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 코파 델 레이 결승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5 코파 델 레이 결승전은 데포르티보 라코루냐와 발렌시아 CF 간의 대회 결승전으로, 1995년 6월 24일과 27일에 마드리드의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전은 1-1로 진행되던 중 폭우로 인해 중단되었고, 2차전에서 데포르티보가 알프레도의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하며 구단 역사상 첫 코파 델 레이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경기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1995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1995는 레알 마드리드와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가 참가하여 1995년 8월에 치러진 대회로,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가 합계 스코어 5-1로 레알 마드리드를 꺾고 우승했다. -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경기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02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02는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와 발렌시아 CF가 맞붙어 데포르티보가 합계 4-0으로 우승한 축구 경기로, 데포르티보는 코파 델 레이 우승팀, 발렌시아는 라리가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했다. - 발렌시아 CF 경기 - 2000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2000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2000년 5월 24일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려 레알 마드리드가 발렌시아를 3-0으로 꺾고 통산 8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스티브 맥마나만, 라울 곤살레스가 득점하고 스티브 맥마나만이 경기 최우수 선수로 선정된 같은 국적 팀 간의 첫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이었다. - 발렌시아 CF 경기 - 2008 코파 델 레이 결승전
2008 코파 델 레이 결승전은 2008년 4월 16일 비센테 칼데론에서 헤타페 CF와 발렌시아 CF가 맞붙어 발렌시아 CF가 3-1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한 경기였다. - 1995년 축구 - 1995년 코파 아메리카
1995년 코파 아메리카는 우루과이에서 개최되어 12개국이 참가,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우루과이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한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 1995년 축구 - 1994-95년 UEFA 컵위너스컵
1994-95년 UEFA 컵위너스컵은 1994년 8월부터 1995년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에서 레알 사라고사가 아스널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이안 라이트가 9골로 최고 득점자가 되었다.
1995 코파 델 레이 결승전 | |
---|---|
경기 정보 | |
대회 | 코파 델 레이 1994-95 |
날짜 | 1995년 6월 24일 (중단) 1995년 6월 27일 |
경기장 |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관중수 | 95,000명 81,000명 |
심판 | 호세 마리아 가르시아-아란다 |
경기 결과 | |
팀 1 | 데포르티보 |
팀 1 득점 | 2 |
팀 2 | 발렌시아 |
팀 2 득점 | 1 |
대회 기록 | |
이전 대회 | 1994 |
다음 대회 | 1996 |
2. 결승전까지의 경기
데포르티보 라코루냐와 발렌시아 CF는 1995년 코파 델 레이 결승전까지 여러 팀들을 상대로 승리하며 진출했다.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 라운드 | 발렌시아 | ||||
---|---|---|---|---|---|---|
상대 | 결과 | 합계 | ||||
례이다 | 7–1 | 원정 0–3; 홈 4–1 | 16강전 | 레알 마드리드 | 4–2 | 원정 1–2; 홈 2–1 |
아틀레틱 빌바오 | 3–0 | 홈 3–0; 원정 0–0 | 8강전 | 마요르카 | 4–1 | 원정 1–0; 홈 4–0 |
스포르팅 히혼 | 2–1 | 원정 0–2; 홈 0–1 | 준결승전 | 알바세테 | 3–2 | 홈 1–1; 원정 2–1 |
2. 1. 16강전
2. 2. 8강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 라운드 | 발렌시아 | ||||
---|---|---|---|---|---|---|
상대 | 결과 | 합계 | 상대 | 결과 | 합계 | |
아틀레틱 빌바오 | 3–0 | 홈 3–0; 원정 0–0 | 8강전 | 마요르카 | 4–1 | 원정 1–0; 홈 4–0 |
2. 3. 준결승전
1995년 코파 델 레이 결승전은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데포르티보와 발렌시아의 경기로, 특이하게도 두 번에 걸쳐 진행되었다.
3. 결승전
1995년 6월 24일에 열린 첫 경기는 데포르티보의 망하린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발렌시아의 미야토비치가 동점골을 넣어 1-1 상황에서 폭우로 인해 중단되었다.[1]
6월 27일에 재개된 경기에서는 데포르티보의 알프레도가 결승골을 넣어 최종 스코어 2-1로 데포르티보가 우승을 차지했다.
3. 1. 경기 정보 (1차전 - 중단)
1995년 6월 24일es,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데포르티보와 발렌시아 간의 경기는 21시(CEST)에 시작되어 95,000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진행되었다.[1]
경기 결과 | |
---|---|
데포르티보 | 1 - 1 (미야토비치의 동점골 이후 폭우로 중단)[1] |
득점 선수 | |
데포르티보 | 망하린 (전반 35분)[1] |
발렌시아 | 미야토비치 (후반 25분)[1] |
경기장 및 심판 | |
경기장 |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마드리드) |
주심 | 호세 마리아 가르시아-아란다 |
데포르티보 | 발렌시아 | ||||||
---|---|---|---|---|---|---|---|
포지션 | 번호 | 선수 | 비고 | 포지션 | 번호 | 선수 | 비고 |
GK | 1 | 프란시스코 리아뇨 | GK | 1 | 안도니 수비사레타 | ||
DF | 7 | 루이스 로페스 레카르테 | DF | 2 | 가이스카 멘디에타 | ||
DF | 2 | 보로 | DF | 5 | 페르난도 히네르 | ||
DF | 5 | 미로슬라브 주키치 | DF | 4 | 프란시스코 호세 카마라사 | ||
DF | 4 | 호세 루이스 리베라 | DF | 3 | 후안 카를로스 로드리게스 | ||
MF | 8 | 아돌포 알다나 | MF | 11 | 안토니오 포야토스 | ||
MF | 6 | 도나토 | MF | 6 | 마지뉴 | ||
MF | 10 | 프란 (주장) | MF | 10 | 페르난도 고메스 | ||
FW | 9 | 망하린 | FW | 8 |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 ||
FW | 11 | 베베투 | FW | 9 | 류보슬라프 페네프 (주장) |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MF | 12 | 프란시스코 비야로야 | DF | 12 | 호세 세레르 | ||
GK | 13 | 후안 카날레스 | GK | 13 | 호세 마누엘 셈페레 | ||
MF | 14 | 알프레도 | MF | 14 | 비센테 엥공가 | ||
FW | 15 | 클라우디오 바라간 | MF | 15 | 카를로스 아로뇨 | ||
FW | 16 | 훌리오 살리나스 | FW | 16 | 호세 갈베스 | ||
감독 | 감독 | ||||||
아르세니오 이글레시아스 | 호세 마누엘 리엘로 |
경기 중 폭우로 인해 경기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후반 25분, 발렌시아의 미야토비치가 동점골을 넣은 직후였다.
경기 규정은 다음과 같았다.[1]
- 90분 경기
- 필요시 연장전 30분
- 연장전 이후 동점시 승부차기
- 교체 선수 5명 등재
- 최대 선수 2명 교체 가능
3. 2. 경기 정보 (2차전 - 재개)
1995년 6월 27일 CEST 20시 30분에 경기가 재개되었다. 데포르티보는 알프레도의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했다.'''경기 정보'''
- 경기장: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관중: 81,000명
- 주심: 호세 마리아 가르시아-아란다
'''선수 명단'''
데포르티보 | ||||
---|---|---|---|---|
포지션 | 번호 | 선수 | 비고 | |
GK | 1 | 프란시스코 리아뇨 | ||
DF | 7 | 루이스 로페스 레카르테 | ||
DF | 2 | 보로 | ||
DF | 5 | 미로슬라브 주키치 | ||
DF | 4 | 호세 루이스 리베라 | ||
DF | 3 | 난도 | ||
MF | 8 | 아돌포 알다나 | ||
MF | 6 | 도나토 | ||
MF | 10 | 프란 (주장) | ||
FW | 9 | 하비에르 망하린 | ||
FW | 11 | 베베투 | ||
교체 선수 | ||||
MF | 12 | 프란시스코 비야로야 | ||
GK | 13 | 후안 카날레스 | ||
MF | 14 | 알프레도 | ||
FW | 15 | 클라우디오 바라간 | ||
FW | 16 | 훌리오 살리나스 | ||
감독 | ||||
아르세니오 이글레시아스 |
발렌시아 | ||||
---|---|---|---|---|
포지션 | 번호 | 선수 | 비고 | |
GK | 1 | 안도니 수비사레타 | ||
DF | 2 | 가이스카 멘디에타 | ||
DF | 5 | 페르난도 히네르 | ||
DF | 4 | 프란시스코 호세 카마라사 | ||
DF | 3 | 후안 카를로스 로드리게스 | ||
MF | 11 | 안토니오 포야토스 | ||
MF | 6 | 마지뉴 | ||
MF | 10 | 페르난도 고메스 | ||
MF | 7 | 로베르토 | ||
FW | 8 |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 ||
FW | 9 | 류보슬라프 페네프 (주장) | ||
교체 선수 | ||||
DF | 12 | 호세 세레르 | ||
GK | 13 | 호세 마누엘 셈페레 | ||
MF | 14 | 비센테 엥공가 | ||
MF | 15 | 카를로스 아로뇨 | ||
FW | 16 | 호세 갈베스 | ||
감독 | ||||
호세 마누엘 리엘로 |
'''경기 규정'''
- 90분 경기
- 필요시 연장전 30분
- 연장전 이후 동점시 승부차기
- 교체 선수 5명 등재
- 최대 선수 2명 교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