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평균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 평균율은 12 평균율과 같이 증1도와 단2도 간격을 별개의 음정으로 취급하여 표기한다. 19 평균율에서는 B#과 C♭, E#과 F♭이 서로 이명동음 관계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균율 - 12 평균율
12 평균율은 1 옥타브를 12개의 동일한 간격으로 나누어 인접한 두 음표 사이의 주파수 비율이 2의 12제곱근인 음률 시스템으로, 특정 공식을 통해 음의 주파수를 계산하고 순정률의 일부 음정과 유사한 음정을 갖는다.
19 평균율 | |
---|---|
19 평균율 | |
![]() | |
설명 | 19 평균율은 옥타브를 19개의 동일한 간격으로 나눈 음률 체계이다. 각 간격은 √[19]2 또는 63.15789 센트이다. |
파생 | 19 평균율은 3도 화음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1/4쉼표 평균율에서 파생되었다. |
표기 | 19-et 또는 19-edo |
간격 | 1 단계 |
특징 | |
유사성 | 19 평균율은 장3도 (5/19 옥타브) 및 단3도 (3/19 옥타브)를 각각 386.842 센트 및 315.789 센트로 만든다. 이는 순정률 3도 (각각 386.314 센트 및 317.609 센트)와 아주 가깝다. |
5도 | 19 평균율은 5도 (11/19 옥타브)를 702 센트로 생성하며, 이는 순정률 5도 (701.955 센트)에 가깝다. |
키 | 19 평균율은 5도와 3도 모두 정확하게 맞추기 때문에, 다섯도권에 나타나는 5도와 장3도 키를 낼 수 있다. |
조성 | 하지만 19 평균율은 5도와 3도 모두 순정률로 맞추기 때문에, 다섯도권에 없는 다른 조성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해를 받는다. |
활용 | 19 평균율은 이조 또는 전조를 쉽게 하기 위한 평균율로 적합하지 않다. |
역사 | |
이론 | 줄리앙 조제프 수앵은 1726년에 출판된 책에서 19 평균율을 지지했다. |
지지자 | 요제프 야세르도 그의 책 "진화하는 조성 이론"에서 19 평균율을 지지했다. |
수학적 정보 | |
계산 | √[19]2 ≈ 1.0371565574363 |
2. 표기법
19 평균율은 일반적인 음악에서처럼 증1도와 단2도 (혹은 감1도와 단2도)의 간격을 별개의 음정으로 취급하여 표현할 수 있다. 가령, 19평균율에서는 B과 C이, E과 F이 서로 이명동음인 등, 증1도와 감2도가 서로 같은 간격이다.[1]
2. 1. 이명동음 표기
19 평균율은 일반적인 음악에서처럼 증1도와 단2도 (혹은 감1도와 단2도)의 간격을 별개의 음정으로 취급하여 표현할 수 있다. 가령, 19평균율에서는 B♯과 C♭이, E♯과 F♭이 서로 이명동음인 등, 증1도와 감2도가 서로 같은 간격이다.[1]3. 음계
19평균율은 옥타브를 19개의 동일한 간격으로 나누어 음계를 구성한다. 각 음계는 다장조를 기준으로 올림표(♯)나 내림표(♭)를 붙여 다양한 조성을 표현한다. music영어 기호는 해당 음이 변경되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F♯영어는 F♯(올림바)를, C♭영어는 C♭(내림다)를 의미한다.
3. 1. 조성별 음계
19 평균율에서 사용되는 조성은 올림표(♯)와 내림표(♭)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각 조성에 해당하는 음계는 다음과 같이 표로 정리할 수 있다.조성 | 음계 | 올림표/내림표 개수 | 조성 | 음계 | 올림표/내림표 개수 | ||||||||||||
---|---|---|---|---|---|---|---|---|---|---|---|---|---|---|---|---|---|
다장조 | C | D | E | F | G | A | B | 0 | rowspan="5" | | rowspan="5" colspan="7" | | |||||||
사장조 | G | A | B | C | D | E | F♯영어 | 1 | |||||||||
라장조 | D | E | F♯영어 | G | A | B | C♯영어 | 2 | |||||||||
가장조 | A | B | C♯영어 | D | E | F♯영어 | G♯영어 | 3 | |||||||||
마장조 | E | F♯영어 | G♯영어 | A | B | C♯영어 | D♯영어 | 4 | |||||||||
나장조 | B | C♯영어 | D♯영어 | E | F♯영어 | G♯영어 | A♯영어 | 5 | 겹내림다장조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영어 | 14 |
올림바장조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 | C♯영어 | D♯영어 | E♯영어 | 6 | 겹내림사장조 | G♭♭영어 | A♭♭영어 | B♭♭영어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영어 | 13 |
올림다장조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영어 | 7 | 겹내림라장조 | D♭♭영어 | E♭♭영어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영어 | C♭영어 | 12 |
올림사장조 | G♯영어 | A♯영어 | B♯영어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영어 | 8 | 겹내림가장조 | A♭♭영어 | B♭♭영어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영어 | G♭영어 | 11 |
올림라장조 | D♯영어 | E♯영어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영어 | C×영어 | 9 | 겹내림마장조 | E♭♭영어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영어 | C♭영어 | D♭영어 | 10 |
올림가장조 | A♯영어 | B♯영어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영어 | G×영어 | 10 | 겹내림나장조 | B♭♭영어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영어 | G♭영어 | A♭영어 | 9 |
올림마장조 | E♯영어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영어 | C×영어 | D×영어 | 11 | 내림바장조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영어 | C♭영어 | D♭영어 | E♭영어 | 8 |
올림나장조 | B♯영어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영어 | G×영어 | A×영어 | 12 | 내림다장조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영어 | 7 |
겹올림바장조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영어 | C×영어 | D×영어 | E×영어 | 13 | 내림사장조 | G♭영어 | A♭영어 | B♭영어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 | 6 |
겹올림다장조 | C×영어 | D×영어 | E×영어 | F×영어 | G×영어 | A×영어 | B×영어 | 14 | 내림라장조 | D♭영어 | E♭영어 | F | G♭영어 | A♭영어 | B♭영어 | C | 5 |
colspan="9" rowspan="5" | | rowspan="5" | | 내림가장조 | A♭영어 | B♭영어 | C | D♭영어 | E♭영어 | F | G | 4 | |||||||
내림마장조 | E♭영어 | F | G | A♭영어 | B♭영어 | C | D | 3 | |||||||||
내림나장조 | B♭영어 | C | D | E♭영어 | F | G | A | 2 | |||||||||
바장조 | F | G | A | B♭영어 | C | D | E | 1 | |||||||||
다장조 | C | D | E | F | G | A | B | 0 |
3. 1. 1. 올림표 조성
조성 | 음계 | 올림표의 개수 | ||||||
---|---|---|---|---|---|---|---|---|
다장조 | C | D | E | F | G | A | B | 0 |
사장조 | G | A | B | C | D | E | F | 1 |
라장조 | D | E | F | G | A | B | C | 2 |
가장조 | A | B | C | D | E | F | G | 3 |
마장조 | E | F | G | A | B | C | D | 4 |
나장조 | B | C | D | E | F | G | A | 5 |
올림바장조 | F | G | A | B | C | D | E | 6 |
올림다장조 | C | D | E | F | G | A | B | 7 |
올림사장조 | G | A | B | C | D | E | F | 8 |
올림라장조 | D | E | F | G | A | B | C | 9 |
올림가장조 | A | B | C | D | E | F | G | 10 |
올림마장조 | E | F | G | A | B | C | D | 11 |
올림나장조 | B | C | D | E | F | G | A | 12 |
겹올림바장조 | F | G | A | B | C | D | E | 13 |
겹올림다장조 | C | D | E | F | G | A | B | 14 |
3. 1. 2. 내림표 조성
조성 | 음계 | 내림표의 개수 | ||||||
---|---|---|---|---|---|---|---|---|
다장조 | C | D | E | F | G | A | B | 0 |
바장조 | F | G | A | B | C | D | E | 1 |
내림나장조 | B | C | D | E | F | G | A | 2 |
내림마장조 | E | F | G | A | B | C | D | 3 |
내림가장조 | A | B | C | D | E | F | G | 4 |
내림라장조 | D | E | F | G | A | B | C | 5 |
내림사장조 | G | A | B | C | D | E | F | 6 |
내림다장조 | C | D | E | F | G | A | B | 7 |
내림바장조 | F | G | A | B | C | D | E | 8 |
겹내림나장조 | B | C | D | E | F | G | A | 9 |
겹내림마장조 | E | F | G | A | B | C | D | 10 |
겹내림가장조 | A | B | C | D | E | F | G | 11 |
겹내림라장조 | D | E | F | G | A | B | C | 12 |
겹내림사장조 | G | A | B | C | D | E | F | 13 |
겹내림다장조 | C | D | E | F | G | A | B | 14 |
참조
[1]
저널
Isomorphic controllers and dynamic tuning: Invariant fingerings across a tuning continuum
http://www.mitpressj[...]
2007-Winter
[2]
서적
Essay on Musical Intervals, Harmonics, and the Temperament of the Musical Scale, &c.
https://archive.org/[...]
J. Souter
1835
[3]
웹인용
A Theory of Evolving Tonality
http://www.musanim.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