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목성 충돌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목성 충돌 사건은 2010년 6월과 8월에 목성에서 관측된 두 차례의 충돌 사건을 말한다. 2010년 6월 3일, 아마추어 천문학자 안토니 웨슬리가 최초로 섬광을 촬영했으며, 크리스토퍼 고가 동영상을 공개했다. 섬광은 약 2초간 지속되었고, 충돌한 천체의 크기는 8~13m, 질량은 500~2,000톤으로 추정된다. 2010년 8월에도 섬광이 관측되었다. 목성은 이러한 충돌이 매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과학 - GFAJ-1
GFAJ-1은 고농도 비소 환경에서 생장하며 비소를 이용하여 생장할 수 있다는 논란이 있었던 박테리아이다. - 2010년 과학 - 2010년 7월 11일 일식
2010년 7월 11일 일식은 남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쿡 제도, 이스터 섬,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등에서 관측된 개기 일식으로, 특히 이스터 섬에서는 약 1,400년 만에 관측되어 많은 관광객과 과학자들이 방문했다.
2010년 목성 충돌사건 | |
---|---|
사건 개요 | |
제목 | 2010년 목성 충돌 사건 |
![]() | |
날짜 | 2010년 6월 3일 |
위치 | 목성 |
충돌체 크기 | |
추정 크기 | 8–13 m |
참고 문헌 |
2. 관측
2010년 6월 3일,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안토니 웨슬리가 목성 표면에서 발생한 섬광을 최초로 관측했으며, 필리핀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크리스토퍼 고가 이 현상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공개했다.[2][3][4] 섬광은 약 2초 동안 지속되었고,[2][5] 목성의 남적도대 부근에서 발생했다.[6] 충돌한 천체의 크기는 약 8m~13m, 질량은 500ton~2000ton으로 추정된다.[7] 2010년 8월 20일에도 목성에서 섬광 현상이 관측되었으며,[8] 최소 2명 이상의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이를 포착했다.[9]
2. 1. 2010년 6월 관측
2009년 목성 충돌사건을 처음 관측하였던 아마추어 천문학자 안토니 웨슬리가 2010년 6월 3일 최초로 촬영 및 보고하였고, 이후 필리핀의 크리스토퍼 고가 동영상을 공개하였다.[11][12][13]섬광은 약 2초 동안 지속되었으며,[11][14] 적도에서 50도가량 밑 지점에서 발생하였다.[15] 충돌한 천체의 크기는 8m~13m 정도, 질량은 500ton~2000ton가량으로 추정된다.[16] 목성은 이러한 충돌이 평균적으로 매해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16]
2. 2. 2010년 8월 관측
2010년 8월 20일 UT에 목성에서 또 다른 섬광 현상이 감지되었다.[17] 8월 23일 현재 최소 두 명이 이 사건을 관측했다고 알려져 있다.[18] 6월의 충돌 이후 두 달 만에 다시 섬광이 관측되면서, 목성에서의 소행성 충돌이 비교적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사실이 더욱 명확해졌다.3. 다른 충돌 사건
목성에서는 2010년 외에도 여러 차례 충돌 사건이 관측되었다. 1994년 슈메이커-레비 9 혜성이 목성과 충돌했고,[1] 2009년에는 지름 500m 가량의 천체가 충돌하여 검은 점을 남겼다.[11][20] 2012년에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1~2초가량 발생한 화구를 기록했으며, 충돌한 천체의 크기는 10m 미만으로 추정된다. 2016년에도 충돌 화구가 발견되었다.[21][22]
3. 1. 1994년
1994년 7월 슈메이커-레비 9 혜성이 분해되며 목성과 충돌하였다.[1]3. 2. 2009년

2009년 7월 19일 목성에 충돌 사건이 발생하여 대기권에 검은 점을 남겼다. 이 사건을 처음 보고한 사람은 2010년 충돌사건과 마찬가지로 안토니 웨슬리였다.[11] 허블 우주 망원경을 사용한 연구 결과, 충돌한 천체의 지름은 500m가량으로 밝혀졌다.[20]
3. 3. 2012년
2012년 9월 10일 아마추어 천문학자 단 피터슨이 1~2초가량 목성에서 발생한 화구를 기록하였다. 같은 날 조지 홀은 웹캠으로 목성을 촬영한 영상에서 충돌 순간을 포착하여 공개하였다. 충돌 위치는 경도 345도, 위도 +2도였으며, 충돌한 천체의 크기는 10m 미만으로 추정된다. 2012년 충돌은 전체적으로 2010년 충돌과 비슷하였다.3. 4. 2016년
2016년 3월 17일 오스트리아 아마추어 천문학자 게릿 게른바우어가 목성 충돌 화구를 발견하였고, 다른 아마추어 천문학자 존 맥키언의 관측 보고로 확인되었다.[21][22]참조
[1]
논문
First Earth-based Detection of a Superbolide on Jupiter
[2]
웹사이트
Jupiter hit by another impactor Thursday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10-06-03
[3]
웹사이트
Another impact on Jupiter
http://www.astronomy[...]
2010-06-04
[4]
웹사이트
Jupiter 2020 by Chris Go
http://www.christone[...]
[5]
뉴스
Australian amateur astronomer Anthony Wesley films Jupiter impact
http://www.dailytele[...]
2010-06-05
[6]
웹사이트
New impact on Jupiter before & after
http://alpo-j.asahik[...]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7]
웹사이트
WITHOUT A TRACE – A FLASH IN JUPITER'S SKY
http://www.gemini.ed[...]
Gemini Observatory
2010-09-09
[8]
웹사이트
Optical flash on Jupiter
http://chiron.mtk.na[...]
[9]
웹사이트
Another Flash on Jupiter!
http://www.skyandtel[...]
Sky Publishing
2010-08-22
[10]
저널
First Earth-based Detection of a Superbolide on Jupiter
[11]
웹인용
Jupiter hit by another impactor Thursday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10-06-03
[12]
웹인용
Another impact on Jupiter
http://www.astronomy[...]
2010-06-04
[13]
URL
http://www.christone[...]
[14]
뉴스
Australian amateur astronomer Anthony Wesley films Jupiter impact
http://www.dailytele[...]
2010-06-05
[15]
웹인용
New impact on Jupiter before & after
http://alpo-j.asahik[...]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16]
웹인용
WITHOUT A TRACE – A FLASH IN JUPITER'S SKY
http://www.gemini.ed[...]
Gemini Observatory
2010-09-09
[17]
웹인용
Optical flash on Jupiter
http://chiron.mtk.na[...]
[18]
웹인용
Another Flash on Jupiter!
http://www.skyandtel[...]
Sky Publishing
2010-08-22
[19]
뉴스
Hubble Takes Snapshot of Jupiter’s ‘Black Eye’
https://www.nytimes.[...]
2009-07-24
[20]
웹인용
Hubble Images Suggest Rogue Asteroid Smashed Jupiter
http://hubblesite.or[...]
2010-06-03
[21]
웹인용
Jupiter Got Whacked by Yet Another Asteroid/Comet!
http://www.slate.com[...]
2016-03-29
[22]
웹인용
Something Just Slammed Into Jupiter
https://gizmodo.com/[...]
2016-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