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FAJ-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FAJ-1은 미국 지질조사국의 과학자 펠리사 울프-사이먼이 발견한 박테리아로, 고농도의 비소를 포함하는 캘리포니아 모노 호수에서 분리되었다. 이 박테리아는 인 대신 비소를 사용하여 생장할 수 있다는 초기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으나, 이후 비소의 DNA 내 포함 여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었다. GFAJ-1은 극한 환경에서 생명체의 적응 연구에 중요한 사례로 여겨지며, 비소 내성 및 극한 환경 정화 기술 개발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병적 과학 - 상온 핵융합
상온 핵융합은 낮은 온도에서 핵융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하며, 1989년 발표되었으나 재현 실패와 이론적 근거 부족으로 과학계에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병적 과학 - 케랄라의 붉은 비
케랄라의 붉은 비는 2001년 인도 케랄라 주에서 발생한 현상으로, 붉은색 입자가 섞인 비가 내렸으며, 붉은 비의 주성분은 지의류의 포자로 밝혀졌다. - 비소 - 철-비소 기반 초전도체
철-비소 기반 초전도체는 2008년 발견된 고온 초전도체의 한 종류로, 다양한 조성을 가지며 초전도 특성 조절이 가능하고 구리 산화물 초전도체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낸다. - 비소 - 아쿠아 토파나
아쿠아 토파나는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유래된 맹독성 액체로, 무색무미하여 섭취를 알아차리기 어렵고, 화장품이나 성물로 위장되어 배우자를 독살하려는 여성들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유명인의 사망 원인 루머와도 관련되어 있다. - 극한생물 - 극한환경 미생물
극한환경 미생물은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미생물로, 환경 조건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다른 행성 생명체 연구에 단서를 제공하고 생물 정화나 생명공학, 특히 산업적으로 유용한 익스트리모자임에 활용된다. - 극한생물 - 극한환경
극한 환경은 온도, 방사선, 압력 등 생물이 살아가기 어려운 환경을 의미하며, 극지, 사막, 심해 등 다양한 곳에 존재하며, 이러한 환경에 적응한 극호성 생물 연구는 지구 밖 생명체 탐구에 기여한다.
GFAJ-1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도메인 | 세균 |
문 | 프로테오박테리아문 |
강 |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
목 | 해양나균목 |
과 | 할로모나스과(Halomonadaceae) |
발견 및 연구 | |
연구 | '인' 대신 '비소'를 사용하여 성장할 수 있는 세균 |
발표일 | 2010년 12월 2일 |
연구 저널 | 사이언스 |
연구진 | Felisa Wolfe-Simon Jodi Switzer Blum Thomas R. Kulp Gwyneth W. Gordon Shelley E. Hoeft Jennifer Pett-Ridge John F. Stolz Samuel M. Webb Peter K. Weber Paul C. W. Davies Ariel D. Anbar Ronald S. Oremland |
연구 결과 요약 | 이 세균은 인 대신 비소를 사용하여 성장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음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 비소가 DNA에 통합되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짐 |
논란 | |
초기 주장 | 비소를 사용하여 생존하는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됨 |
재검토 | 이후 연구에서 GFAJ-1은 비소에 대한 저항력이 있을 뿐이며, 인을 필요로 함이 밝혀짐 GFAJ-1의 DNA에서 비소가 검출되지 않음 |
비소 사용 능력 | 비소가 GFAJ-1의 DNA에 통합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 GFAJ-1은 비소 저항성이 있는 인 의존적 생물임 |
2. 발견
GFAJ-1 박테리아는 미국 지질조사국에 주재하던 나사 우주생물학 연구소의 지구미생물학자 펠리사 울프-사이먼이 발견하였다.[86] GFAJ는 “Give Felisa a Job.”(펠리사에게 일거리를)에서 따왔다.[87] 이 생물체는 그녀와 동료들이 캘리포니아주 모노호 바닥의 침전물에서 수집한 샘플에서 분리되어 2009년 초부터 배양되었다.[88] 모노 호는 염분이 매우 높고(약 90 g/L) 강한 알칼리성(pH 9.8)이며,[89] 세계에서 비소의 자연 농도가 가장 높은 장소 중 하나이다(200 μM).[79] 이 발견은 2010년 12월 2일에 널리 발표되었다.[80]
16S rRNA 서열에 기반한 분자 분석 결과, GFAJ-1은 할로모나스과 내 다른 호염성 박테리아와 가까운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0] 리보솜 DNA 서열에 근거한 GFAJ-1 및 가까운 박테리아들의 계통 분류는 아래와 같다.
3. 분류 및 계통
대장균 균주 O157:H7 알칼리성 할로모나스(Halomonas alkaliphila) 베누스타 할로모나스 균주 NBSL13 GFAJ-1 할로모나스 sp. GTW 할로모나스 sp. G27 할로모나스 sp. DH77 할로모나스 sp. mp3 할로모나스 sp. IB-O18 할로모나스 sp. ML-185
GFAJ-1 균주는 할로모나스속에 속하는 분기도를 나타내지만, 명확하게 할로모나스속으로 분류하지는 않았다.[79][78] GFAJ-1은 새로운 종이 아닌 할로모나스과의 한 균주로 언급되었다.[79]
3. 1. 종/균주 논란
논문에서 GFAJ-1은 할로모나스과의 한 균주로 언급되었으며 새로운 종은 아니었다.[79] 국제세균명명규약(박테리아의 분류를 결정하는 단체)은 박테리아가 새로운 종으로 인정받기 위한 특정 조건을 요구하는 지침을 명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16S rRNA 서열이 다른 종과 97% 이상 일치할 경우 새로운 종이 될 수 없다.[91]
분자 분석에 따르면, 16S rRNA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GFAJ-1은 할로필("염호성") 세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할로모나다세과(Halomonadaceae)에 속한다. 저자들은 이 균주가 ''할로모나스속''(Halomonas), 특히 ''H. 알칼리필라''(H. alkaliphila)와 ''H. 베누스타''(H. venusta)를 포함한 종들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클라도그램을 제작했지만,[11] 해당 속에 이 균주를 명시적으로 분류하지는 않았다.[1][5]
''사이언스'' 저널 논문에서 GFAJ-1은 새로운 종이 아닌 할로모나다세아과(Halomonadaceae)의 균주로 언급되었다.[1] 세균의 분류학을 관장하는 규정인 국제 세균 명명 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Bacteria)과 국제 계통 분류 및 진화 미생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의 특정 논문에는 새로운 종을 설명하기 위한 지침과 최소 기준이 포함되어 있다.[14] 생물체는 일반적으로 다른 알려진 종과의 16S rRNA 서열 동일성이 97% 미만[15]이고 서로 구별할 수 있게 하는 대사적 차이가 있는 등 특정 생리적 및 유전적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새로운 종으로 설명된다.
GFAJ-1 균주의 경우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며, 새로운 종이라고 주장되지 않는다.[1] 균주가 종에 할당되지 않은 경우 속 이름 뒤에 "sp."와 균주 이름이 붙는 경우가 많다. GFAJ-1의 경우 저자는 균주를 균주 명칭으로만 언급하기로 선택했다. GFAJ-1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균주로는 ''Halomonas'' sp. GTW 및 ''Halomonas'' sp. G27이 있는데, 이 둘 모두 유효한 종으로 설명되지 않았다.[18][19]
게놈 분류학 데이터베이스(Genome Taxonomy Database)는 R220 버전까지 GFAJ-1에 ''Halomonas sp002966495''라는 임시 종을 할당했다. 즉, 이 균주는 계통적으로 ''Halomonas'' 속에 속하며, 다른 정의된 종과의 전체 게놈 유사성이 충분히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R220 버전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이 균주를 2023년에 발표된 새로운 속인 ''Vreelandella''로 이동했다.[20]
4. 생화학적 특징 (논란)
초기 연구에서는 인산염이 없는 배지에 GFAJ-1을 배양하면서 비소산염 노출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초기 농도는 0.1mM이었고 최종적으로 40mM까지 증가했다. 비교 실험에는 비소산염이 없는 고농도 인산염(1.5mM) 배지나, 인산염과 비소산염이 모두 첨가되지 않은 배지를 사용했다. GFAJ-1은 인산염 또는 비소산염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세포 수가 여러 번 증가했지만, 인산염과 비소산염이 모두 없는 배지에서는 성장하지 못했다.[1]
비소산염을 공급받고 인산염이 부족한 GFAJ-1의 인 함량은 건조 중량 기준 0.019%로, 인산염이 풍부한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의 30분의 1에 불과했다. 이는 세포의 평균 비소 함량(건조 중량 기준 0.19%)의 약 10분의 1 수준이었다.[1] 그러나 세포의 비소 함량은 실험에 따라 편차가 커서, 일부 실험에서는 인 함량보다 낮았고 다른 실험에서는 최대 14배 더 높기도 했다.[21]
연구자들은 동위원소 표지된 비소산염을 이용해 비소의 분포를 추적했고, 비소가 세균의 단백질, 지질, ATP와 같은 대사산물, DNA와 RNA가 포함된 세포 분획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2] 흡수된 비소의 약 10분의 1이 핵산(DNA와 RNA) 분획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1]
그러나 이후 다른 연구진이 검증한 결과, GFAJ-1의 DNA에 비소산염이 포함되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24]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의 로즈메리 레드필드는 GFAJ-1이 액체 배양보다 고체 한천 배지에서 더 잘 자라며, 낮은 칼륨 수치가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22] 이후 비소산염이 성장을 약간 자극했지만, 배양액의 최종 밀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3]
결론적으로 GFAJ-1이 DNA의 인을 비소로 대체하여 생명 활동을 한다는 주장은 거의 확정적으로 부정되었다.[70][71][72]
4. 1. 비소산 에스터 안정성 문제
비소산 에스터는, 예를 들어 DNA에 존재하는 경우처럼, 일반적으로 해당 인산 에스터보다 수분해에 훨씬 덜 안정적이다.[25] DNA 구성 요소인 dAMP의 구조적 비소 유사체인 dAMAs는 중성 pH의 물에서 반감기가 40분이다.[26] 뉴클레오티드를 연결하는 아르세노디에스터 결합의 물에서의 반감기는 DNA의 포스포디에스터 결합의 3천만 년과 비교하여 0.06초 정도로 짧게 추정된다.[27]5. 과학계의 비판과 반박
NASA의 발표는 과장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많은 전문가들은 GFAJ-1 연구가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34] 화학자 스티븐 베너(Steven A. Benner)는 실험실 배양 배지의 미량 원소 오염 물질이 세포에 필요한 인을 공급하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했다.[2][29]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의 미생물학자 로즈메리 레드필드(Rosemary Redfield)는 실험에 결론을 제대로 검증하는 데 필요한 세척 단계와 대조군이 부족하다고 말했다.[36] 하버드 대학교의 미생물학자 알렉스 브래들리(Alex Bradley)는 비소를 포함하는 DNA는 물속에서 매우 불안정하여 분석 절차를 거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38][39]
2012년,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의 로지 레드필드 연구팀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GFAJ-1의 DNA를 분석했지만 비소를 검출하지 못했다.[56] 이는 원 논문의 발견에 대한 "명백한 반박"이라고 불렸다.[56] 마이애미 대학교 연구팀은 비소산염이 리보솜의 분해를 유도하여 비소 내성 세균의 느린 성장에 충분한 인산염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다.[58]
참조
[1]
논문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https://digital.libr[...]
2010-12-02
[2]
뉴스
Arsenic-eating microbe may redefine chemistry of life
http://www.nature.co[...]
2010-12-02
[3]
뉴스
Arsenic-loving bacteria may help in hunt for alien life
https://www.bbc.co.u[...]
2010-12-02
[4]
뉴스
Studies refute arsenic bug claim
https://www.bbc.co.u[...]
2012-07-10
[5]
논문
GFAJ-1 Is an Arsenate-Resistant, Phosphate-Dependent Organism
2012-07-08
[6]
블로그
RRResearch
http://rrresearch.fi[...]
2012-01-16
[7]
논문
Absence of Detectable Arsenate in DNA from Arsenate-Grown GFAJ-1 Cells
2012-07-08
[8]
웹사이트
Searching for Alien Life, on Earth
http://www.astrobio.[...]
Astrobiology Magazine (NASA)
2010-12-02
[9]
뉴스
The 'Give Me a Job' Microbe
https://www.wsj.com/[...]
2010-12-05
[10]
논문
The ecology of arsenic
http://www.niehs.nih[...]
2003-05-09
[11]
논문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Supporting online material
2010-12-02
[12]
논문
Arsenic and selenium in microbial metabolism
2006
[13]
웹사이트
Halomonas sp. GFAJ-1
https://www.ncbi.nl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1-12-11
[14]
논문
Recommended minimal standards for describing new taxa of the family Halomonadaceae
[15]
논문
Taxonomic parameters revisited: tarnished gold standards
http://www.sgm.ac.uk[...]
2006
[16]
서적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Bacteria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1992
[17]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www.bacterio.[...]
2010-12-11
[18]
논문
A novel moderately halophilic bacterium for decolorizing azo dye under high salt condition
2008
[19]
논문
Adaptative potential of alkaliphilic bacteria towards chloroaromatic substrates assessed by a gfp-tagged 2,4-D degradation plasmid
2007
[20]
웹사이트
GTDB - GCF_002966495.1
https://gtdb.ecogeno[...]
[21]
웹사이트
Geobiochemistry: Microbes and the four basic strategies for Life on Earth
http://dels.nas.edu/[...]
2011-01-26
[22]
웹사이트
RRResearch: Two mistakes discovered
http://rrresearch.bl[...]
[23]
웹사이트
RRResearch: Growth of GFAJ-1 in arsenate
http://rrresearch.fi[...]
[24]
웹사이트
The CsCl/mass spectrometry data
http://rrresearch.fi[...]
rrresearch.fieldofscience.com
2012-01-16
[25]
논문
Why nature chose phosphates
http://academic.ever[...]
1987-06-06
[26]
논문
Arsenic mononucleotides. Separation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identification with myokinase and adenylate deaminase
1984
[27]
논문
Kinetic Consequences of Replacing the Internucleotide Phosphorus Atoms in DNA with Arsenic
[28]
논문
Characterization of Polyhydroxyalkanoate Synthases from Halomonas sp. O-1 and Halomonas elongata DSM2581: Site-Directed Mutagenesis and Recombinant Expression
2014
[29]
뉴스
Thriving on arsenic
http://www.astrobio.[...]
Astrobiology Magazine (NASA)
2010-12-11
[30]
논문
Poly(β-hydroxybutyrate) production by a moderate halophile, Halomonas boliviensis LC1
2006-01
[31]
논문
Bioenergetic aspects of halophilism
https://www.scopus.c[...]
1999-06
[32]
잡지
Curb your enthusiasm for aliens, NASA
https://www.newscien[...]
2010-12-09
[33]
웹사이트
MEDIA ADVISORY : M10-167, NASA Sets News Conference on Astrobiology Discovery; Science Journal Has Embargoed Details
http://www.nasa.gov/[...]
2010-12-20
[34]
논문
Arsenic Bacteria Breed Backlash
2010
[35]
뉴스
The Discovery of Arsenic-Based Twitter
http://www.slate.com[...]
2011-05-29
[36]
웹사이트
Arsenic-associated bacteria (NASA's claims)
http://rrresearch.bl[...]
2010-12-04
[37]
웹사이트
My Letter to Science
http://rrresearch.bl[...]
2010-12-08
[38]
뉴스
Scientists see fatal flaws in the NASA study of arsenic-based life
http://www.slate.com[...]
2010-12-07
[39]
웹사이트
Arsenate-based DNA: a big idea with big holes
http://scienceblogs.[...]
2010-12-05
[40]
웹사이트
Response to Questions Concerning the Science Article
http://ironlisa.com/[...]
2010-12-16
[41]
웹사이트
NASA Science Seminar: Arsenic and the Meaning of Life
http://www.monolake.[...]
2010-12-21
[42]
웹사이트
Author of controversial arsenic paper speaks
http://news.sciencem[...]
Science
2010-12-08
[43]
논문
Comment on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2011-05-27
[44]
논문
Comment on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2011-05-27
[45]
논문
Comment on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2011
[46]
논문
Comment on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2011
[47]
논문
Comment on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2011
[48]
논문
Comment on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2011
[49]
논문
Comment on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2011
[50]
논문
Comment on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2011
[51]
뉴스
Study of Arsenic-Eating Microbe Finds Doubters
https://www.npr.org/[...]
NPR
2011-05-30
[52]
논문
Response to Comments on "A Bacterium That Can Grow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https://digital.libr[...]
2011
[53]
논문
Editor's Note
2011
[54]
논문
Life and death with arsenic
2011
[55]
논문
Response to Comments on 'A Bacterium That Can Grow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2011-05-27
[56]
웹사이트
Study challenges existence of arsenic-based life
http://www.nature.co[...]
2012-01-20
[57]
웹사이트
Scientists say NASA's 'new arsenic form of life' was untrue
https://phys.org/new[...]
2012-07-09
[58]
논문
Growth of a bacterium that apparently uses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is a consequence of massive ribosome breakdown
2012-08-17
[59]
웹사이트
Despite refutation, Science arsenic life paper deserves retraction, scientist argues
http://retractionwat[...]
Retraction Watch
2012-07-09
[60]
웹사이트
Why one biologist says it's not too late to retract the "arsenic life" paper
https://retractionwa[...]
2021-01-21
[61]
뉴스
Arsenic-loving bacteria may help in hunt for alien life
http://www.bbc.co.uk[...]
2010-12-02
[62]
뉴스
Arsenic-Eating Bacteria Opens New Possibilities for Alien Life
http://www.space.com[...]
Space.com
2010-12-02
[63]
웹사이트
NASA、ヒ素で増殖する細菌を発見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10-12-03
[64]
서적
アラマタ生物事典
講談社
2011
[65]
웹사이트
Searching for Alien Life, on Earth
http://www.astrobio.[...]
Astrobiology Magazine (NASA)
2009-10-05
[66]
논문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67]
뉴스
Arsenic-eating microbe may redefine chemistry of life
http://www.nature.co[...]
2010-12-02
[68]
논문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Supporting online material
http://www.sciencema[...]
2010-12-02
[69]
웹사이트
NASA、ヒ素で成長の細菌発見 異なる生命要素か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0-12-03
[70]
웹사이트
http://www.sciencema[...]
[71]
웹사이트
Arsenic-Life Discovery Debunked—But "Alien" Organism Still Odd
https://www.national[...]
2023-11-27
[72]
웹사이트
startling-discovery-debunked-bacteria-survive-arsenic
http://abcnews.go.co[...]
[73]
웹사이트
「砒素で生きる細菌」に疑問の声
https://wired.jp/201[...]
2011-10-14
[74]
웹사이트
「ヒ素利用細菌」発見を否定=リンで生存、地球外生命関係なし
http://www.jiji.com/[...]
2012-07-12
[75]
웹사이트
concerns-aired-about-arsenic-con
http://news.sciencem[...]
[76]
웹사이트
Bad-Science-Aggressive-Marketing---the-Arsenic-Bacteria-Fiasco-
http://www.philly.co[...]
[77]
웹사이트
despite-refutation-science-arsenic-life-paper-deserves-retraction-scientist-argues
http://retractionwat[...]
[78]
문서
균주(菌株): 동종의 다른 계체와는 몇 가지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최종 구분단위.
[79]
논문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http://www.ironlisa.[...]
2011-01-01
[80]
뉴스
Arsenic-eating microbe may redefine chemistry of life
http://www.nature.co[...]
2010-12-02
[81]
뉴스
Arsenic-loving bacteria may help in hunt for alien life
http://www.bbc.co.uk[...]
2010-12-02
[82]
뉴스
Studies refute arsenic bug claim
https://www.bbc.co.u[...]
2012-07-10
[83]
논문
GFAJ-1 Is an Arsenate-Resistant, Phosphate-Dependent Organism
2012-07-08
[84]
웹사이트
RRResearch
http://rrresearch.fi[...]
2012-01-16
[85]
논문
Absence of Detectable Arsenate in DNA from Arsenate-Grown GFAJ-1 Cells
2012-07-08
[86]
웹인용
Searching for Alien Life, on Earth
http://www.astrobio.[...]
Astrobiology Magazine (NASA)
2009-10-05
[87]
뉴스
The 'Give Me a Job' Microbe
http://online.wsj.co[...]
월스트리트 저널
2010-12-04
[88]
뉴스
Thriving on arsenic
http://www.astrobio.[...]
Astrobiology Magazine (NASA)
2010-12-02
[89]
논문
The ecology of arsenic
http://www.niehs.nih[...]
2003-05-09
[90]
논문
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Supporting online material
http://www.sciencema[...]
2010-12-02
[91]
논문
Taxonomic parameters revisited: tarnished gold standards
http://www.sgm.ac.uk[...]
2010-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