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는 1992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남자 8체급, 여자 8체급으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5개, 동메달 2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스페인, 중화 타이베이, 미국 등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92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태권도 |
대회 | 1992년 하계 올림픽 시범 종목 |
![]() | |
개최지 | 바르셀로나 |
기간 | 1992년 |
참가 선수 | 103명 (영문 문서 기준 128명) |
이전 대회 | 1988년 (시범 종목) |
다음 대회 | 시드니 2000 |
2. 참가국 및 메달 집계
2. 1. 참가국
2. 2.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대한민국 | 5 | 0 | 2 | 7 |
2 | 스페인 | 4 | 1 | 1 | 6 |
3 | 중화 타이베이 | 3 | 0 | 2 | 5 |
4 | 미국 | 1 | 2 | 3 | 6 |
5 | 멕시코 | 1 | 0 | 2 | 3 |
6 | 덴마크 | 1 | 0 | 0 | 1 |
6 | 베네수엘라 | 1 | 0 | 1 | 1 |
8 | 캐나다 | 0 | 3 | 2 | 5 |
8 | 인도네시아 | 0 | 3 | 1 | 4 |
10 | 튀르키예 | 0 | 2 | 1 | 3 |
11 | 프랑스 | 0 | 1 | 2 | 3 |
11 | 이탈리아 | 0 | 1 | 2 | 3 |
13 | 이란 | 0 | 1 | 1 | 2 |
14 | 뉴질랜드 | 0 | 1 | 0 | 1 |
14 | 나이지리아 | 0 | 1 | 0 | 1 |
16 | 오스트레일리아 | 0 | 0 | 2 | 2 |
16 | 이집트 | 0 | 0 | 2 | 2 |
16 | 필리핀 | 0 | 0 | 2 | 2 |
19 | 영국 | 0 | 0 | 1 | 1 |
19 | 그리스 | 0 | 0 | 1 | 1 |
19 | 요르단 | 0 | 0 | 1 | 1 |
19 | 쿠웨이트 | 0 | 0 | 1 | 1 |
19 | 말레이시아 | 0 | 0 | 1 | 1 |
19 | 모로코 | 0 | 0 | 1 | 1 |
3. 경기 결과
3. 1. 남자
3. 1. 1. 핀급 (-50kg)
게르겔리 살림 (덴마크)이 1회전에서 5-4로 창정산 (중화 타이베이)를 이겼다. 하비에르 아르구도 (스페인)는 1회전에서 3-0으로 폴 라이언스 (오스트레일리아)를 이겼다. 후안 모레노 (미국)는 1회전에서 5-3으로 나라얀 구룽 (네팔)을 이겼다. 예피 트리아지 (인도네시아)는 1회전에서 4-2로 엑토르 라우레아노 (푸에르토리코)를 이겼다.
게르겔리 살림 (덴마크)은 2회전에서 5-1로 하비에르 아르구도 (스페인)를 이겼다. 후안 모레노 (미국)는 2회전에서 3- (-1)로 예피 트리아지 (인도네시아)를 이겼다.
게르겔리 살림 (덴마크)은 결승전에서 3-1로 후안 모레노 (미국)를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3. 1. 2. 플라이급 (50-54kg)
'''서성교한국어'''(대한민국) 2-1 루이스 주니가es(멕시코)
'''아를린도 고베이아es'''(베네수엘라) 4-2 티에리 데데그베프랑스어(프랑스)
'''디르크 탈루메워id'''(인도네시아) 6-4 피라스 알 자이우시ar(요르단)
월터 바르가스tl(필리핀) 3-4 '''왕밍성중국어'''(중화 타이베이)
서성교한국어(대한민국) 3-4 '''아를린도 고베이아es'''(베네수엘라)
'''디르크 탈루메워id'''(인도네시아) WD 왕밍성중국어(중화 타이베이)
'''아를린도 고베이아es'''(베네수엘라) 2-1 디르크 탈루메워id(인도네시아)
3. 1. 3. 밴텀급 (54-58kg)
'''밴텀급한국어 (54-58kg)'''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회전 | 2회전 | 준결승 |
---|---|---|
윌리엄 데 헤수스 코르도바 (멕시코) 2 요세프 살림 (덴마크) -1 | 윌리엄 데 헤수스 코르도바 (멕시코) 2 도메니코 달리세 (이탈리아) 1 | 윌리엄 데 헤수스 코르도바 (멕시코) 0 사예드 유세프 나젬 (캐나다) 0 |
도메니코 달리세 (이탈리아) 4 앙헬 알론소 (에스파냐) 3 | ||
디에고 야네스 (칠레) 2 스티븐 페르난데스 (필리핀) 2 | 스티븐 페르난데스 (필리핀) -1 사예드 유세프 나젬 (캐나다) 0 | |
이한원 (미국) 1 사예드 유세프 나젬 (캐나다) 2 |
멕시코의 윌리엄 데 헤수스 코르도바와 캐나다의 사예드 유세프 나젬의 준결승 경기는 무승부로 끝났으나, 심판 판정으로 코르도바가 패배했다.
3. 1. 4. 페더급 (58-64kg)
''''''이(가) 1회전에서 ''''''을(를) 4-0으로 이기고, 2회전에서 을(를) 2-0으로 이겼으나, 준결승에서 ''''''에게 기권했다.은(는) 1회전에서 을(를) 3-2로 이기고, 2회전에서 을(를) 2-1로 이기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은(는) 1회전에서 에게 5-1로 승리했지만, 2회전에서 패했다.
은(는) 1회전에서 을(를) 5-3으로 이겼으나, 2회전에서 패했다.
3. 1. 5. 라이트급 (64-70kg)
무사 치체크(독일)와 저우구이밍(중화 타이베이)의 1라운드 경기에서는 저우구이밍이 3-0으로 승리했다. 호세 산토라리아(스페인)는 움베르토 노라부에나(칠레)를 5-1로 이겼다. 파리보르즈 아스카리(이란)는 제임스 빌라사나(미국)와 3-3 동점을 기록했다. 자멜 칼리(프랑스)는 아델 살레 알-조반(바레인)을 4-1로 이겼다.2라운드에서 호세 산토라리아는 저우구이밍을 4-0으로 꺾었다. 파리보르즈 아스카리는 자멜 칼리를 3-2로 이겼다.
준결승에서 호세 산토라리아는 파리보르즈 아스카리를 4-1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3. 1. 6. 웰터급 (70-76kg)
모하마드 알-카이미 (쿠웨이트)가 드라간 유릴 (크로아티아)를 3-2로 이겼다. 하태경 (대한민국)은 다페지뮤 아데오그베지 (나이지리아)를 4-(-1)로 이겼다. 레자 메만두스트 (이란)는 아델 하산 알리 (바레인)를 상대로 기권승을 거두었다. 이재훈 (캐나다)은 앤서니 데카를로 (오스트레일리아)를 3-2로 이겼다. 하태경은 모하마드 알-카이미와의 경기에서 기권승을 거두었다. 이재훈은 레자 메만두스트를 상대로 기권승을 거두었다. 하태경은 이재훈과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했다.3. 1. 7. 미들급 (76-83kg)
칼레드 이브라힘 (이집트)이 마르쿠스 보즈니키 (독일)를 3-1로 이겼다. 후안 수스 고도이 (스페인)가 아나톨리 리호디예프스키 (연합)를 5-0으로 이겼다. 아마르 파헤드 스베이히 (요르단)가 만수르 바게리 (이란)을 3-2로 이겼다. 허버트 페레즈 (미국)가 메틴 사힌 (터키)를 4-3으로 이겼다.칼레드 이브라힘 (이집트)와 후안 수스 고도이 (스페인)의 경기는 4-4 동점으로 끝났다. 허버트 페레즈 (미국)가 아마르 파헤드 스베이히 (요르단)를 1-0으로 이겼다.
허버트 페레즈 (미국)가 후안 수스 고도이 (스페인)를 3-2로 이겼다.
3. 1. 8. 헤비급 (+83kg)
'''1라운드'''- 김제경 (대한민국) 6 – 1 올리버 샤베 (독일)
- 아므르 하산 (이집트) 2 – 0 타우피크 누와이세르 (요르단)
- 알리 사힌 (튀르키예) 3 – 4 에마뉘엘 오게네조보 (나이지리아)
- 사이먼 호스킹 (오스트레일리아) 0 – 0 압둘라 데일렘 파르한 (쿠웨이트)
'''2라운드'''
'''준결승전'''
3. 2. 여자
3. 2. 1. 핀급 (-43kg)
''''''는 '''기권승'''으로 부전승으로 올라갔다.는 경기를 하지 않았다.
''''''는 '''2'''점을 얻었다.
는 1점을 얻었다.
는 3점을 얻었다.
''''''는 '''3'''점을 얻었다.
는 3점을 얻었다.
''''''는 '''5'''점을 얻었다.
는 2점을 얻었다.
''''''는 '''5'''점을 얻었다.
는 점수를 얻지 못했다.
''''''는 '''기권승'''으로 부전승으로 올라갔다.
는 4점을 얻었다.
''''''는 '''4'''점을 얻었다.
3. 2. 2. 플라이급 (43-47kg)
캐시 워커 (GBR)에게 아르주 탄 (TUR)이 기권승을 거두었다. 피에라 무기리 (ITA)는 하타케야마 미나코 (JPN)를 1-1 스코어로 이겼다. 파트리샤 마리스칼 알칼라 (MEX)와 테리 포인덱스터 (USA)의 경기는 3-3 스코어로 끝났다. 엘리자베트 델가도 (ESP)는 아니타 팔리에로스 (AUS)를 4-3 스코어로 이겼다. 8강전에서 아르주 탄은 피에라 무기리와 1-1 스코어로 붙었다. 테리 포인덱스터와 엘리자베트 델가도의 경기는 0-2 스코어로 끝났다. 준결승에서 피에라 무기리는 엘리자베트 델가도에게 0-1 스코어로 졌다.3. 2. 3. 밴텀급 (47-51kg)
''''''은 1라운드에서 를 4-1로 이겼다. 은 를 3-0으로 이겼다. ''''''는 를 1-0으로 이겼다. 은 에게 기권승을 거두었다.2라운드에서 ''''''은 을 4-2로 이겼다. 와 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3라운드에서 ''''''과 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3. 2. 4. 페더급 (51-55kg)
베아트리스 루세로 (필리핀)이 마리아 지그만토비치 (EUN)에게 기권승을 거두었다.아이세굴 에르긴 (터키)이 시아우 룽 (인도네시아)에게 기권승을 거두었다.
돌로레스 놀 (멕시코)이 미에트 필리포비치 (크로아티아)에게 기권승을 거두었다.
퉁야링 (중화 타이베이)이 호세피나 로페스 (스페인)에게 기권승을 거두었다.
8강전에서 아이세굴 에르긴이 베아트리스 루세로를 2-1로 이겼다.
퉁야링이 돌로레스 놀을 2-1로 이겼다.
준결승전에서 퉁야링이 아이세굴 에르긴을 3-0으로 이겼다.
3. 2. 5. 라이트급 (55-60kg)
'''천이안한국어'''(천이안/陳怡安중국어) (중화 타이베이)이 '''1'''–1 스코어로 소니 세이델 (독일)을 상대로 승리하였다.'''정은옥한국어'''(정은옥/鄭恩玉한국어) (대한민국)이 4-1 스코어로 이네아벨 디아스 (푸에르토리코)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하피다 엘 와세프한국어'''(하피다 엘 와세프/??? ??? ?????ar) (모로코)가 4-2 스코어로 (일본)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수실라와티한국어'''(수실라와티/Susilawatiid) (인도네시아)가 3-0 스코어로 유디트 피르크모저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천이안한국어'''(천이안/陳怡安중국어) (중화 타이베이)이 3-1 스코어로 정은옥한국어 (대한민국)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수실라와티한국어'''(수실라와티/Susilawatiid) (인도네시아)가 3-0 스코어로 하피다 엘 와세프한국어 (모로코)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천이안한국어'''(천이안/陳怡安중국어) (중화 타이베이)이 수실라와티한국어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기권승을 거두었다.
참조
[1]
웹사이트
Grand Master Dong-keun Park: Pioneer of Taekwondo in Thailand
http://www.lacancha.[...]
2009-04-27
[2]
웹사이트
D. K. Park Tae Kwon Do: About us – Staff
http://dkparktkd.com[...]
2009-04-27
[3]
웹사이트
The Official Taekwondo Hall Of Fame
http://www.taekwondo[...]
2009-04-27
[4]
웹사이트
Olympic and World Taekwondo Champions to be honored at 1st annual Taekwondo Hall of Fame Ceremony
http://www.wtf.org/b[...]
30 January 2007
2010-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