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열린 양궁 종목의 남자 단체전 경기이다. 뉴올림픽라운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랭킹 라운드를 통해 상위 16개 팀을 선발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본선 경기를 치렀다. 대한민국은 랭킹 라운드에서 1위를 차지하고, 본선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를 차례로 꺾고 결승에서 중국을 248대 239로 이겨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1992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1992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는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어 여러 국가 선수들이 참가하여 경쟁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5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 올림픽 양궁 메달리스트 - 김우진 (양궁 선수)
김우진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2관왕을 시작으로 세계 선수권, 올림픽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양궁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양궁 선수이다. - 올림픽 양궁 메달리스트 - 최미선 (양궁 선수)
최미선은 2013년 국가대표 발탁 후 2015년 월드컵 우승, 2016년 리우 올림픽 단체전 금메달, 2017년 세계 선수권 금메달 등 국제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이다.
1992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1992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 |
종류 | 하계 |
종목 | 양궁 남자 단체 |
개최국 | 스페인 |
개최지 | 바르셀로나 |
경기장 | 바르셀로나 올림픽 양궁장 |
기간 | 1992년 7월 31일 - 8월 4일 |
참가 선수 | 60 |
참가국 | 20 |
금메달 | 후안 홀가도 알폰소 메넨 데스 안토니오 바스케스 |
금메달 국가 | ESP |
은메달 | 이스모 팔크 이아리 리포넨 토미 포이콜라이넨 |
은메달 국가 | FIN |
동메달 | 스티븐 할라드 리처드 프리스트만 사이먼 테리 |
동메달 국가 | GBR |
이전 대회 | 1988 |
다음 대회 | 1996 |
2. 경기 방식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경기 방식이 그랜드 FITA 방식에서 뉴올림픽라운드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모든 참가 선수는 오픈 라운드에서 30m, 50m, 70m, 90m 거리에서 각각 36발씩 쏘았다. 오픈 라운드 종료 후 각 선수 점수를 합산하여 상위 16개 팀이 단체전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 진출 16개 팀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팀 선수 3명이 9발씩 번갈아 총 27발을 쏘아 더 높은 점수를 얻은 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2]
모든 시간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UTC+02:00) 기준이다.[3][4][5]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은 랭킹 라운드에서 1위를 기록했지만, 본선에서 스페인과 영국에 패하며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3. 일정
날짜 시간 진행 순서 1992년 7월 31일 금요일 13:00 랭킹 라운드 (60m, 70m) 1992년 8월 1일 토요일 13:00 랭킹 라운드 (30m, 50m) 1992년 8월 4일 토요일 13:00 본선
4. 결과
;본선
대한민국은 16강과 8강에서 각각 폴란드와 이탈리아를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스페인에, 동메달 결정전에서 영국에 패했다.
최종 순위는 스페인이 금메달, 핀란드가 은메달, 영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4. 1. 랭킹 라운드
랭킹 라운드 순위 | 국가 | 선수 | 랭킹 라운드 점수 |
---|---|---|---|
1 | 정재헌, 한승훈, 임희식 | 3938 | |
2 | 바딤 시카레프, 스타니슬라프 자브로츠키, 블라이미르 이예시에이예브 | 3924 | |
3 | 그랜트 그린햄, 사이먼 페어웨더, 스콧 헌터-러셀 | 3865 | |
4 | 제이 바스, 리차드 존슨, 리차드 매키니 | 3840 | |
5 | 이스모 팔크, 이아리 리포넨, 토미 포이콜라이넨 | 3833 | |
6 | 스티븐 할라드, 리처드 프리스트만, 사이먼 테리 | 3833 | |
7 | 올레 감멜가드 닐슨, 헨리크 크로만 토프트, 얀 리터 | 3817 | |
8 | 안드레아 파렌티, 알레산드로 리볼타, 일라리오 디 부오 | 3808 | |
9 | 세바스티앵 플뤼트, 브루노 펠리페, 마이클 토핀 | 3806 | |
10 | 후안 홀가도, 알폰소 메넨 데스, 안토니오 바스케스 | 3803 | |
11 | 프랭크 마조크, 마크 뢰식케, 안드레아스 리폴트 | 3799 | |
12 | 에르빈 베르스테겐, 헨크 보겔스, 버니 캠프 | 3787 | |
13 | 야마모토 히로시, 히사 나오토, 니시카와 키요이치 | 3786 | |
14 | 푸성준, 하오웨이, 리앙치앙 | 3764 | |
15 | 둘찬드 다모르, 림바 램, 창테 랄렘사가 | 3761 | |
16 | 야체크 길레프스키, 콘라드 크비에친, 스와보미르 나프워셰크 | 3759 | |
17 | 안드레스 안촌도, 리카르도 로하스, 오마르 부스타니 | 3755 | |
18 | 케렘 에르수, 베다트 어바이, 오즈칸 에디즈 | 3733 | |
19 | 클로드 루소, 실뱅 카디유, 제노 로베테일 | 3701 | |
20 | 숩장 숩장, 카르마 텐진, 페마 체링 | 3452 |
4. 2. 본선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240 | rowspan="2" | | 241 | rowspan="4" | | 230 | rowspan="8" | | 236 | |
230 | |||||||
235 | rowspan="2" | | 239 | |||||
229 | |||||||
237 | rowspan="2" | | 237 | rowspan="4" | | 236 | |||
236 | |||||||
243 | rowspan="2" | | 242 | |||||
225 | |||||||
238 | rowspan="2" | | 234 | rowspan="8" | | 238 | |||
230 | |||||||
233 | rowspan="2" | | 238 | |||||
231 | |||||||
233 | rowspan="2" | | 229 | |||||
230 | |||||||
241 | |||||||
220 | |||||||
동메달 결정전 | |||||||
colspan=4 | | 233 | ||||||
colspan=4 | | 231 |
5. 메달리스트
알폰소 메넨 데스
안토니오 바스케스
이아리 리포넨
토미 포이콜라이넨
리처드 프리스트만
사이먼 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