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 QW32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1 QW322는 지름 약 128km의 어두운 천체로, 큐비와노족에 속한다. 궤도 긴반지름은 약 65억 7000만 km이며, 약 291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한다. 2001 QW322는 S/2001 (2001 QW322) 1이라는 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위성은 10만 1500km 거리에서 약 17년 주기로 공전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 이중 소행성계의 특성은 태양계 형성 초기 과정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발견한 천체 - 리누스 (위성)
리누스는 2001년 장 뤽 마고와 마이클 브라운에 의해 발견된 칼리오페의 위성이며, 2006년 항성 엄폐 현상 관측을 통해 정확한 크기와 위치가 밝혀진 최초의 사례이다. - 2001년 발견한 천체 - 로물루스 (위성)
소행성 87 실비아의 위성인 로물루스는 낮은 밀도를 가지며, 이는 실비아와 로물루스가 소행성 충돌로 인해 생긴 파편들이 재결합하여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 - 15760 알비온
15760 알비온은 1992년에 발견되어 윌리엄 블레이크의 신화 속 인물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카이퍼 벨트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 카이퍼 벨트 소행성이다. -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 - 58534 로고스
1997년 발견된 58534 로고스는 위성 조이와 쌍성계를 이루는 소행성으로, 각각 영지주의의 로고스(말, 논리)와 조에(영혼)에서 유래되었으며 고전적 카이퍼 벨트 천체로 분류된다.
2001 QW322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2001 QW322 |
소행성체 분류 | TNO 큐비원족 |
발견 | |
발견자 | 존 J. 카벨라르스 장-마르크 프티 브렛 J. 글래드먼 매튜 J. 홀먼 |
발견 장소 | 마우나케아 천문대 |
발견일 | 2001년 7월 27일 |
임시 명칭 | 2001 QW322 |
궤도 특성 | |
궤도 기준 시점 | 2020년 5월 31일 (JD 2459000.5) |
관측 호 | 18.11년 (6,613일) |
불확실성 | 4 |
궤도 이심률 | 0.02229 |
공전 주기 | 294.92년 (107,720일) |
궤도 경사 | 4.7995° |
승교점 경도 | 124.635° |
근일점 인수 | 92.373° |
평균 운동 | / 일 |
평균 근점 이각 | 109.608° |
물리적 특성 | |
위성 수 | 1 (D: 126 km; P: 6280일) |
자전 주기 | 알 수 없음 |
분광형 | 알 수 없음 |
절대 등급 | 7.8 |
2. 발견 및 궤도
는 2001년에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겉보기 등급은 24.1등급이었다.[2]
2. 1. 궤도 특징
2001 QW322영어는 궤도 긴반지름이 약 65.7억km (43.92 AU)이며, 해왕성과 궤도 공명을 하지 않는 큐비와노족이다. 이심률은 약 0.024로 거의 원에 가까운 궤도이며, 궤도 경사각도 약 4.82도로 거의 기울어져 있지 않다. 공전 주기는 약 291년이다. 근일점은 1913년 7월 14일에 통과하였고[1], 다음 근일점은 2204년 7월 31일에 통과할 예정이다.3. 물리적 특성
2001 QW322영어는 지름이 약 128km인 천체이다.[3] 알베도는 0.093으로 매우 어둡다.[1] 발견 당시 겉보기 등급은 24.1등급이었다.[2]
4. 위성
2001 QW322는 위성 S/2001 (2001 QW322) 1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크기가 거의 같아 주성과 반성의 관계보다는 이중 소행성으로 간주된다.[3][4]
4. 1. 위성의 궤도
S/2001 (2001 QW322) 1은 주성으로부터 10만 1500km 떨어져 있으며, 이는 주성 반지름의 약 1600배나 되는 매우 큰 값이다.[3][4] 소행성의 위성으로서는 최대 크기이며, 공전 주기는 약 17년이다. 궤도 이심률은 0.46으로 상당히 찌그러져 있다. 이러한 극단적인 궤도는 2001 QW322의 궤도가 원에 가깝고 주변에 궤도를 교란할 만한 큰 천체가 없기 때문에 2억 년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 2. 위성 연구의 의의
S/2001 (2001 QW322) 1은 2001 QW322의 위성이다. 2001 QW322와 S/2001 (2001 QW322) 1은 크기가 거의 같기 때문에 주성과 반성의 관계보다는 이중 소행성에 가깝다.[3][4]S/2001 (2001 QW322) 1은 2001 QW322로부터 10만 1500km 떨어져 있으며, 이는 2001 QW322 반지름의 약 1600배에 해당한다. S/2001 (2001 QW322) 1의 공전 주기는 약 17년으로, 소행성 위성 중에서는 가장 긴 주기를 가진다. 이심률은 0.46으로 궤도가 상당히 왜곡되어 있다. 이처럼 극단적인 궤도 요소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S/2001 (2001 QW322) 1은 2억 년 이상 안정적으로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01 QW322의 궤도가 원에 가깝고, 주변에 궤도를 교란할 만한 큰 천체가 없기 때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2001 QW322)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2]
웹사이트
M.P.E.C. 2001-V34 Minor Planet Center
https://www.minorpla[...]
[3]
웹사이트
2001 QW322 Johnston's Archive
http://www.johnstons[...]
[4]
웹사이트
The Extreme Kuiper Belt Binary 2001 QW322 science
http://www.science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