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트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트랩 경기는 베이징 클레이 사격장에서 열렸다. 핀란드의 사투 매켈라-누멜라가 결선에서 91점을 기록하며 올림픽 기록을 세우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은메달은 주자나 슈테페체코바, 동메달은 코리 코그델이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여자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스키트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스키트에서는 키아라 카이네로가 금메달, 킴 로드가 은메달, 크리스틴 브링커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결선에서 키아라 카이네로, 킴벌리 로드, 크리스틴 브링커는 올림픽 기록을 세웠다. - 2008년 여자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에서는 궈원쥔이 올림픽 기록을 경신하며 금메달을, 나탈리야 파데리나와 니노 살루크바제가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나탈리야 파데리나는 예선에서 올림픽 기록을 세웠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경기는 팡웨이가 금메달, 진종오가 은메달, 제이슨 터너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김정수는 도핑 테스트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권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권총은 베이징 사격관에서 진행된 종목으로, 진종오가 금메달, 탄 종량이 은메달, 블라디미르 이사코프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은메달을 획득했던 김정수는 도핑 문제로 실격 처리되었다. - 올림픽 사격 -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은 2012년 7월 28일부터 8월 6일까지 런던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3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사격은 권총, 소총, 클레이 종목으로 진행되어 총 15개의 메달이 수여되었으며, 중국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올림픽 신기록이 수립된 대회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트랩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여자 트랩 |
대회 | 2008년 하계 올림픽 |
개최지 | 베이징 |
경기장 | 베이징 클레이 사격장 |
날짜 | 2008년 8월 11일 |
참가 선수 | 20명 |
참가 국가 | 20개국 |
메달 정보 | |
금메달 | 사투 마켈라-누멜라 |
은메달 | 주자나 슈테페체코바 |
동메달 | 코리 코그델 |
기록 정보 | |
우승 점수 | 91 (올림픽 기록) |
올림픽 역사 | |
이전 대회 | 2004 |
다음 대회 | 2012 |
2. 경기장
도시 | 경기장 | 비고 |
---|---|---|
베이징 | 베이징 클레이 사격장 | 전 경기 |
2. 1. 베이징 클레이 사격장
모든 경기는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클레이 사격장에서 열렸다.3. 경기 일정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
날짜 | 시간 | 경기 |
---|---|---|
2008년 8월 11일 | 9:00-13:30 | 본선 |
15:00-15:45 | 결선 |
3. 1. 본선
(UTC+8)로 2008년 8월 11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진행되었다.순위 | 선수 | 국가 | 1차 | 2차 | 3차 | 총점 | 비고 |
---|---|---|---|---|---|---|---|
1 | 주자나 슈테페체코바 | align="left"| | 24 | 21 | 25 | 70 | 결선 진출 |
2 | 사투 매켈래-누멜라 | align="left"| | 24 | 23 | 23 | 70 | 결선 진출 |
3 | 옐레나 스트루차예바 | align="left"| | 21 | 24 | 24 | 69 | 결선 진출 |
4 | 코리 코그델 | align="left"| | 23 | 23 | 23 | 69 | 결선 진출 |
5 | 다이나 구진스비추테 | align="left"| | 23 | 24 | 22 | 69 | 결선 진출 |
6 | 나카야마 유키에 | align="left"| | 22 | 23 | 22 | 67 | 결선 진출 |
7 | 데보라 젤리시오 | align="left"| | 20 | 23 | 23 | 66 | |
8 | 수잔 키에르마이어 | align="left"| | 22 | 21 | 22 | 65 | |
9 | 이리나 라리체바 | align="left"| | 20 | 22 | 22 | 64 | |
10 | 나딘 스탠턴 | align="left"| | 19 | 22 | 22 | 63 | |
11 | 수잔 나트라스 | align="left"| | 22 | 23 | 18 | 63 | |
12 | 류잉쯔 | align="left"| | 23 | 22 | 18 | 63 | |
13 | 델핀 라시네 | align="left"| | 18 | 20 | 24 | 62 | |
14 | 스테이시 로이얼 | align="left"| | 22 | 17 | 23 | 62 | |
15 | 다니엘라 델 딘 | align="left"| | 20 | 21 | 21 | 62 | |
16 | 샬롯 커우드 | align="left"| | 18 | 23 | 17 | 58 | |
17 | 다이앤 스원턴 | align="left"| | 18 | 21 | 18 | 57 | |
18 | 박용희 | align="left"| | 15 | 19 | 22 | 56 | |
19 | 이보나 | align="left"| | 21 | 15 | 19 | 55 | |
20 | 가비 아렌스 | align="left"| | 18 | 14 | 20 | 52 |
3. 2. 결선
(UTC+8) 15:00에 결선이 열렸다.순위 | 선수 | 예선 | 결선 | 총점 | 동메달 결정전 | 4위 결정전 | 5위 결정전 | 비고 |
---|---|---|---|---|---|---|---|---|
align="left"| | 70 | 21 | 91 | OR | ||||
align="left"| | 70 | 19 | 89 | |||||
align="left"| | 69 | 17 | 86 | 1 | ||||
4 | align="left"| | 67 | 19 | 86 | 0 | 1 | ||
5 | align="left"| | 69 | 17 | 86 | 0 | 0 | 2 | |
6 | align="left"| | 69 | 17 | 86 | 0 | 0 | 1 |
'''OR''' 올림픽 기록
4. 신기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트랩 종목에서 사투 매켈래눔멜라(핀란드)는 91점(70+21)으로 올림픽 결선 신기록을 세웠다. 이는 국제사격연맹(ISSF) 규칙이 2005년 1월 1일부터 표적당 한 발만 허용하도록 변경된 이후 처음 세워진 올림픽 결선 기록이다.
4. 1. 기존 기록
이 대회 전의 기존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유형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세계 기록 | 빅토리아 추이코 (우크라이나) 천리 (중화인민공화국) 주자나 스테페체코바 (슬로바키아) 줄리아 이안노티 (이탈리아) | 74 | 니코시아 (키프로스) 칭위안 (중화인민공화국) 칭위안 (중화인민공화국) 마리보르 (슬로베니아) | 1998년 6월 13일 2006년 4월 4일 2006년 4월 4일 2007년 6월 28일 |
올림픽 기록 | 다이나 구지네비추테 (리투아니아) | 71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2000년 9월 18일 |
2006년 4월 4일 중화인민공화국 칭위안에서 주자나 슈테페체코바 (슬로바키아)가 96점(74+22)을 기록하며 결선 세계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2005년 1월 1일 국제사격연맹(ISSF)의 규칙 변경으로 올림픽 결선 기록은 더 이상 인정되지 않는다.
4. 1. 1. 본선 기록
이 대회 전의 기존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유형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예선 기록 | 빅토리아 추이코 (우크라이나) 천리 (중화인민공화국) 주자나 스테페체코바 (슬로바키아) 줄리아 이안노티 (이탈리아) | 74 | 니코시아 (키프로스) 칭위안 (중화인민공화국) 칭위안 (중화인민공화국) 마리보르 (슬로베니아) | 1998년 6월 13일 2006년 4월 4일 2006년 4월 4일 2007년 6월 28일 |
올림픽 기록 | 다이나 구지네비추테 (리투아니아) | 71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2000년 9월 18일 |
4. 1. 2. 결선 기록
2006년 4월 4일 중국 칭위안에서 주자나 슈테페체코바 (SVK)가 세운 96점(74+22)이 기존 결선 세계 기록이다.하지만 2005년 1월 1일에 국제사격연맹(ISSF)의 규칙이 변경되어 올림픽 결선 기록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졌다.
4. 2. 대회 기록
이 대회 전의 기존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유형 | 선수 | 국가 | 점수 | 장소 | 날짜 |
---|---|---|---|---|---|
예선 세계 기록 | 빅토리아 추이코 | 74 | 키프로스 니코시아 | 1998년 6월 13일 | |
예선 세계 기록 | 천리 | 74 | 중국 칭위안 | 2006년 4월 4일 | |
예선 세계 기록 | 주자나 슈테페체코바 | 74 | 중국 칭위안 | 2006년 4월 4일 | |
예선 세계 기록 | 줄리아 이아노티 | 74 | 슬로베니아 마리보르 | 2007년 6월 28일 | |
예선 올림픽 기록 | 다이나 구진에비추테 | 71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2000년 9월 18일 | |
결선 세계 기록 | 주자나 슈테페체코바 | 96 (74+22) | 중국 칭위안 | 2006년 4월 4일 |
대회 중 사투 매켈라-눔멜라는 결선 규칙 변경(표적당 한 발 허용) 후 새로운 올림픽 결선 기록을 세웠다는 내용이 있지만, 하위 섹션에서 이미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4. 2. 1. 결선 기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트랩 결선에서 사투 매켈라-눔멜라는 표적당 한 발만 허용하는 변경된 규칙 하에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5. 경기 결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트랩 경기는 본선과 결선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본선에는 2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각 라운드마다 25점 만점으로 총 75점 만점으로 진행, 상위 6명이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에서는 본선 점수와 결선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하였다. 핀란드의 사투 매켈래눔멜라는 총점 91점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슬로바키아의 주자나 스테페체코바는 89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미국의 코리 코그델에게 돌아갔다.
5. 1. 본선
순위 | 선수 | 국가 | 1차 | 2차 | 3차 | 총점 | 비고 |
---|---|---|---|---|---|---|---|
1 | 주자나 스테페체코바 | 24 | 21 | 25 | 70 | Q | |
2 | 사투 매켈래눔멜라 | 24 | 23 | 23 | 70 | Q | |
3 | 옐레나 스트루차예바 | 21 | 24 | 24 | 69 | Q | |
4 | 코리 코그델 | 23 | 23 | 23 | 69 | Q | |
5 | 다이나 구지네비추테 | 23 | 24 | 22 | 69 | Q | |
6 | 나카야마 유키에 | 22 | 23 | 22 | 67 | Q | |
7 | 데보라 겔리시오 | 20 | 23 | 23 | 66 | ||
8 | 주자네 키어마이어 | 22 | 21 | 22 | 65 | ||
9 | 이리나 라리체바 | 20 | 22 | 22 | 64 | ||
10 | 네이딘 스탠턴 | 19 | 22 | 22 | 63 | ||
11 | 수전 내트러스 | 22 | 23 | 18 | 63 | ||
12 | 류잉쯔 | 23 | 22 | 18 | 63 | ||
13 | 델핀 라시네 | 18 | 20 | 24 | 62 | ||
14 | 스테이시 로이알 | 22 | 17 | 23 | 62 | ||
15 | 다니엘라 델딘 | 20 | 21 | 21 | 62 | ||
16 | 샬럿 커우드 | 18 | 23 | 17 | 58 | ||
17 | 다이앤 스완턴 | 18 | 21 | 18 | 57 | ||
18 | 박영희 | 15 | 19 | 22 | 56 | ||
19 | 이보나 | 21 | 15 | 19 | 55 | ||
20 | 가비 아렌스 | 18 | 14 | 20 | 52 |
'''Q''' : 결선 진출
예선 라운드는 중국 표준시(UTC+8)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진행되었다.
5. 2. 결선
결정전결정전
결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