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은 2010년 10월 28일부터 2011년 4월 16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 근해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들을 의미한다. 이 기간 동안 에이벨, 타샤, 빈스, 젤리아, 앤서니, 비안카, 야시, 카를로스, 다이앤, 25U, 에롤 등 여러 사이클론이 발생했으며, 각 사이클론은 발생 및 소멸 날짜, 최저 기압, 최대 풍속 등의 정보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열대 저기압 - 2010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2010년 북인도양 사이클론은 4월 23일부터 12월 6일까지 발생한 5개의 열대성 저기압으로, 벵골 만과 아라비아 해에서 발생하여 인도, 방글라데시, 미얀마, 오만, 파키스탄 등 주변 국가에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혔다. - 연도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 2011~2012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2011년 1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연안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과 사이클론 활동을 의미하는 2011~2012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시즌 동안 베닐데, 피나, 그랜트, 헤이디, 루아 등의 사이클론이 발생하여 강풍, 폭우, 해일 등의 피해를 입혔다. - 연도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 2013~2014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2013~2014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은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호주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 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호주 기상청과 뉴질랜드 국립 물 및 대기 연구소 등에서 예측과 분석을 수행했으며, 딜런, 크리스틴, 아이타 등 주요 사이클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 2011년 열대 저기압 - 사이클론 야시
사이클론 야시는 2011년 2월 초 퀸즐랜드주 북부를 강타한 카테고리 5의 강력한 사이클론으로, 폭풍 해일과 강풍을 동반하여 막대한 재산 피해를 일으키고 호주 역사상 가장 큰 피해를 입힌 사이클론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 2011년 열대 저기압 - 2011~2012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2011-2012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은 2011년 12월부터 2012년 6월까지 발생한 14개의 열대 저기압, 열대 폭풍, 사이클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리나가 마다가스카르에 큰 피해를 입히고 푼소와 지오바나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2010~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 |
---|---|
개요 | |
연도 | 2010 |
해역 | 호주 |
전체 경로 그림 | 2010-2011 Australian region cyclone season summary.png |
시작일 | 2010년 10월 28일 |
종료일 | 2011년 4월 18일 |
발생 수 | 총합 11개 |
강한 사이클론 수 | 6개 |
강한 사이클론 기준 | 호주 기준 3등급, SSHS 기준 1등급 이상의 사이클론 |
약한 사이클론 수 | 5개 |
약한 사이클론 기준 | 호주 기준 1등급, SSHS 기준 열대폭풍급의 사이클론 |
2. 타임라인
발생일 | 이름 및 등급 |
---|---|
10월 28일 ~ 11월 4일 | 앙그렉 (TL) |
12월 3일 ~ 12월 4일 | 아벨레 (C2) |
12월 15일 ~ 12월 20일 | 03U (TL) |
12월 22일 ~ 12월 24일 | 04U (TL) |
12월 24일 ~ 12월 25일 | 타샤 (C1) |
12월 30일 ~ 2011년 1월 2일 | 06U (TL) |
12월 30일 ~ 2011년 1월 2일 | 07U (TL) |
12월 31일 ~ 2011년 1월 2일 | 08U (TL) |
2011년 1월 10일 ~ 1월 18일 | 빈스 (C1) |
2011년 1월 13일 ~ 1월 16일 | 젤리아 (C4) |
2011년 1월 21일 ~ 1월 30일 | 앤서니 (C2) |
2011년 1월 23일 ~ 1월 30일 | 비앙카 (C4) |
2011년 1월 31일 ~ 2월 1일 | 13U (TL) |
2011년 1월 31일 ~ 2월 3일 | 야시 (C5) |
2011년 2월 8일 ~ 2월 13일 | 15U (TL) |
2011년 2월 15일 ~ 2월 22일 | 디안 (C3) |
2011년 2월 15일 ~ 2월 26일 | 카를로스 (C3) |
2011년 2월 24일 ~ 2월 28일 | 18U (TL) |
2011년 2월 26일 ~ 3월 1일 | 19U (TL) |
2011년 3월 5일 | 20U (TL) |
2011년 3월 7일 ~ 3월 8일 | 21U (TL) |
2011년 3월 11일 ~ 3월 13일 | 22U (TL) |
2011년 3월 11일 ~ 3월 13일 | 체로노 (TL) |
2011년 3월 26일 ~ 4월 4일 | 25U (C1) |
2011년 3월 30일 ~ 4월 1일 | 26U (TL) |
2011년 3월 30일 ~ 4월 1일 | 27U (TL) |
2011년 4월 14일 ~ 4월 15일 | 28U (TL) |
2011년 4월 14일 ~ 4월 16일 | 에롤 (C3) |
- TL: 열대성 저기압, C1: 카테고리 1, C2: 카테고리 2, C3: 카테고리 3, C4: 카테고리 4, C5: 카테고리 5
- 자세한 내용은 열대 저기압 등급을 참고.
3. 사이클론 목록
2010~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에서는 여러 사이클론이 발생했다. 각 사이클론의 발생일, 소멸일, 최저 기압, 최대 풍속 등은 아래 표와 같다.
3. 1. 제1호 사이클론 에이벨 (Abele)
Abele영어은 2010년 12월 3일에 발생하여 12월 5일에 소멸한 사이클론이다. 최저 기압은 987 hPa, 10분 최대 풍속은 50노트(약 26 m/s), 1분 최대 풍속은 65노트(약 33 m/s)였다.3. 2. 제2호 사이클론 타샤 (Tasha)
Tasha영어는 2010년 12월 20일에 발생하여 12월 25일에 소멸한 사이클론이다. 최저 기압은 993 hPa, 10분 최대 풍속은 40노트(약 21 m/s)였다.[1]3. 3. 제3호 사이클론 빈스 (Vince)
Vince영어는 1월 10일에 발생하여 1월 15일에 소멸한 사이클론이다. 최저 기압은 986 hPa, 10분 최대 풍속은 40 노트, 1분 최대 풍속은 45 노트였다.3. 4. 제4호 강한 사이클론 젤리아 (Zelia)
사이클론 젤리아는 1월 12일에 발생하여 1월 16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43 hPa이었고, 10분 최대 풍속은 100 노트, 1분 최대 풍속은 95 노트였다.3. 5. 제5호 사이클론 안토니 (Anthony)
Anthony영어는 2011년 1월 22일에 발생하여 1월 31일에 소멸한 사이클론이다. 최저 기압은 989hPa, 10분 최대 풍속은 50노트, 1분 최대 풍속은 55노트였다.3. 6. 제6호 강한 사이클론 비안카 (Bianca)
Bianca영어는 1월 23일에 발생하여 1월 30일에 소멸하였다. 최저기압은 949hPa, 10분최대풍속은 95kt/h, 1분최대풍속은 95kt/h였다.3. 7. 제7호 강한 사이클론 야시 (Yasi)
제7호 강한 사이클론 야시는 1월 31일에 발생하여 2월 3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87 hPa, 10분 최대 풍속은 110 kt, 1분 최대 풍속은 135 kt였다.3. 8. 제8호 강한 사이클론 카를로스 (Carlos)
사이클론 카를로스는 2011년 2월 14일에 발생하여 2월 27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69 hPa이었고, 10분 최대 풍속은 65 노트, 1분 최대 풍속도 65 노트였다.3. 9. 제9호 강한 사이클론 다이앤 (Dianne)
Dianne영어은 2월 14일에 발생하여 2월 22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60 hPa, 10분 최대 풍속은 75 노트, 1분 최대 풍속은 80 노트였다.3. 10. 제10호 사이클론 25U
사이클론 25U는 2011년 3월 26일에 발생하여 4월 6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94 hPa, 10분 최대 풍속은 40 노트, 1분 최대 풍속은 35 노트였다.[1]3. 11. 제11호 강한 사이클론 에롤 (Errol)
Errol영어은 4월 13일에 발생하여 4월 18일에 소멸한 사이클론이다. 최저 기압은 985 hPa, 10분 최대 풍속은 65 kt/h, 1분 최대 풍속은 55 kt/h였다.참조
[1]
문서
호주 기준 3등급, SSHS 기준 1등급 이상의 사이클론
[2]
문서
호주 기준 1등급, SSHS 기준 열대폭풍급의 사이클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