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흥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흥철은 대한민국의 스키 점프 선수로, 전라북도 무주군 출신이며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에서 생리학을 전공했다. 1996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FIS 컵, 콘티넨털컵 등 국제 대회에 출전했으며, 1997년 FIS 월드컵 데뷔 후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동계 올림픽에 스키 점프 국가대표로 출전했고, 200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동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09년 영화 《국가대표》에서 스키 점프 선수 대역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스키점프 참가 선수 - 최서우
최서우는 대한민국의 스키 점프 선수로, 네 번의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단체전에서 8위를 기록했다. - 2009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스키점프 참가 선수 - 김현기 (스키점프 선수)
김현기는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부터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까지 참가한 대한민국의 스키 점프 선수로,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단체전에서 8위를 기록했다.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키점프 참가 선수 - 최서우
최서우는 대한민국의 스키 점프 선수로, 네 번의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단체전에서 8위를 기록했다.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키점프 참가 선수 - 김현기 (스키점프 선수)
김현기는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부터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까지 참가한 대한민국의 스키 점프 선수로,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단체전에서 8위를 기록했다.
최흥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최흥철 (Choe Heungcheol) |
출생일 | 1981년 12월 3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무주군 |
신장 | 174cm |
체중 | 63kg |
소속팀 | 하이원 |
코치 | 강칠구 요헨 다네베르크 |
스키 | Fluege.de |
선수 활동 | 1996년 - |
데뷔 | 1997년 12월 20일, 엥겔베르크 (25위) |
종목 | |
종목 | 스키 점프 |
아시안 게임 | |
2003 아오모리 | 금메달: 노멀힐 단체전 동메달: 노멀힐 개인전 |
2011 아스타나-알마티 | 동메달: 라지힐 단체전 |
2017 삿포로 | 동메달: 라지힐 단체전 |
유니버시아드 | |
2001 자코파네 | 은메달: 노멀힐 개인전 은메달: 노멀힐 단체전 |
2003 타르비시오 | 금메달: 노멀힐 단체전 |
2007 토리노 | 은메달: 노멀힐 단체전 |
2009 하얼빈 | 금메달: 노멀힐 단체전 동메달: 라지힐 개인전 |
2. 경력
최흥철은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태어나 설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에서 생리학을 전공했다. 1996년에 대한민국 스키 점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FIS 컵, 콘티넨털컵 등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2. 1. 국제 대회 참가
최흥철은 1996년에 대한민국 스키 점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FIS 컵과 콘티넨털컵 등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1997년 12월 20일 스위스 엥겔베르크에서 열린 FIS 월드컵에서 월드컵 데뷔전을 치렀으며, 라지힐 개인전에서 25위를 기록했다.[1] 1998년 일본 나가노에서 열린 1998년 동계 올림픽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 노멀힐 개인전 46위, 라지힐 개인전 40위에 올랐다.[1] 1999년에는 오스트리아 람자우에서 열린 199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노멀힐 개인전 61위, 라지힐 개인전 66위를 기록했다.[1]2000년 노르웨이 비케르순에서 열린 2000년 세계 플라잉 스키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출전, 29위를 기록했으며, 함께 출전한 강칠구는 43위를 기록했다.[1] 같은 해 2월 26일 미국 미시간주 아이언마운틴에서 열린 FIS 월드컵 라지힐 경기에서 개인 최고 성적인 11위를 기록했다.[1] 2001년 폴란드 자코파네에서 열린 2001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노멀힐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다.[1] 같은 해 핀란드 라티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노멀힐 개인전 24위, 라지힐 개인전 49위를 기록했다.[1]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2002년 동계 올림픽 노멀힐 개인전에서 30위, 라지힐 개인전에서 41위를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1] 최용직, 김현기, 강칠구와 함께 출전한 라지힐 단체전에서는 8위를 기록했다.[1] 올림픽 이후 3월 3일 독일 쇤발트에서 열린 콘티넨털컵에서 독일의 한스외르크 예클레와 오스트리아의 마누엘 페트너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1] 같은 해 체코 하라호프에서 열린 세계 플라잉 스키 선수권 대회에서 21위를 기록했고,[1] 9월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콘티넨털컵에서 슬로베니아의 로크 벤코비치와 캐나다의 그레고리 백스터를 누르고 우승했다.[1]
2003년 이탈리아 타르비시오에서 열린 2003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노멀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 일본 아오모리현에서 열린 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노멀힐 개인전에서는 일본의 후나키 가즈요시와 히가시 아키라에 이어 동메달, 최용직, 김현기, 강칠구와 함께 출전한 노멀힐 단체전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1] 같은 해 이탈리아 발디피엠메에서 열린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 라지힐 개인전에서는 49위를 기록했다.[1] 2004년 슬로베니아 플라니차에서 열린 2004년 세계 선수권 대회 라지힐 개인전에서는 50위를 기록했다.[1]
2005년 1월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열린 동계 유니버시아드 노멀힐 개인전 11위, 라지힐 개인전 14위를 기록했다.[1] 같은 해 1월 29일 독일 라우샤에서 열린 콘티넨털컵에서 3위에 올랐다.[1] 독일 오버슈트도르프에서 열린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 노멀힐 개인전 43위, 최용직, 김현기, 강칠구와 함께 출전한 노멀힐 단체전 10위, 라지힐 단체전 13위를 기록했다.[1]
2006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2006년 동계 올림픽 노멀힐 개인전 36위, 라지힐 개인전 47위, 최용직, 김현기, 강칠구와 함께 출전한 라지힐 단체전 13위를 기록했다.[1] 2007년 토리노에서 열린 동계 유니버시아드 노멀힐 개인전 7위, 라지힐 개인전 9위, 강칠구, 최용직과 함께 출전한 노멀힐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1] 일본 삿포로에서 열린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노멀힐 개인전에서는 28위를 기록했다.[1]
2009년 2월 중화인민공화국 하얼빈에서 열린 유니버시아드 라지힐 개인전 동메달, 김현기, 강칠구와 함께 출전한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1] 같은 해 여름 오스트리아 필라흐에서 열린 FIS컵에서 우승했다.[1] 2010년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2010년 동계 올림픽 노멀힐 개인전 48위, 라지힐 개인전 49위, 강칠구, 김현기와 함께 출전한 라지힐 단체전 13위를 기록했다.[1]
2011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와 알마티에서 열린 동계 아시안 게임 노멀힐 개인전 5위, 라지힐 개인전 7위, 강칠구, 최용직, 김현기와 함께 출전한 라지힐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1] 2014년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2014년 동계 올림픽 노멀힐 개인전 예선에서 34위를 기록, 결선에 진출했다.[1]
2. 2. FIS 주관 대회
대회 종류 | 대회명 | 순위 |
---|---|---|
FIS 월드컵 | 1997-98 시즌 | 25위[1] |
FIS 월드컵 | 2000-01 시즌 | 11위[1] |
콘티넨털컵 | 2001-02 시즌 | 1위[1] |
콘티넨털컵 | 2002년 9월 | 1위[1] |
콘티넨털컵 | 2004-05 시즌 | 3위[1] |
FIS컵 | 2009년 하계 | 1위[1] |
최흥철은 여러 차례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그는 단체전과 개인전에 꾸준히 출전했으며, 개인전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하기도 했다.
최흥철은 1996년에 대한민국 스키 점프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FIS 컵, 콘티넨털컵 등 여러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 1997년 스위스 엥겔베르크에서 열린 FIS 월드컵에 참가하여 라지힐 개인전에서 25위를 기록하며 월드컵 무대에 데뷔했다. 2000년에는 미국 미시간주 아이언마운틴에서 열린 FIS 월드컵 라지힐에서 개인 최고 성적인 11위를 기록했다.
2002년에는 독일 쇤발트에서 열린 콘티넨털컵에서 독일의 한스외르크 예클레와 오스트리아의 마누엘 페트너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같은 해 9월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콘티넨털컵에서도 슬로베니아의 로크 벤코비치와 캐나다의 그레고리 백스터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5년 독일 라우샤에서 열린 콘티넨털컵에서는 슬로베니아의 로베르트 크라니에츠와 핀란드의 칼레 케이투리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2009년에는 오스트리아 필라흐에서 열린 FIS컵에서 오스트리아의 플로리안 샤버아이터와 슬로베니아의 데얀 유데시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 기록
3. 1. 올림픽
대회 | 종목 | 순위 |
---|---|---|
1998년 동계 올림픽 | 단체전 | 13위 |
개인 노멀힐 | 46위 | |
개인 라지힐 | 40위 | |
2002년 동계 올림픽 | 단체전 | 8위 |
개인 노멀힐 | 30위 | |
개인 라지힐 | 예선 41위 | |
2006년 동계 올림픽 | 단체전 | 13위 |
개인 노멀힐 | 예선 36위 | |
개인 라지힐 | 47위 | |
2010년 동계 올림픽 | 단체전 | DNS |
개인 노멀힐 | 48위 | |
개인 라지힐 | 49위 |
4. 영화
2009년 영화 국가대표에서 스키점프 선수 최흥철의 대역을 맡았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