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200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종합 10위권 안에 진입했다. 특히 쇼트트랙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안현수와 진선유가 각각 3관왕을 차지했다.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는 이강석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남북 단일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아이스하키 여자 종목에서 '코리아'라는 명칭의 단일팀을 구성하여 참가하였으며, 이는 평화 올림픽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나 출전 기회 박탈 및 졸속 결정 논란도 있었다. -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메달 5개, 은메달 8개, 동메달 4개로 종합 7위를 기록했으며, 윤성빈은 스켈레톤에서 아시아 최초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06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06년 동계 올림픽 알바니아 선수단
2006년 동계 올림픽 알바니아 선수단은 알바니아가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단으로, 에르욘 톨라가 알파인 스키 종목에 출전하여 남자 슈퍼 G에서 꼴찌를 기록하고 남자 대회전 35위, 남자 회전에서는 기권했으며, 알파인 스키 종목에는 에르욘 톨라와 아르만도 톨라가 출전했다. - 2006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06년 동계 올림픽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선수단
2006년 동계 올림픽에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앤 아버내시 선수가 루지 종목에 출전했으나, 훈련 중 부상으로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 2006년 대한민국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 2006년 대한민국 - 새만금 방조제
대한민국 군산시와 부안군을 연결하는 총 길이 33km의 새만금 방조제는 농경지 및 담수호 조성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환경 문제와 수질 오염 논란을 겪으며 습지 복원과 수질 개선 노력이 진행 중이다.
200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NOC | KOR |
NOC 명칭 | 대한체육회 |
대회 | 동계 올림픽 |
연도 | 2006년 |
개최지 | 토리노 |
참가 선수 | 40명 |
참가 종목 | 9개 |
기수 (개막식) | 이보라 |
기수 (폐막식) | 전다혜 |
메달 순위 | 7위 |
금메달 | 6개 |
은메달 | 3개 |
동메달 | 2개 |
공식 웹사이트 | www.sports.or.kr |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2. 메달리스트
대한민국은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11개의 메달로 종합 7위를 차지했으며,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10위권에 들었다. 획득한 메달 11개 중 10개는 쇼트트랙에서 나왔다. 안현수와 진선유는 각각 금메달 3개씩을 획득하여 대한민국 선수 중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안현수는 동메달 1개를 추가했다.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 | 안현수 | 쇼트트랙 | 남자 1000 m, 남자 1500 m, 남자 5000m 계주 |
진선유 | 쇼트트랙 | 여자 1000 m, 여자 1500 m, 여자 3000m 계주 | |
![]() | 이호석 | 쇼트트랙 | 남자 1000 m, 남자 1500 m |
최은경 | 쇼트트랙 | 여자 1500 m | |
![]() | 안현수 | 쇼트트랙 | 남자 500 m |
이강석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500 m | |
이호석, 오세종, 서호진, 송석우 | 쇼트트랙 | 남자 5000m 계주 | |
변천사, 최은경, 전다혜, 진선유, 강윤미 | 쇼트트랙 | 여자 3000m 계주 |
2. 1.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대한민국은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 쇼트트랙 강국의 면모를 과시했다.안현수는 남자 1000m, 1500m, 5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3관왕에 올랐고, 500m에서는 동메달을 추가했다. 진선유는 여자 1000m, 1500m,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3관왕에 올랐다. 이호석은 남자 1000m와 1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안현수와 함께 남자 쇼트트랙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최은경은 여자 1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여자 3000m 계주에서는 최은경, 변천사, 전다혜, 진선유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 이어 4연패를 달성했다.
;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안현수 | 500m | 42.960 | 1 Q | 42.213 | 1 Q | 41.826 | 1 Q | 42.089 | -- |
1000m | 1:27.372 | 1 Q | 1:29.671 | 1 Q | 1:27.909 | 1 Q | 1:26.739 | -- | |
1500m | 2:29.808 | 1 Q | - | - | 2:17.718 | 1 Q | 2:25.341 | -- | |
이호석 | 500m | 42.676 | 1 Q | 1:22.896 | 4 | 진출 실패 | |||
1000m | 1:35.634 | 1 Q | 1:27.265 | 1 Q | 1:29.150 | 1 Q | 1:26.764 | -- | |
1500m | 2:31.511 | 1 | - | - | 2:20.901 | 2 | 2:25.600 | -- | |
서호진 | 500m | 실격 | |||||||
안현수 이호석 서호진 오세종 송석우 | 5000m 계주 | - | - | - | - | 7:01.783 | 2 | 6:43.376 | --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진선유 | 500m | 45.954 | 1 Q | 46.428 | 3 | 진출 실패 | |||
1000m | 1:31.504 | 1 Q | 1:33.351 | 1 Q | 1:32.546 | 1 Q | 1:32.859 | -- | |
1500m | 2:29.731 | 1 Q | - | - | 2:31.747 | 1 Q | 2:23.494 | -- | |
강윤미 | 500m | 45.755 | 2 Q | 실격 | |||||
최은경 | 1000m | 1:38.414 | 1 Q | 1:32.875 | 1 Q | 1:32.099 | 1 Q | 실격 | |
1500m | 2:37.862 | 2 Q | - | - | 2:22.776 | 1 Q | 2:24.069 | -- | |
변천사 | 1500m | 2:41.411 | 2 Q | - | - | 2:26.915 | 1 Q | 실격 | |
진선유 최은경 변천사 강윤미 전다혜 | 3000m 계주 | - | - | - | - | 4:18.854 | 1 | 4:17.040 | -- |
2. 2. 스피드 스케이팅
이강석이 남자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스피드 스케이팅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남자
선수 | 종목 | 1차 레이스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최재봉 | 500m | 35.61 | 25 | 35.43 | 8 |
1000m | 해당 없음 | 1:10.23 | 17 | ||
권순천 | 500m | 58.66 | 37 | 36.13 | 37 |
이진우 | 1500m | 해당 없음 | 1:49.85 | 28 | |
이종우 | 1500m | 해당 없음 | 1:48.11 | 14 | |
이강석 | 500m | 35.34 | 3 | 35.09 | |
1000m | 해당 없음 | 1:10.52 | 22 | ||
이규혁 | 500m | 35.76 | 27 | 35.62 | 17 |
1000m | 해당 없음 | 1:09.37 | 4 | ||
문준 | 1000m | 해당 없음 | 1:10.66 | 24 | |
1500m | 해당 없음 | 1:48.38 | 16 | ||
여상엽 | 5000m | 해당 없음 | 6:58.13 | 28 |
;여자
선수 | 종목 | 1차 레이스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최승용 | 500m | 39.65 | 19 | 39.37 | 18 |
김유림 | 500m | 39.57 | 21 | 39.68 | 20 |
1000m | 해당 없음 | 1:18.77 | 28 | ||
이보라 | 500m | 40.01 | 26 | 39.72 | 25 |
1000m | 해당 없음 | 1:21.19 | 34 | ||
이주연 | 1000m | 해당 없음 | 1:18.66 | 26 | |
1500m | 해당 없음 | 2:00.85 | 16 | ||
이상화 | 500m | 38.35 | 6 | 38.69 | 5 |
1000m | 해당 없음 | 1:17.78 | 19 | ||
노선영 | 1500m | 해당 없음 | 2:03.35 | 32 | |
3000m | 해당 없음 | 4:15.68 | 19 |
=== 바이애슬론 ===
3. 종목별 성적
박윤배는 남자 스프린트에서 80위, 남자 개인 종합에서 81위를 기록했다.[1]
=== 스켈레톤 ===
강광배는 남자부 경기에서 23위를 기록했다.[1]
=== 알파인 스키 ===
강민혁은 남자 대회전에서 기권, 남자 회전에서 실격되었다. 김형철은 남자 대회전에서 28위를 기록했다. 김우성은 남자 대회전에서 기권했다. 오재은은 여자 대회전에서 33위, 여자 회전에서 41위를 기록했다.
=== 크로스컨트리 스키 ===
;거리
최임헌은 남자 15km 클래식에서 78위, 남자 30km 추적에서 기권했다. 정의명은 남자 15km 클래식에서 80위, 남자 30km 추적과 50km 프리스타일에서 기권했다. 이채원은 여자 10km 클래식에서 62위, 여자 15km 추적에서 57위, 여자 30km 프리스타일에서 기권했다. 박병주는 남자 15km 클래식에서 79위, 남자 30km 추적에서 기권했다.
;스프린트
정의명은 남자 스프린트에서 76위를 기록했다. 이채원은 여자 스프린트에서 64위를 기록했다. 박병주는 남자 스프린트에서 63위를 기록했다. 최임헌과 박병주는 남자 팀 스프린트에서 19위를 기록했다.
=== 프리스타일 스키 ===
윤채린은 여자 모굴에서 30위를 기록했다.
=== 루지 ===
김민규는 남자 1인승에서 29위를 기록했다.[2]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안현수는 500m 동메달, 1000m와 1500m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호석은 1000m와 1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서호진은 500m에서 실격되었다. 안현수, 이호석, 서호진, 오세종, 송석우는 5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진선유는 1000m와 1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강윤미는 500m에서 실격되었다. 최은경은 1500m 은메달을 획득하였으나, 1000m에서는 실격되었다. 변천사는 1500m에서 실격되었다. 진선유, 최은경, 변천사, 강윤미, 전다혜는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은 이 종목에서 올림픽 4연패를 달성했다.
=== 스키 점프 ===
최흥철은 노멀힐 36위, 라지힐 47위를 기록했다. 최용직은 노멀힐 36위, 라지힐 53위를 기록했다. 강칠구는 노멀힐 44위, 라지힐 45위를 기록했다. 김현기는 노멀힐 43위, 라지힐 39위를 기록했다. 최흥철, 최용직, 강칠구, 김현기는 단체전에서 13위를 기록했다.
=== 스피드 스케이팅 ===
최재봉은 500m 8위, 1000m 17위를 기록했다. 권순천은 500m 37위를 기록했다. 이진우는 1500m 28위를 기록했다. 이종우는 1500m 14위를 기록했다. 이강석은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1000m 22위를 기록했다. 이규혁은 500m 17위, 1000m 4위를 기록했다. 문준은 1000m 24위, 1500m 16위를 기록했다. 여상엽은 5000m 28위를 기록했다.
최승용은 500m 18위를 기록했다. 김유림은 500m 20위, 1000m 28위를 기록했다. 이보라는 500m 25위, 1000m 34위를 기록했다. 이주연은 1000m 26위, 1500m 16위를 기록했다. 이상화는 500m 5위, 1000m 19위를 기록했다. 노선영은 1500m 32위, 3000m 19위를 기록했다.
3. 1. 바이애슬론
박윤배는 남자 스프린트에서 31분 29초 5의 기록과 사격 실수 3회로 80위를, 남자 개인 종합에서는 1시간 07분 03초 4의 기록과 사격 실수 6회로 81위를 기록했다.[1]
3. 2. 스켈레톤
강광배는 남자부 경기에서 1차 시기 1:00.41, 2차 시기 59.88, 합계 2:00.29로 23위를 기록했다.[1]선수 |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합계 | 순위 |
---|---|---|---|---|---|
강광배 | 남자 | 1:00.41 | 59.88 | 2:00.29 | 23 |
3. 3. 알파인 스키
선수 |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합계 | 순위 |
---|---|---|---|---|---|
강민혁 | 남자 대회전 | 기권 | |||
남자 회전 | 58.53 | 실격 | |||
김형철 | 남자 대회전 | 1:26.09 | 1:26.37 | 2:52.46 | 28 |
김우성 | 남자 대회전 | 기권 | |||
오재은 | 여자 대회전 | 1:08.22 | 1:16.25 | 2:24.47 | 33 |
여자 회전 | 48.07 | 53.77 | 1:41.84 | 41 |
3. 4. 크로스컨트리 스키
;거리선수 | 종목 | 기록 | 순위 |
---|---|---|---|
최임헌 | 남자 15km 클래식 | 46:21.7 | 78 |
최임헌 | 남자 30km 추적 | 기권 | |
정의명 | 남자 15km 클래식 | 46:40.8 | 80 |
정의명 | 남자 30km 추적 | 기권 | |
정의명 | 남자 50km 프리스타일 | 기권 | |
이채원 | 여자 10km 클래식 | 32:57.8 | 62 |
이채원 | 여자 15km 추적 | 49:01.2 | 57 |
이채원 | 여자 30km 프리스타일 | 기권 | |
박병주 | 남자 15km 클래식 | 46:38.9 | 79 |
박병주 | 남자 30km 추적 | 기권 |
;스프린트
선수 | 종목 | 예선 기록 | 예선 순위 | 8강 | 4강 | 결선 |
---|---|---|---|---|---|---|
정의명 | 남자 스프린트 | 2:35.39 | 76 | 진출 실패 | 진출 실패 | 76 |
이채원 | 여자 스프린트 | 2:35.47 | 64 | 진출 실패 | 진출 실패 | 64 |
박병주 | 남자 스프린트 | 2:28.85 | 63 | 진출 실패 | 진출 실패 | 63 |
최임헌, 박병주 | 남자 팀 스프린트 | 해당사항 없음 | 19:40.0 | 10 | 19 |
3. 5. 프리스타일 스키
여자 모굴에 출전한 윤채린은 7.07점으로 30위를 기록하여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3. 6. 루지
김민규는 남자 1인승에서 29위를 기록했다.[2]1차 | 2차 | 3차 | 4차 | 합계 | 순위 |
---|---|---|---|---|---|
53.748 | 54.961 | 53.528 | 53.344 | 3:35.581 | 29 |
3. 7.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대한민국은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11개의 메달 중 10개를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획득했다. 진선유와 안현수는 각각 금메달 3개를 획득하여 대한민국 선수단 중 가장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안현수는 금메달 3개 외에 동메달 1개도 추가했다.;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안현수 | 500m | 42.960 | 1 Q | 42.213 | 1 Q | 41.826 | 1 Q | 42.089 | 동메달 |
1000m | 1:27.372 | 1 Q | 1:29.671 | 1 Q | 1:27.909 | 1 Q | 1:26.739 | 금메달 | |
1500m | 2:29.808 | 1 Q | 2:17.718 | 1 Q | 2:25.341 | 금메달 | |||
이호석 | 500m | 42.676 | 1 Q | 1:22.896 | 4 | 진출 실패 | |||
1000m | 1:35.634 | 1 Q | 1:27.265 | 1 Q | 1:29.150 | 1 Q | 1:26.764 | 은메달 | |
1500m | 2:31.511 | 1 | 2:20.901 | 2 | 2:25.600 | 은메달 | |||
서호진 | 500m | 실격 | |||||||
안현수, 이호석, 서호진, 오세종, 송석우 | 5000m 계주 | 7:01.783 | 2 | 6:43.376 | 금메달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진선유 | 500m | 45.954 | 1 Q | 46.428 | 3 | 진출 실패 | |||
1000m | 1:31.504 | 1 Q | 1:33.351 | 1 Q | 1:32.546 | 1 Q | 1:32.859 | 금메달 | |
1500m | 2:29.731 | 1 Q | 2:31.747 | 1 Q | 2:23.494 | 금메달 | |||
강윤미 | 500m | 45.755 | 2 Q | 실격 | |||||
최은경 | 1000m | 1:38.414 | 1 Q | 1:32.875 | 1 Q | 1:32.099 | 1 Q | 실격 | |
1500m | 2:37.862 | 2 Q | 2:22.776 | 1 Q | 2:24.069 | 은메달 | |||
변천사 | 1500m | 2:41.411 | 2 Q | 2:26.915 | 1 Q | 실격 | |||
진선유, 최은경, 변천사, 강윤미, 전다혜 | 3000m 계주 | 4:18.854 | 1 | 4:17.040 | 금메달 |
여자 3000m 계주에서는 최은경, 변천사, 전다혜, 진선유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 이어 대한민국 선수단은 4연패를 달성했다.
3. 8. 스키 점프
최용직강칠구
김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