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두샨베 봉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0년 두샨베 봉기는 1990년 2월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이다. 배경에는 1988년 아제르바이잔에서 발생한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폭동으로 인한 난민 유입과 관련된 루머가 있었으며, 주택난으로 인해 아르메니아인에게 새로운 아파트를 제공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시위가 시작되었다. 시위는 민족주의 세력의 개입과 함께 폭력적으로 변질되어 정부 청사 공격, 약탈, 소수 민족 대상 공격으로 이어졌고, 결국 소련군이 투입되어 진압되었다. 이 사건으로 26명이 사망하고 565명이 부상당했으며, 타지키스탄의 독립과 내전의 전조로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시위 - 검은 1월
1990년 1월 20일, 소련군이 아제르바이잔 바쿠를 침공하여 인민 전선당을 진압한 검은 1월은 아제르바이잔의 민주화 및 독립운동과 소련의 무력 진압 간의 대립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아제르바이잔 독립의 계기가 되었다. - 1990년 대량 살인 - 검은 1월
1990년 1월 20일, 소련군이 아제르바이잔 바쿠를 침공하여 인민 전선당을 진압한 검은 1월은 아제르바이잔의 민주화 및 독립운동과 소련의 무력 진압 간의 대립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아제르바이잔 독립의 계기가 되었다. - 1990년 대량 살인 - 1990년 광저우 바이윈 공항 충돌 사고
1990년 광저우 바이윈 공항 충돌 사고는 장샤오펑이 납치한 샤먼 항공 8301편이 착륙 중 통제 불능 상태로 대기 중이던 항공기 2대와 충돌하여 128명이 사망하고 항공기 3대가 파손된 사고로, 당시 중국 항공 보안 체계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1990년 두샨베 봉기 | |
---|---|
개요 | |
![]() | |
분쟁 | 소련의 붕괴의 일부 |
날짜 | 1990년 2월 12일–14일 |
장소 | 소련 타지크 SSR 두샨베 |
원인 | 지역 반아르메니아 정서 타지크 반공주의 민족주의 |
결과 | 1992년 타지키스탄 내전 발발 |
교전 세력 | |
측1 | 타지크 민족주의자 타지크 이슬람주의자 |
측2 | {{Collapsible list |
지휘관 및 지도자 | |
측1 지도자 | {{unbulletedlist |
측2 지도자 | {{unbulletedlist |
피해 규모 | |
사망자 | 26명 |
부상자 | 565명 |
기타 정보 |
2. 배경
1988년 아제르바이잔에서 숨가이트 포그롬과 바쿠 포그롬 등 반(反)아르메니아 폭동이 일어나 아르메니아인 난민이 발생했다.[9]
2. 1. 아르메니아인 난민 유입과 과장된 소문
1988년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일어난 숨가이트 포그롬과 바쿠 포그롬 등 반아르메니아 폭동으로 아제르바이잔에서 온 아르메니아인 난민 39명이 두샨베에 임시 정착했다.[9] 이듬해인 1990년, 이 아르메니아인 유입은 두샨베 봉기를 촉발시킨 소문의 원인이 되었다.[10] 이 소문은 난민 수를 2,500명에서 5,000명 가량으로 부풀렸고,[9] 아르메니아인들이 당시 극심한 주택난을 겪고 있던 두샨베의 신규 주택으로 이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9][11] 그러나 실제 아르메니아 난민들은 공공주택이 아닌 타지키스탄 내 친척 집에 머물렀고, 1990년에는 이미 타지키스탄을 떠나 아르메니아로 돌아간 상태였다.[9] 타지크 정부는 공식적으로 소문을 부정했지만 시위를 막을 수 없었다. 타지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였던 카하르 마흐카모프는 아르메니아인의 추가 정착은 없을 것이라고 확언했으나, 시위대는 이를 믿지 않았다.[12]3. 전개
1990년 2월 11일, 타지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앞에서 아르메니아 난민들에게 새로운 아파트를 준다는 소문으로 인해 대규모 시위가 시작되었다.[13][9]
이 소요사태는 며칠간 지속되었으며, 총 26명이 사망하고 565명이 부상을 입었다.[12] 훗날 타지키스탄 내무부 장관이 되는 야쿠브 살리모프를 포함한 타지키스탄 청년 운동가들이 소요 가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8] 이웃한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도 소규모 반아르메니아 소요 사태가 발생했다.[19]
3. 1. 시위대의 요구와 폭력 사태
2월 11일, 아르메니아 난민들에게 새 아파트를 제공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4천 명 이상의 사람들이 타지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앞에 모였다. 두샨베에 있던 일부 아르메니아인들은 "타지크인들을 곤경에 빠뜨리고 싶지 않다"며 타지키스탄을 떠났다.[13][9]이후 민족주의 세력인 라스토헤스 인민운동이 후원하는 시위가 폭력적으로 변했다.[12] 다음 날인 2월 12일에는 "아르메니아인을 타도하라!"라는 구호가 타지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를 겨냥한 "마흐카모프를 타도하라!"는 구호로 바뀌었다. 시위대는 급진적인 경제, 정치적 개혁도 요구했다.[12] 시위대는 건물에 불을 질렀고, 경찰이 총격을 가하자 소수민족의 상점과 집을 불태우고 파괴하기 시작했다. 같은 날 밤 두샨베에 비상사태가 선포되었다.[14]
2월 13일, 정부청사, 상점 등이 공격받고 약탈당하면서 도시는 마비되었다.[15] 아르메니아인, 러시아인[16] 등 소수민족에 대한 공격이 발생했고, 공공장소에서 유럽식 복장을 한 타지크 여성에 대한 괴롭힘도 발생했다. 이 소요사태는 마흐카모프가 두샨베에 소집한 5천 명 가량의 소련군이 진압했다.[17] 하지만 마흐카모프의 과도한 군사력 의존은 부리 카리모프 각료회의 부의장의 비판을 받았고, 그는 타지키스탄 공산당 지도부의 사임을 요구했다. 1990년 2월 14일 마흐카모프와 이자툴로 카요예프 타지키스탄 총리가 동시에 사임서를 제출했으나 타지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사임서를 반려했다.[12]
며칠 동안 일어난 두샨베 봉기로 총 26명이 사망하고 565명이 부상을 입었다.[12] 소요사태 가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타지키스탄 청년 운동가 중에는 나중에 타지키스탄의 내무부 장관이 되는 야쿠브 살리모프도 있었다.[18] 이웃한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도 소규모의 반아르메니아 소요 사태가 발생했다.[19]
3. 2. 소련군 투입과 진압
1990년 2월 13일, 정부청사, 상점, 기타 건물들이 공격받고 약탈당했으며 도시의 전 기능이 사실상 마비되었다.[15] 아르메니아인, 러시아인,[16] 기타 소수민족을 표적으로 한 공격도 일어났다. 공공장소에서 유럽식 복장을 입은 타지크인 여성에 대한 괴롭힘도 발생했다. 이 소요사태는 카하르 마흐카모프가 두샨베에 소집한 5천명 가량의 소련군이 진압했다.[17] 하지만 마흐카모프의 과도한 군사력 의존에 대해 부리 카리모프 각료회의 부의장은 타지키스탄 공산당 지도부의 사임을 요구하며 비판했다. 1990년 2월 14일, 마흐카모프와 이자툴로 카요예프 타지키스탄 총리는 사임서를 제출했으나 타지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이를 반려했다.[12]
두샨베 봉기로 총 26명이 사망하고 565명이 부상을 입었다.[12] 소요사태 가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타지키스탄 청년 운동가 중에는 훗날 타지키스탄의 내무부 장관이 되는 야쿠브 살리모프도 있었다.[18] 이웃한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도 소규모의 반아르메니아 소요 사태가 발생했다.[19]
4. 결과
두샨베 봉기로 총 26명이 사망하고 565명이 부상을 입었다.[12] 훗날 타지키스탄의 내무부 장관이 되는 야쿠브 살리모프 등 타지크 청년 운동가들이 소요 사태 가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8] 이웃한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도 소규모의 반아르메니아 소요 사태가 발생했다.[19]
5. 영향
타지키스탄은 소련 붕괴 이후인 1991년 12월 9일 독립을 선언했다.[1] 독립 직후인 1992년, 내전이 시작되었다.[1]
참조
[1]
서적
The Deadly Ethnic Rio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10-23
[2]
서적
Conflicting Loyalties and the State in Post-Soviet Russia and Eur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웹사이트
Settlement of ethnic conflicts in post-Soviet society
http://www.unu.edu/u[...]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008-10-23
[4]
서적
The Receding Shadow of the Prophet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5]
서적
Russians i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6]
서적
Clan politics and regime transition in Central As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10-23
[7]
뉴스
http://www.newizv.ru[...]
Novye Izvestiya
2004-02-25
[8]
서적
Central Asia, 130 Years of Russian Dominanc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08-10-23
[9]
서적
The Deadly Ethnic Rio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10-23
[10]
서적
Conflicting Loyalties and the State in Post-Soviet Russia and Eur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웹인용
Settlement of ethnic conflicts in post-Soviet society
http://www.unu.edu/u[...]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008-10-23
[12]
서적
The Receding Shadow of the Prophet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3]
웹인용
Экс-президент Таджикистана о роли КГБ и армянских беженцев из Спитака в беспорядках в Душанбе 1990 года
https://regnum.ru/ne[...]
2017-05-13
[14]
웹인용
Война и мир в современном Таджикистане
http://www.xserver.r[...]
2010-02-03
[15]
웹인용
«Вятский наблюдатель» Номер 5 за январь 1999 г.
http://old.nabludate[...]
2017-05-13
[16]
서적
Russians i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7]
서적
Clan politics and regime transition in Central As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10-23
[18]
뉴스
http://www.newizv.ru[...]
Novye Izvestiya
2004-02-25
[19]
서적
Central Asia, 130 Years of Russian Dominanc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08-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