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지키스탄 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지키스탄 내전은 1991년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후, 1992년부터 1997년까지 타지키스탄에서 발생한 무력 분쟁이다. 이슬람주의 세력, 민주주의 세력, 지역 및 부족 간의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내전으로 이어졌다.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 등 외부 세력의 개입과 아프가니스탄의 지원 속에서 정부군과 반군 간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으며, 수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 발생, 경제 파탄, 사회 기반 시설 파괴를 초래했다. 1997년 국제 연합의 중재로 휴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내전은 종식되었지만, 타지키스탄 사회는 심각한 상처를 입었고, 권위주의적 정치 체제가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타지키스탄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분쟁 이름 | 타지키스탄 내전 |
일부 | 소련 이후의 충돌 아프가니스탄 내전 (1992–1996)의 확산 |
날짜 | 1992년 5월 5일 – 1997년 6월 27일 |
장소 | 타지키스탄 |
결과 | 휴전 |
발발 원인 | 타지키스탄의 지배 엘리트와 야당 간의 정치 투쟁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 타지키스탄 인민전선 타지키스탄 공산당 타지키스탄 사회주의당 / / / |
교전국 1 지원 세력 | (무기 공급) UNMOT |
교전국 2 | 타지크 연합 야당 이슬람 부흥당 [[파일:LOGODemocratic Party of Tajikistan.jpg|20px]] 타지크 민주당 인민 통합당 라스트케즈 인민 운동 랄리 바다흐샨 아프가니스탄 (1996년까지) 자미아트 이슬라미 (1996년까지) |
교전국 2 지원 세력 |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탈레반 (주장, 이란은 부인) |
지휘관 | |
교전국 1 지휘관 | / 라흐몬 나비예프 / 악바르쇼 이스칸드로프 에모말리 라흐몬 이슬람 카리모프 / 보리스 옐친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아스카르 아카예프 / 하산 아바자 |
교전국 2 지휘관 | / 사이이드 압둘로 누리 (UTO) 모하메드 샤리프 히마자드 (IRP) 이븐 알카타브 샤드만 유소프 (민주당) |
병력 | |
교전국 1 병력 | / 42,000–45,000명 / 5,000–15,000 국경 수비대 20,600명 / 10,300명 / 278명 |
교전국 2 병력 | 약 50,000–70,000명 추정 |
사상자 | |
교전국 1 사상자 | 302명 사망, 1583명 부상 (러시아측 사상자만 해당) |
교전국 2 사상자 | 불명 |
총 사상자 | 20,000–150,000명 사망, 120만명 이재민 |
2. 배경
타지키스탄 내전의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 경제적 어려움, 타지크인들의 공동체적 삶의 방식과 높은 종교성 등이 갈등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은 타지키스탄 내 이슬람 민주주의 운동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활당, 타지키스탄 민주당 등 여러 정치 세력들이 등장했다.
1991년 소련으로부터 독립과 민주화 과정은 권력 공백과 갈등을 야기했다. 독립 이후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라흐몬 나비예프가 당선되었으나, 이후 권력 투쟁이 격화되었다. 특히, 전(前) 공산주의 엘리트와 반대파 간의 갈등은 정치적 영역을 넘어 민족적, 씨족 기반의 분쟁으로 확산되었다. 1992년 5월,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와 가름 지역의 이슬람주의 세력과 민주주의 세력은 라흐몬 나비예프 정권에 반대하는 무장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들은 쿨롭과 후잔트 지역이 타지키스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에 반발했다.
2. 1. 소련 붕괴와 독립
1991년 9월 9일, 타지키스탄은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다. 같은 해 11월 24일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는 라흐몬 나비예프가 당선되었다.1992년 봄,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활당, 타지키스탄 민주당을 비롯한 이슬람 민주주의 운동 세력은 라흐몬 나비예프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를 시작했다. 이들은 1991년 대통령 선거 결과에 항의하며,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에게 군사 원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이에 라흐몬 나비예프 대통령과 사파랄리 켄자예프 최고 소비에트 의장은 친정부 민병대에 무기를 배포하며 맞섰다.
소련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 아래,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이슬람 민주주의 운동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전 공산주의 엘리트와 반대파 간의 싸움은 정치적 영역에서 민족적, 씨족 기반으로 이동했다.
2. 2. 민족, 종교, 지역 갈등
1991년 소련에서 독립한 타지키스탄은 다양한 민족, 종교, 지역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후잔트, 쿨롭, 가름,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등 주요 지역 세력 간의 갈등이 존재했다.1992년 5월,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와 가름 지역의 이슬람주의 세력과 민주주의 세력은 라흐몬 나비예프 정권에 반대하는 무장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쿨롭과 후잔트 지역이 타지키스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에 반발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 아래,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이슬람 민주주의 운동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반대파의 중추는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활당, 타지키스탄 민주당 및 기타 여러 운동이었다. 전 공산주의 엘리트와 반대파 간의 싸움은 정치적 영역에서 민족적, 씨족 기반으로 이동했다.[1]
1991년 대통령 선거 결과에 항의하는 시위가 1992년 봄에 반대파에 의해 시작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라흐몬 나비예프 대통령과 최고 소비에트 의장 사파랄리 켄자예프는 친정부 민병대에 무기를 배포하는 것을 주도했고, 반대파는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에게 군사 원조를 요청했다.[1]
2. 3. 1991년 대통령 선거와 나비예프 정권
1991년 9월 9일 타지키스탄은 소련에서 독립하였다. 1991년 11월 24일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라흐몬 나비예프가 당선되었다.1992년 봄, 1991년 대통령 선거 결과에 항의하는 시위가 야권에 의해 시작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라흐몬 나비예프 대통령과 최고 소비에트 의회 의장 사파랄리 켄자예프는 친정부 민병대에 무기를 배포하는 것을 주도했고, 야권은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에게 군사 원조를 요청했다.[4]
3. 내전의 전개 (1992-1997)
1991년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타지키스탄에서는 1991년 11월 24일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라흐몬 나비예프가 당선되었다. 그러나 1992년 5월, 민주주의 세력과 이슬람주의 세력을 포함하는 반정부 세력이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가름에서 무장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쿨롭, 후잔트 등 기존 권력 기반 지역에 대항하는 세력이었다.
1992년 9월, 반정부 세력은 두샨베를 점령하고 대통령 관저와 방송국을 장악하며 시가전을 벌였다. 후잔트파와 쿨롭파가 주축이 된 타지키스탄 인민전선은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지원을 받아 반격했고, 1992년 말 나비예프 정권을 붕괴시켰다. 이후 쿨롭 출신의 에모말리 라흐몬이 새 지도자가 되면서, 권력은 후잔트파에서 쿨롭파로 이동했다.
내전은 1993년에 더욱 격화되었다. 쿨롭 출신 민병대는 러시아 등의 지원을 받아 군사적 우위를 점했고, 두샨베 남부와 쿠르곤텝파 등지에서 파미르인과 가름인을 상대로 인종 청소와 학살을 자행했다. 이로 인해 수만 명이 사망하거나 아프가니스탄으로 피난했다.
아프가니스탄으로 피난 간 타지키스탄인들은 아흐마드 샤 마수드의 지원을 받아 타지크 통합 반군(UTO)을 결성했다. 1994년 유엔 타지키스탄 감시단(UNMOT)이 결성되면서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고, 1996년부터는 반군의 표적이 두샨베 주둔 러시아군으로 바뀌었다.
UTO는 평화 협상 과정에서 포로 교환과 야권의 정치 참여를 요구했다. 1997년 6월 27일,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에모말리 라흐몬 대통령, UTO 지도자 사이드 압둘로 니리, 러시아의 보리스 옐친 대통령이 평화 협정에 서명하면서 내전은 종식되었다.
이 전쟁으로 타지키스탄에서는 12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고, 기반 시설 파괴와 인재 유출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3. 1. 초기 충돌과 반정부 세력의 봉기 (1992)
1991년 소련에서 독립한 타지키스탄에서는 1991년 11월 24일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라흐몬 나비예프가 당선되었다. 1992년 봄, 전년도 대통령 선거 결과에 항의하는 시위가 반정부 세력에 의해 거리에서 벌어지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1992년 5월, 정부를 지지하는 구(舊)세력과 가름 및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지역 출신의 여러 민족 및 지역 집단으로 구성된 느슨한 반대 세력 사이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반정부 세력에는 민주주의적 자유주의 개혁가들과 이슬람주의자들이 포함되었다. 이들은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가름에서 라흐몬 나비예프 정권에 반대하는 무장 반란을 일으켰으며, 이는 타지키스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던 지역인 쿨롭, 후잔트에 대한 무장 반란이기도 했다.
반면 정부는 후잔트(레니나바드) 지역 출신 인물들이 주도했는데, 이들은 소련 시대 내내 지배 엘리트의 대부분을 차지했었다. 또한 쿨롭과 레가르(투르순조다) 지역 출신 인물들, 특히 소련 시대 내무부에서 고위직을 역임했던 인물들의 지지를 받았다.
여러 차례 충돌 끝에 레니나바드 출신 인물들은 타협을 받아들였고, 반대 세력 구성원들을 포함하고 결국 그들에게 지배당하는 새로운 연립 정부가 구성되었다.[18] 1992년 9월 7일, 나비예프는 반대 시위대에게 체포되어 총구에 겨누어진 채 대통령직에서 사퇴하도록 강요받았다.[19][20] 두샨베 외곽에서는 상대 진영 간의 혼란과 싸움이 계속되었다. 9월에는 두샨베를 점령한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이 대통령 관저와 방송국을 장악하면서 시가전이 벌어졌다.
3. 2. 인민전선의 등장과 정부의 반격
1992년 5월, 타지키스탄의 이슬람주의 세력과 민주주의 세력은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가름에서 라흐몬 나비예프 정권에 반대하는 무장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쿨롭, 후잔트 지역에 대한 무장 반란을 일으켰고, 9월에는 두샨베를 점령하여 대통령 관저와 방송국을 장악하면서 시가전이 벌어졌다.후잔트파와 쿨롭파가 주축이 된 타지키스탄 인민전선은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 1992년 말, 타지키스탄 인민전선은 나비예프 정권을 붕괴시켰다. 이후 쿨롭 출신의 에모말리 라흐몬을 지도자로 하는 새 정부가 수립되었는데, 이는 정부 권력이 후잔트파에서 쿨롭파로 이양되었음을 의미한다.[18] 1992년 9월 7일, 나비예프는 반대 시위대에게 체포되어 총구에 겨누어진 채 대통령직에서 사퇴하도록 강요받았다.[19][20]
1993년에 들어서면서 내전은 격화되었다. 러시아 등의 군사적 지원을 받은 쿨롭 출신 민병대는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흥당(IRP)의 이슬람주의 세력,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의 파미르인, 가름 출신 조직 등을 상대로 군사적 우위를 점했다. 이들은 두샨베 남부에서 파미르인, 가름인을 상대로 인종 청소를 자행했으며, 쿠르곤텝파에서는 가름 출신 주민들을 학살했다.[21] 이 과정에서 수만 명이 사망하거나 아프가니스탄으로 피난했다.[22][23][24][25]
3. 3. 내전의 격화와 인종 청소 (1993)
1993년 내전이 격화되면서, 러시아 등의 군사적 지원을 받은 쿨롭 출신 민병대가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흥당(IRP)의 이슬람주의 세력,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의 파미르인, 가름 출신 조직 등을 상대로 군사적 우위를 점했다. 이들은 두샨베 남부에서 파미르인과 가름인을 상대로 인종 청소를 자행했으며,[21] 쿠르곤텝파에서는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흥당의 근거지였던 가름 출신 주민들을 학살했다.[22][23][24][25] 이 과정에서 수만 명이 사망하거나 아프가니스탄으로 피난했다.3. 4. 아프가니스탄의 개입과 타지크 야권 연합 (UTO) 결성
1993년에 들어서면서 내전은 격화되었다. 특히 러시아 등의 군사적 지원을 받은 쿨롭 출신 민병대가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흥당(IRP)의 이슬람주의 세력,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의 파미르인, 가름 출신 조직 등을 상대로 군사적 우위를 점했다.[21] 쿨롭 출신 민병대는 두샨베 남부에서 파미르인, 가름인을 상대로 인종 청소를 자행했으며,[21] 쿠르곤텝파에서는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흥당의 근거지였던 가름 출신 주민들을 학살했다.[22][23][24][25]아프가니스탄으로 유입된 타지키스탄 출신 난민들을 기반으로, 이슬람 사회당의 아흐마드 샤 마수드는 타지크 반군을 지원했다. 타지키스탄의 반정부 세력은 타지크 통합 반군(UTO)이라는 연합체를 결성했다. 타빌다라 지역의 UTO 구성원들은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이 되었지만, UTO 지도부는 이 단체의 결성에 반대했다.[26]
3. 5. 유엔의 중재와 평화 협상 (1994-1997)
1994년 유엔 타지키스탄 감시단(UNMOT)이 결성되면서, 유엔의 중재 하에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다.[29] 초기에는 타지키스탄 남부에서 전투가 벌어졌으나, 1996년부터는 반군의 표적이 두샨베에 주둔 중이던 러시아 연방군 부대로 바뀌었다. 아프가니스탄 북부 출신의 이슬람주의 과격파 역시 타지키스탄에서 러시아군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26]타지크 통합 반군(UTO)은 평화 협상 과정에서 포로 교환과 야권 세력의 정치 참여를 요구했다. 1997년 6월 23일, UTO는 국제 연합 사무총장 코피 아난과 에모말리 라흐몬 타지키스탄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이러한 요구가 협정에 명시되지 않으면 평화 협정에 서명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27] UTO의 2인자인 악바르 투라존조다는 6월 26일에 이 경고를 다시 한번 강조했지만, 양측이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27]
1997년 6월 27일,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에모말리 라흐몬 대통령, UTO 지도자 사이드 압둘로 니리, 러시아의 보리스 옐친 대통령이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28] 타지키스탄 정부는 양측이 협정에 서명한 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연립 정부의 직책은 국가 화해를 위한 합동 위원회에서 결정하며, 포로 교환은 향후 협상에서 결정하기로 했다.[27]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란,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외무장관과 함께 평화 협정을 논의했다.[27][28]

이 협정으로 타지크 내전 당사자 간 대화가 촉진되었고, 주요 당사자들을 미국과 러시아와 같은 국제 행위자들이 한자리에 모으게 되었다. 평화협정으로 레닌나바드 지역(후잔트)의 권력이 제거되었다.
4. 주요 세력 및 인물
타지키스탄 내전은 다양한 세력과 인물들이 복잡하게 얽혀 전개되었다. 주요 세력은 크게 정부 측과 반정부 측으로 나눌 수 있으며, 외부 세력의 개입 또한 내전의 양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정부 측은 소련 시대 지배 엘리트였던 레니나바드(후잔트) 지역 출신 인사들이 주도했으며, 쿠롭과 레가르(투르순조다) 지역 출신, 특히 소련 내무부 고위직 출신 인사들이 지지했다.[18] 1992년 라흐몬 나비예프 대통령이 강제 사퇴한 후,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지원을 받은 레가르-쿠롭 인민전선군이 반대 세력을 격파하고 에모말리 라흐몬을 지도자로 하는 새 정부를 선출했다.[19][20]
반정부 측은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활당(IRP), 타지키스탄 민주당 등 민주적 자유주의 개혁가들과 이슬람주의자들을 포함했다. 이들은 1990년 두샨베 폭동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 아래 등장했으며, 1991년 대통령 선거 결과에 항의하며 시위를 벌였다. 반정부 세력은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에게 군사 원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외부 세력 중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은 정부 측을 지원하여 반대 세력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다.[21] 아프가니스탄의 아흐마드 샤 마수드는 타지크 통합 반군(UTO)으로 결집한 반군을 지원했다.[26]
4. 1. 정부 측
1992년 5월, 정부를 지지하는 구(舊)세력과 가름 및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출신 등 다양한 민족 및 지역 집단으로 구성된 반대 세력 간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반대 세력은 민주적 자유주의 개혁가들과 이슬람주의자들을 포함했고, 정부는 소련 시대 지배 엘리트였던 레니나바드(후잔트) 지역 출신 인사들이 주도했다. 쿠롭과 레가르(투르순조다) 지역 출신, 특히 소련 내무부 고위직 출신 인사들도 정부를 지지했다.[18] 잦은 충돌 끝에 레니나바드 출신 인사들은 타협하여 반대 세력을 포함한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18] 1992년 9월 7일, 라흐몬 나비예프는 반대 시위대에 의해 대통령직에서 강제 사퇴했다.[19][20]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지원을 받은 레가르-쿠롭 인민전선군은 1992년 초와 말에 반대 세력을 격파하고 연립 정부를 강제 사퇴시켰다. 1992년 12월 12일, 레니나바드와 쿠롭 연립 세력은 최고 소비에트(의회)를 소집, 에모말리 라흐몬을 지도자로 하는 새 정부를 선출했다. 이는 권력이 레니나바드 기반 구 권력에서 라흐몬의 고향 쿠롭 출신 민병대로 이동함을 의미했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쿠롭 민병대는 타지키스탄 이슬람 르네상스당 무장 세력,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출신 파미르인 등과 대립하며 적대 행위가 최고조에 달했다. 외국 지원을 받은 레가르-쿠롭 민병대는 반대 세력을 제압하고 휴먼 라이츠 워치가 인종 청소로 묘사한 행위를 자행했다.[21] 이 캠페인은 수도 남쪽 지역에 집중되었으며, 저명인사 살해, 대량 학살, 마을 방화, 파미르인과 가름인 아프가니스탄 추방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 IRP 권력 기반이자 가름인 거주 지역인 쿠르간튜베에서 폭력이 집중되어 수만 명이 사망하거나 아프가니스탄으로 피난했다.[22][23][24][25]
이보둘로 보이마토프와 그의 부대는 쿠롭 세력과 연합하여 반대 세력 격퇴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우즈베키스탄 지원으로 레가르에서 수백 명으로 시작한 보이마토프 민병대는 수천 명으로 성장, 지역 반대 세력(지역 우즈벡인 차별 공격)에 맞서 쿠롭 연합군을 지원했다. 그의 부대는 전쟁 중 두 차례 수도 두샨베를 장악하기도 했다.
4. 1. 1. 에모말리 라흐몬
국제 연합의 후원으로 1997년에 휴전이 성립되면서 내전이 종식되었다. 이는 미국과 러시아 등 국제 행위자들이 트랙 2 외교 구상인 타지크 내전 당사자 간 대화를 통해 주요 당사자들을 한자리에 모은 것이 부분적으로 기여한 결과였다. 평화협정으로 레닌나바드 지역(후잔트)의 권력은 제거되었고, 1999년 11월 6일에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UTO는 1997년 6월 23일 국제 연합 사무총장 코피 아난과 에모말리 라흐몬 타지크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포로 교환과 연립 정부 내 일자리 배정이 협정에 명시되지 않으면 6월 27일로 예정된 평화 협정에 서명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27] UTO의 2인자 악바르 투라존조다는 6월 26일에 이 경고를 다시 한번 언급했지만, 양측이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28] 에모말리 라흐몬 대통령, UTO 지도자 사이드 압둘로 니리,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6월 26일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만나 평화 협정 협상을 마무리했다. 타지크 정부는 양측이 협정에 서명한 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연립 정부 내 직책은 국가 화해를 위한 합동 위원회에서 결정하고 포로 교환은 향후 협상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제안된 평화 협정을 논의하기 위해 이란,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외무장관과 회의를 가졌다.[27][28]
4. 2. 반정부 측
1990년 두샨베 폭동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 아래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이슬람 민주주의 운동이 등장했다. 반정부 세력의 핵심은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활당(IRP), 타지키스탄 민주당 등이었다. 이들은 1991년 대통령 선거 결과에 항의하며 1992년 봄부터 시위를 벌였다.1992년 5월, 정부를 지지하는 구(舊)세력과 가름(Gharm) 및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출신의 여러 민족 및 지역 집단으로 구성된 반정부 세력 사이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이념적으로 반정부 세력에는 민주주의적 자유주의 개혁가들과 이슬람주의자들이 포함되었다. 반정부 세력은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에게 군사 원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이슬람 사회당의 지원을 받아 재편성된 반군은 타지크 통합 반군(UTO)이라는 조직으로 결집했다. UTO의 지도자 중 한 명인 아흐마드 샤 마수드는 타지크 반군의 후원자였다. 타빌다라 지역의 UTO 구성원들은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이 되었지만, UTO 지도부는 이 단체의 결성에 반대했다.[26]
UTO는 1997년 6월 23일 국제 연합 사무총장 코피 아난과 타지크 대통령 에모말리 라흐몬에게 보낸 서한에서 포로 교환과 연립 정부의 일자리 배정이 협정에 명시되지 않으면 평화 협정에 서명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27] UTO의 2인자인 악바르 투라존조다는 이 경고를 반복했지만, 양측이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28]
4. 3. 외부 세력
1990년 두샨베 폭동 이후, 타지키스탄 내전에는 여러 외부 세력이 개입했다. 1992년, 러시아 군대와 우즈베키스탄의 지원을 받은 레가르-쿠롭 인민전선군은 반대 세력을 격파했다. 같은 해 12월, 레니나바드와 쿠롭 간의 연립 세력은 에모말리 라흐몬의 지도 아래 새 정부를 선출했다. 이 과정에서 레가르-쿠롭 민병대는 외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반대 세력을 완전히 제압하고 파미르인과 가름인에 대한 인종 청소 캠페인을 벌였다.[21]우즈베키스탄의 지원을 받은 이보둘로 보이마토프(Ibodullo Boimatov)의 민병대는 쿠롭 세력과 연합하여 반대 세력에 대한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보이마토프의 민병대는 레가르에서 수백 명으로 시작하여 곧 수천 명으로 성장했고, 지역 반대 세력에 맞서 쿠롭 연합군을 크게 지원했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이슬람 사회당의 지원을 받아 반군이 재편성되고 재무장했다.
4. 3. 1. 러시아
러시아군과 우즈베키스탄은 레가르-쿠롭 인민전선을 지원하여 1992년 초와 말에 반대 세력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다.[21] 이 지원으로 레가르-쿠롭 민병대는 반대 세력을 완전히 제압하고, 파미르인과 가름인에 대한 인종 청소 캠페인을 벌였다.[21]4. 3. 2. 아흐마드 샤 마수드
이슬람 사회당의 지원을 받아 재편성 및 재무장한 타지크 반군의 후원자는 아흐마드 샤 마수드였다.[26] 전쟁 후반, 반군은 타지크 통합 반군(UTO)이라는 범조직체 아래 결집했다. 특히 타빌다라 지역의 UTO 구성원들은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이 되었지만, UTO 지도부는 이 단체의 결성에 반대했다.[26]5. 국제사회의 반응과 지원
타지키스탄 내전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과 지원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국제 연합의 중재 노력과 주변국의 관심이 두드러졌다.
1997년, 국제 연합의 후원으로 휴전이 성립되면서 내전이 종식되었다. 이는 미국과 러시아 등 국제 행위자들이 주요 당사자들을 타지크 내전 당사자 간 대화라는 트랙 2 외교 구상에 참여시킨 덕분이었다.[27] 전쟁이 끝날 무렵, 타지키스탄은 완전히 황폐화되었다. 약 12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고, 국가 기반 시설과 경제는 혼란에 빠졌다. 많은 사람들이 국제 원조에 의존해야 했다. 국제 연합은 1994년 12월 타지키스탄 유엔 감시단을 설립하여 평화 협상을 지원했다.[29]
5. 1. 유엔의 역할
국제 연합의 후원으로 1997년에 휴전이 성립되면서 내전이 종식되었다. 이는 미국과 러시아 등 국제 행위자들이 주요 당사자들을 타지크 내전 당사자 간 대화라는 트랙 2 외교 구상에 참여시킨 덕분에 가능했다.[27]1997년 6월 23일, 타지크 통합 반대파(UTO)는 국제 연합 사무총장 코피 아난과 에모말리 라흐몬 타지크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포로 교환과 연립 정부 내 일자리 배분이 협정에 명시되지 않으면 6월 27일에 제안된 평화 협정에 서명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UTO의 2인자 악바르 투라존조다는 6월 26일에 이 경고를 재차 강조했지만, 양측이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 6월 26일, 라흐몬 대통령, UTO 지도자 사이드 압둘로 니리,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만나 평화 협정 협상을 마무리했다. 타지크 정부는 양측이 협정에 서명한 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연립 정부 직책은 국가 화해를 위한 합동 위원회에서 결정하고 포로 교환은 추후 협상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란,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외무장관과 만나 제안된 평화 협정을 논의했다.[28]
전쟁이 끝날 무렵, 타지키스탄은 완전히 황폐화되었다. 약 120만 명이 국내외 난민이 되었고, 타지키스탄의 물리적 인프라, 정부 서비스, 경제는 혼란에 빠졌으며, 인구의 상당수는 국제 원조 기구의 생계 지원에 의존했다. 1994년 12월, 국제 연합은 타지키스탄 유엔 감시단을 설립하여 1997년 전쟁 당사자들이 포괄적인 평화 협정에 서명할 때까지 평화 협상을 유지했다.[29]
5. 2. 주변국의 입장
러시아 외무장관 예브게니 프리마코프는 제안된 평화 협정을 논의하기 위해 이란,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외무장관과 회의를 가졌다.[27][28]6. 내전의 결과와 영향
국제 연합의 후원을 받은 휴전으로 1997년에 전쟁이 종식되었다. 이는 트랙 2 외교 구상인 타지크 내전 당사자 간 대화를 통해 미국과 러시아 등 국제 행위자들이 주요 당사자들을 모은 것이 부분적으로 기여했다. 평화 협정으로 레닌나바드 지역(후잔트)의 권력은 제거되었고, 1999년 11월 6일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27]
UTO는 국제 연합 사무총장 코피 아난과 에모말리 라흐몬 타지크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평화 협정에 포로 교환과 연립 정부 일자리 배정이 명시되지 않으면 서명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악바르 투라존조다 UTO 2인자는 이러한 경고를 반복했지만, 양측은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 사이드 압둘로 니리 UTO 지도자, 라흐몬 대통령,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만나 평화 협정을 마무리했다. 타지크 정부는 협정 서명 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로 했으며, 연립 정부 직책은 국가 화해 위원회에서, 포로 교환은 추후 협상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란,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외무장관과 회의를 가졌다.[28]
6. 1. 인명 피해와 난민 발생
타지키스탄은 내전으로 인해 완전히 황폐화되었다. 약 120만 명의 사람들이 국내외 난민이 되었다.[29] 타지키스탄의 물리적 기반 시설, 정부 서비스, 경제는 혼란에 빠졌고, 많은 사람들이 국제 원조 기구의 지원에 의존하여 생계를 유지했다.[29]6. 2. 경제 파탄과 사회 기반 시설 파괴
내전이 끝날 무렵 타지키스탄은 완전히 황폐화되었다. 약 120만 명의 국내외 난민이 발생했으며, 타지키스탄의 물리적 기반 시설, 정부 서비스, 경제는 혼란에 빠졌다. 인구의 상당수는 국제 원조 기구의 생계 지원에 의존했다. 국제 연합은 1994년 12월 감시단을 설립하여 전쟁 당사자들이 1997년 포괄적인 평화 협정에 서명할 때까지 평화 협상을 유지했다.[29]6. 3. 정치적 변화와 권위주의 강화
국제 연합의 후원을 받은 휴전으로 1997년에 마침내 전쟁이 종식되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미국과 러시아와 같은 국제 행위자들이 주요 당사자들을 한자리에 모은 트랙 2 외교 구상인 타지크 내전 당사자 간 대화에 의해 촉진되었다. 평화협정으로 레닌나바드 지역(후잔트)의 권력이 제거되었다. 1999년 11월 6일에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27][28]UTO는 1997년 6월 23일 국제 연합 사무총장 코피 아난과 타지크 대통령 에모말리 라흐몬에게 보낸 서한에서 포로 교환과 연립 정부의 일자리 배정이 협정에 명시되지 않으면 6월 27일에 제안된 평화 협정에 서명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UTO의 2인자인 악바르 투라존조다는 6월 26일에 이 경고를 반복했지만 양측이 협상 중이라고 말했다. 라흐몬 대통령, UTO 지도자 사이드 압둘로 니리,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6월 26일 모스크바의 크렘린에서 만나 평화 협정 협상을 마무리했다. 타지크 정부는 이전에 양측이 협정에 서명한 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연립 정부의 직책은 국가 화해를 위한 합동 위원회에서 결정하고 포로 교환은 향후 협상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제안된 평화 협정을 논의하기 위해 이란,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외무장관과 회의를 가졌다.[27][28]
전쟁이 끝날 무렵 타지키스탄은 완전히 황폐화된 상태였다. 약 120만 명이 국내외 난민이 되었다. 타지키스탄의 물리적 인프라, 정부 서비스, 경제는 혼란에 빠졌고 인구의 상당수가 국제 원조 기구의 생계 지원에 의존하고 있었다. 국제 연합은 1994년 12월에 감시단을 설립하여 전쟁 당사자들이 1997년에 포괄적인 평화 협정에 서명할 때까지 평화 협상을 유지했다.[29]
7. 언론 탄압과 언론인 희생
언론인들은 특히 암살의 표적이 되었으며, 최소 40명의 타지키스탄 언론인이 사망했다.[30] 이로 인해 수많은 언론인들이 타지키스탄을 떠나 두뇌 유출 현상이 발생했다. 주요 희생자로는 언론인이자 정치인인 오타혼 라티피(Otakhon Latifi), 언론인이자 유대인 지도자인 메이르하임 가브리엘로프(Meirkhaim Gavrielov), 정치인 사파랄리 켄자예프(Safarali Kenjayev)가 있다. 타지키스탄 유엔 감시단(United Nations Mission of Observers in Tajikistan)의 네 명의 구성원과 벨라루스 출신 다큐멘터리 제작자 아르카디 루더만(Arcady Ruderman)도 희생되었다.[31]
7. 1. 언론인 암살 사건
내전 기간 동안 언론인들은 암살의 주요 표적이 되었으며, 최소 40명의 타지키스탄 언론인이 사망했다.[30] 이로 인해 수많은 언론인들이 타지키스탄을 떠나면서 두뇌 유출 현상이 발생했다. 주요 희생자로는 언론인이자 정치인인 오타혼 라티피(Otakhon Latifi), 언론인이자 유대인 지도자인 메이르하임 가브리엘로프(Meirkhaim Gavrielov), 정치인 사파랄리 켄자예프(Safarali Kenjayev)가 있다. 타지키스탄 유엔 감시단의 구성원 4명도 희생되었는데, 이들은 중앙아시아 역사 연구로 유명한 일본 학자 아키노 유타카(Yutaka Akino), 폴란드 출신 리샤르트 셰프치크(Ryszard Szewczyk), 우루과이 출신 아돌포 샤르페게(Adolfo Scharpegge), 타지키스탄 출신 주라존 마흐라모프(Jourajon Mahramov)이다.[31] 벨라루스 출신 다큐멘터리 제작자 아르카디 루더만(Arcady Ruderman)도 희생자 중 한 명이다.7. 2. 아키노 유타카 피살 사건과 한-타지키스탄 관계
아키노 유타카(Yutaka Akino)는 중앙아시아 역사 연구로 유명한 일본 학자로, 타지키스탄 유엔 감시단(United Nations Mission of Observers in Tajikistan)의 일원이었다. 그는 타지키스탄 내전 중 피살된 감시단원 4명 중 한 명이다.[31] 함께 피살된 감시단원은 폴란드 출신 리샤르트 셰프치크(Ryszard Szewczyk), 우루과이 출신 아돌포 샤르페게(Adolfo Scharpegge), 타지키스탄 출신 주라존 마흐라모프(Jourajon Mahramov)이다.[31]8. 역사적 평가와 교훈
타지키스탄 내전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아직 진행 중이며,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이 내전은 타지키스탄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으며, 그 영향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주요 평가:
- 복잡한 분쟁: 타지키스탄 내전은 단순한 이념 대립이 아닌, 지역, 종교, 민족, 정치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분쟁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 외부 세력의 개입: 러시아를 비롯한 주변 국가들의 개입이 내전을 장기화시키고, 타지키스탄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 화해와 통합의 어려움: 내전 이후 타지키스탄 정부는 국민 통합을 위해 노력했지만, 여전히 사회 곳곳에 갈등의 잔재가 남아있다는 평가가 있다.
교훈:
- 평화적 분쟁 해결의 중요성: 타지키스탄 내전은 무력 충돌이 가져오는 비극적인 결과를 보여주며, 평화적인 방법으로 분쟁을 해결해야 한다는 교훈을 남겼다.
- 국민 통합의 필요성: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된 사회에서 갈등을 예방하고, 국민 통합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외부 개입의 위험성: 외부 세력의 개입은 분쟁을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다.
타지키스탄 내전은 20세기 말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그 역사적 교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참조
[1]
웹사이트
Tajikistan: President Meets With Popular Front Commanders
https://www.rferl.or[...]
Radio Liberty Archives
1997-07-09
[2]
웹사이트
Американцы боятся белорусских танков. Белоруссия американских санкций не боится
https://m.lenta.ru/a[...]
2002-03-01
[3]
서적
Tajikistan in the New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6-08-25
[4]
서적
Inside Al Qaeda: global network of terror
[5]
뉴스
Iran dismisses Tajik civil war claims as attempt to damage ties
https://www.reuters.[...]
[6]
웹사이트
A Thaw Between Tajikistan and Iran, But Challenges Remain
https://jamestown.or[...]
Jamestown
[7]
간행물
Iran and Tajikistan: A Story of Love and Hate
https://centralasiap[...]
2016-02
[8]
웹사이트
Tajikistan Accuses Iran of Sponsoring Terrorism, Restricts Iranian Organizations' Activities
https://www.mei.edu/[...]
Middle East Institute
[9]
웹사이트
Боевые действия на таджикско-афганской границе (начало 1990–х гг.)
http://otvaga2004.ru[...]
[10]
웹사이트
Features of the ethnic and confessional situation in the Republic of Tajikistan
http://www.analitika[...]
2003-02
[11]
뉴스
Tajikistan's Civil War: A Nightmare The Government Won't Let Its People Forget
https://www.rferl.or[...]
2017-06-23
[12]
웹사이트
The Tajik civil war: Causes and dynamics
https://www.c-r.org/[...]
2011-12-30
[13]
웹사이트
TAJIKISTAN CIVIL WAR – Facts and Details
http://factsanddetai[...]
[14]
뉴스
Tajikistan's Unconquerable Gorno-Badakhshan Region
https://www.rferl.or[...]
2018-10-09
[15]
웹사이트
The Many Agents Of Tajikistan's Path To Peace
https://www.rferl.or[...]
Radio Liberty
2017-06-26
[16]
뉴스
The Peace Deal That Ended Tajikistan's Bloody Civil War
https://www.rferl.or[...]
2021-06-27
[17]
웹사이트
Tajikistan Civil War
http://www.globalsec[...]
Global Security
[18]
웹사이트
Department Sozialwissenschaften : Institut für Politische Wissenschaft : Arbeits- und Forschungsstellen : Arbeitsgemeinschaft Kriegsursachenforschung : Kriege-Archiv : ... VMO: 208 Tadschikistan (BK) – Bewaffneter Konflikt in Tadschikistan 1992–1998 und 1998–2001 (Universität Hamburg)
http://www.sozialwis[...]
[19]
서적
Political Construction Sites: Nation-building in Russia and the Post-Soviet States
[20]
웹사이트
Tajikistan – Government
http://countrystudie[...]
[21]
웹사이트
Human Rights Watch Press Backgrounder on Tajikista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2]
서적
Between Marx and Muhammad
[23]
서적
The Resurgence of Central Asia
[24]
웹사이트
Tajikistan: Refugee reintegration and conflict prevention
http://www.osi.hu/fm[...]
Open Society Institute
[25]
웹사이트
Human Rights Watch World Report: Tajikista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6]
서적
Jihad: The Rise of Militant Islam in Central Asia
Longman|Orient Longman
2002
[27]
웹사이트
Tajikistan: Opposition warns it may not sign peace accord
http://www.rferl.org[...]
RadioFreeEurope/RadioLiberty
[28]
웹사이트
Tajikistan: Opposition may not sign peace accord tomorrow
http://www.rferl.org[...]
RadioFreeEurope/RadioLiberty
[29]
웹사이트
Tajikistan: rising from the ashes of civil war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30]
웹사이트
Tajikistan's Civil War: A Nightmare The Government Won't Let Its People Forget
https://www.rferl.or[...]
Radio Liberty
2017-06-23
[31]
웹사이트
eurasianet.org
http://www.eurasiane[...]
[32]
웹인용
Tajikistan: President Meets With Popular Front Commanders
https://www.rferl.or[...]
Radio Liberty Archives
2017-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