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200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종합 10위권 안에 진입했다. 특히 쇼트트랙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안현수와 진선유가 각각 3관왕을 차지했다.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는 이강석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남북 단일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아이스하키 여자 종목에서 '코리아'라는 명칭의 단일팀을 구성하여 참가하였으며, 이는 평화 올림픽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나 출전 기회 박탈 및 졸속 결정 논란도 있었다.
  •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메달 5개, 은메달 8개, 동메달 4개로 종합 7위를 기록했으며, 윤성빈은 스켈레톤에서 아시아 최초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06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06년 동계 올림픽 알바니아 선수단
    2006년 동계 올림픽 알바니아 선수단은 알바니아가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단으로, 에르욘 톨라가 알파인 스키 종목에 출전하여 남자 슈퍼 G에서 꼴찌를 기록하고 남자 대회전 35위, 남자 회전에서는 기권했으며, 알파인 스키 종목에는 에르욘 톨라와 아르만도 톨라가 출전했다.
  • 2006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06년 동계 올림픽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선수단
    2006년 동계 올림픽에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앤 아버내시 선수가 루지 종목에 출전했으나, 훈련 중 부상으로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 2006년 대한민국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 2006년 대한민국 - 새만금 방조제
    대한민국 군산시와 부안군을 연결하는 총 길이 33km의 새만금 방조제는 농경지 및 담수호 조성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환경 문제와 수질 오염 논란을 겪으며 습지 복원과 수질 개선 노력이 진행 중이다.
200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NOCKOR
NOC 명칭대한체육회
대회동계 올림픽
연도2006년
개최지토리노
참가 선수40명
참가 종목9개
기수 (개막식)이보라
기수 (폐막식)전다혜
메달 순위7위
금메달6개
은메달3개
동메달2개
공식 웹사이트www.sports.or.kr 
참가 횟수자동 계산

2. 메달리스트

대한민국은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11개의 메달로 종합 7위를 차지했으며,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10위권에 들었다. 획득한 메달 11개 중 10개는 쇼트트랙에서 나왔다. 안현수와 진선유는 각각 금메달 3개씩을 획득하여 대한민국 선수 중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안현수는 동메달 1개를 추가했다.

메달이름종목세부 종목
금메달
안현수쇼트트랙남자 1000 m, 남자 1500 m, 남자 5000m 계주
진선유쇼트트랙여자 1000 m, 여자 1500 m, 여자 3000m 계주
은메달
이호석쇼트트랙남자 1000 m, 남자 1500 m
최은경쇼트트랙여자 1500 m
동메달
안현수쇼트트랙남자 500 m
이강석스피드 스케이팅남자 500 m
이호석, 오세종, 서호진, 송석우쇼트트랙남자 5000m 계주
변천사, 최은경, 전다혜, 진선유, 강윤미쇼트트랙여자 3000m 계주


2. 1.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대한민국은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 쇼트트랙 강국의 면모를 과시했다.

안현수는 남자 1000m, 1500m, 5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3관왕에 올랐고, 500m에서는 동메달을 추가했다. 진선유는 여자 1000m, 1500m,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3관왕에 올랐다. 이호석은 남자 1000m와 1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안현수와 함께 남자 쇼트트랙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최은경은 여자 1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여자 3000m 계주에서는 최은경, 변천사, 전다혜, 진선유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 이어 4연패를 달성했다.

;남자

선수종목예선준준결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안현수500m42.9601 Q42.2131 Q41.8261 Q42.089--
1000m1:27.3721 Q1:29.6711 Q1:27.9091 Q1:26.739--
1500m2:29.8081 Q--2:17.7181 Q2:25.341--
이호석500m42.6761 Q1:22.8964진출 실패
1000m1:35.6341 Q1:27.2651 Q1:29.1501 Q1:26.764--
1500m2:31.5111--2:20.90122:25.600--
서호진500m실격
안현수
이호석
서호진
오세종
송석우
5000m 계주----7:01.78326:43.376--



;여자

선수종목예선준준결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진선유500m45.9541 Q46.4283진출 실패
1000m1:31.5041 Q1:33.3511 Q1:32.5461 Q1:32.859--
1500m2:29.7311 Q--2:31.7471 Q2:23.494--
강윤미500m45.7552 Q실격
최은경1000m1:38.4141 Q1:32.8751 Q1:32.0991 Q실격
1500m2:37.8622 Q--2:22.7761 Q2:24.069--
변천사1500m2:41.4112 Q--2:26.9151 Q실격
진선유
최은경
변천사
강윤미
전다혜
3000m 계주----4:18.85414:17.040--


2. 2. 스피드 스케이팅

이강석이 남자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스피드 스케이팅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선수종목1차 레이스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
최재봉500m35.612535.438
1000m해당 없음1:10.2317
권순천500m58.663736.1337
이진우1500m해당 없음1:49.8528
이종우1500m해당 없음1:48.1114
이강석500m35.34335.09
1000m해당 없음1:10.5222
이규혁500m35.762735.6217
1000m해당 없음1:09.374
문준1000m해당 없음1:10.6624
1500m해당 없음1:48.3816
여상엽5000m해당 없음6:58.1328



;여자

선수종목1차 레이스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
최승용500m39.651939.3718
김유림500m39.572139.6820
1000m해당 없음1:18.7728
이보라500m40.012639.7225
1000m해당 없음1:21.1934
이주연1000m해당 없음1:18.6626
1500m해당 없음2:00.8516
이상화500m38.35638.695
1000m해당 없음1:17.7819
노선영1500m해당 없음2:03.3532
3000m해당 없음4:15.6819


3. 종목별 성적

=== 바이애슬론 ===

박윤배는 남자 스프린트에서 80위, 남자 개인 종합에서 81위를 기록했다.[1]

=== 스켈레톤 ===

강광배는 남자부 경기에서 23위를 기록했다.[1]

=== 알파인 스키 ===

강민혁은 남자 대회전에서 기권, 남자 회전에서 실격되었다. 김형철은 남자 대회전에서 28위를 기록했다. 김우성은 남자 대회전에서 기권했다. 오재은은 여자 대회전에서 33위, 여자 회전에서 41위를 기록했다.

=== 크로스컨트리 스키 ===

;거리

최임헌은 남자 15km 클래식에서 78위, 남자 30km 추적에서 기권했다. 정의명은 남자 15km 클래식에서 80위, 남자 30km 추적과 50km 프리스타일에서 기권했다. 이채원은 여자 10km 클래식에서 62위, 여자 15km 추적에서 57위, 여자 30km 프리스타일에서 기권했다. 박병주는 남자 15km 클래식에서 79위, 남자 30km 추적에서 기권했다.

;스프린트

정의명은 남자 스프린트에서 76위를 기록했다. 이채원은 여자 스프린트에서 64위를 기록했다. 박병주는 남자 스프린트에서 63위를 기록했다. 최임헌과 박병주는 남자 팀 스프린트에서 19위를 기록했다.

=== 프리스타일 스키 ===

윤채린은 여자 모굴에서 30위를 기록했다.

=== 루지 ===

김민규는 남자 1인승에서 29위를 기록했다.[2]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안현수는 500m 동메달, 1000m와 1500m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호석은 1000m와 1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서호진은 500m에서 실격되었다. 안현수, 이호석, 서호진, 오세종, 송석우는 5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진선유는 1000m와 1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강윤미는 500m에서 실격되었다. 최은경은 1500m 은메달을 획득하였으나, 1000m에서는 실격되었다. 변천사는 1500m에서 실격되었다. 진선유, 최은경, 변천사, 강윤미, 전다혜는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은 이 종목에서 올림픽 4연패를 달성했다.

=== 스키 점프 ===

최흥철은 노멀힐 36위, 라지힐 47위를 기록했다. 최용직은 노멀힐 36위, 라지힐 53위를 기록했다. 강칠구는 노멀힐 44위, 라지힐 45위를 기록했다. 김현기는 노멀힐 43위, 라지힐 39위를 기록했다. 최흥철, 최용직, 강칠구, 김현기는 단체전에서 13위를 기록했다.

=== 스피드 스케이팅 ===

최재봉은 500m 8위, 1000m 17위를 기록했다. 권순천은 500m 37위를 기록했다. 이진우는 1500m 28위를 기록했다. 이종우는 1500m 14위를 기록했다. 이강석은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1000m 22위를 기록했다. 이규혁은 500m 17위, 1000m 4위를 기록했다. 문준은 1000m 24위, 1500m 16위를 기록했다. 여상엽은 5000m 28위를 기록했다.

최승용은 500m 18위를 기록했다. 김유림은 500m 20위, 1000m 28위를 기록했다. 이보라는 500m 25위, 1000m 34위를 기록했다. 이주연은 1000m 26위, 1500m 16위를 기록했다. 이상화는 500m 5위, 1000m 19위를 기록했다. 노선영은 1500m 32위, 3000m 19위를 기록했다.

3. 1. 바이애슬론

박윤배는 남자 스프린트에서 31분 29초 5의 기록과 사격 실수 3회로 80위를, 남자 개인 종합에서는 1시간 07분 03초 4의 기록과 사격 실수 6회로 81위를 기록했다.[1]

선수종목시간실패순위
박윤배남자 스프린트31:29.5380
박윤배남자 개인1:07:03.4681


3. 2. 스켈레톤

강광배는 남자부 경기에서 1차 시기 1:00.41, 2차 시기 59.88, 합계 2:00.29로 23위를 기록했다.[1]

선수종목1차 시기2차 시기합계순위
강광배남자1:00.4159.882:00.2923


3. 3. 알파인 스키

선수종목1차 시기2차 시기합계순위
강민혁남자 대회전기권
남자 회전58.53실격
김형철남자 대회전1:26.091:26.372:52.4628
김우성남자 대회전기권
오재은여자 대회전1:08.221:16.252:24.4733
여자 회전48.0753.771:41.8441


3. 4. 크로스컨트리 스키

;거리

선수종목기록순위
최임헌남자 15km 클래식46:21.778
최임헌남자 30km 추적기권
정의명남자 15km 클래식46:40.880
정의명남자 30km 추적기권
정의명남자 50km 프리스타일기권
이채원여자 10km 클래식32:57.862
이채원여자 15km 추적49:01.257
이채원여자 30km 프리스타일기권
박병주남자 15km 클래식46:38.979
박병주남자 30km 추적기권



;스프린트

선수종목예선 기록예선 순위8강4강결선
정의명남자 스프린트2:35.3976진출 실패진출 실패76
이채원여자 스프린트2:35.4764진출 실패진출 실패64
박병주남자 스프린트2:28.8563진출 실패진출 실패63
최임헌, 박병주남자 팀 스프린트해당사항 없음19:40.01019


3. 5. 프리스타일 스키

여자 모굴에 출전한 윤채린은 7.07점으로 30위를 기록하여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3. 6. 루지

김민규는 남자 1인승에서 29위를 기록했다.[2]

1차2차3차4차합계순위
53.74854.96153.52853.3443:35.58129


3. 7.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대한민국은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11개의 메달 중 10개를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획득했다. 진선유와 안현수는 각각 금메달 3개를 획득하여 대한민국 선수단 중 가장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안현수는 금메달 3개 외에 동메달 1개도 추가했다.

;남자

선수종목예선준준결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안현수500m42.9601 Q42.2131 Q41.8261 Q42.089동메달
1000m1:27.3721 Q1:29.6711 Q1:27.9091 Q1:26.739금메달
1500m2:29.8081 Q2:17.7181 Q2:25.341금메달
이호석500m42.6761 Q1:22.8964진출 실패
1000m1:35.6341 Q1:27.2651 Q1:29.1501 Q1:26.764은메달
1500m2:31.51112:20.90122:25.600은메달
서호진500m실격
안현수, 이호석, 서호진, 오세종, 송석우5000m 계주7:01.78326:43.376금메달



;여자

선수종목예선준준결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진선유500m45.9541 Q46.4283진출 실패
1000m1:31.5041 Q1:33.3511 Q1:32.5461 Q1:32.859금메달
1500m2:29.7311 Q2:31.7471 Q2:23.494금메달
강윤미500m45.7552 Q실격
최은경1000m1:38.4141 Q1:32.8751 Q1:32.0991 Q실격
1500m2:37.8622 Q2:22.7761 Q2:24.069은메달
변천사1500m2:41.4112 Q2:26.9151 Q실격
진선유, 최은경, 변천사, 강윤미, 전다혜3000m 계주4:18.85414:17.040금메달



여자 3000m 계주에서는 최은경, 변천사, 전다혜, 진선유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 이어 대한민국 선수단은 4연패를 달성했다.

3. 8. 스키 점프

최용직
강칠구
김현기단체전해당 없음321.1513진출 실패13


3. 9.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선수종목1차 레이스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
최재봉500m35.6181:11.048
1000m해당 없음1:10.2317
권순천500m58.6636.131:34.7937
이진우1500m해당 없음1:49.8528
이종우1500m해당 없음1:48.1114
이강석500m35.3435.091:10.43Image:Bronze medal icon.svg
1000m해당 없음1:10.5222
이규혁500m35.7635.621:11.3817
1000m해당 없음1:09.374
문준1000m해당 없음1:10.6624
1500m해당 없음1:48.3816
여상엽5000m해당 없음6:58.1328



;여자

선수종목1차 레이스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
최승용500m39.6539.371:19.0218
김유림500m39.5739.681:19.2520
1000m해당 없음1:18.7728
이보라500m40.0139.721:19.7325
1000m해당 없음1:21.1934
이주연1000m해당 없음1:18.6626
1500m해당 없음2:00.8516
이상화500m38.3538.691:17.045
1000m해당 없음1:17.7819
노선영1500m해당 없음2:03.3532
3000m해당 없음4:15.6819



이강석은 남자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lagbearers for the Opening Ceremony http://www.olympic.o[...] 2009-03-30
[2] 웹사이트 Flagbearers for the Closing Ceremony http://www.olympic.o[...] 2009-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