바논)
3모하마드 카사스محمد قصاص|모하마드 카사스ar (레바논)
3무하마드 칼리드 잠루스Mohd Khalid Jamlus|모하마드 칼리드 잠루스ms (말레이시아)
3하심 살레هاشم صالح|하솀 살레ar (오만)
3마닛 노이웨치มานิตย์ น้อยเวช|마닛 노이웨치th (태국)
3키아티숙 세나무앙เกียรติศักดิ์ เสนาเมือง|끼아띠삭 세나므앙th (태국)
3나롱차이 와치라반ณรงค์ชัย วชิรบาล|나롱차이 와치라반th (태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