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계 올림픽 자메이카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하계 올림픽 자메이카 선수단은 육상에서 4개의 금메달, 5개의 은메달, 4개의 동메달을 획득하여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육상에서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우사인 볼트 등이 메달을 획득했으며, 수영과 승마, 태권도 종목에도 선수들이 출전했으나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자메이카 - 허리케인 샌디
허리케인 샌디는 2012년 카리브해에서 발생하여 미국 동부 해안에 상륙한 강력한 열대성 폭풍으로, 254명의 사망자와 막대한 재산 피해를 발생시키고, 샌디라는 이름은 퇴출되었다. - 하계 올림픽 자메이카 선수단 - 1960년 하계 올림픽 영국령 서인도 선수단
1960년 하계 올림픽 영국령 서인도 선수단은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바베이도스 선수들로 구성되어 육상 등 여러 종목에 출전했으며, 육상에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 하계 올림픽 자메이카 선수단 - 1968년 하계 올림픽 자메이카 선수단
196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자메이카 선수단은 육상, 사이클, 복싱, 요트, 체조 4개 종목에 23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육상 남자 400m 계주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한 중국 선수단은 396명의 선수들이 출전하여 금메달 38개, 은메달 31개, 동메달 22개로 종합 2위를 기록했으며, 다이빙, 체조, 수영, 배드민턴, 역도, 탁구 등에서 강세를 보였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은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역도에서 획득한 금메달이 도핑으로 박탈되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자메이카 선수단 | |
---|---|
올림픽 정보 | |
NOC | JAM |
NOC 명칭 | 자메이카 올림픽 협회 |
올림픽 참가 종류 | 하계 올림픽 |
개최 연도 | 2012 |
개최 도시 | 런던 |
참가 선수 | 50 |
참가 종목 수 | 4 |
기수 (개막식) | 우사인 볼트 |
기수 (폐막식) | 한슬 파치먼트 |
메달 순위 | 18 |
금메달 | 4 |
은메달 | 5 |
동메달 | 4 |
공식 웹사이트 | 자메이카 올림픽 협회 공식 웹사이트 |
이전 참가 | (1960) |
2. 메달 집계
자메이카 선수단은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 4개, 은메달 5개, 동메달 4개를 획득하여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 역대 최다 메달 기록을 세웠다.[1] 이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의 성과를 뛰어넘는 것이다.
우사인 볼트는 남자 100m에서 9.63초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고, 남자 4 × 100m 계주에서 세계 신기록(36.84초)을 세우는 등 3관왕을 차지하며 올림픽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요한 블레이크와 워렌 위어는 각각 남자 200m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했다.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는 여자 1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타이틀을 방어했다.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 | 우사인 볼트 | 육상 | 남자 100m |
-- | 우사인 볼트 | 육상 | 남자 200m |
-- | 네스타 카터, 마이클 프레이터, 요한 블레이크, 우사인 볼트 | 육상 | 남자 4 x 100m 계주 |
-- | 셰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 육상 | 여자 100m |
-- | 요한 블레이크 | 육상 | 남자 100m |
-- | 요한 블레이크 | 육상 | 남자 200m |
-- | 셰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 육상 | 여자 200m |
-- | 셰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셰론 심슨, 베로니카 캠벨-브라운, 케론 스튜어트 | 육상 | 여자 4 x 100m 계주 |
-- | 크리스틴 데이, 로즈마리 화이트, 셰리카 윌리엄스, 노블린 윌리엄스-밀스 | 육상 | 여자 4 x 400m 계주[6] |
-- | 워렌 위어 | 육상 | 남자 200m |
-- | 한즐 파치먼트 | 육상 | 남자 110m 허들 |
-- | 베로니카 캠벨-브라운 | 육상 | 여자 100m |
-- | 카리스 스펜서 | 육상 | 여자 400m 허들[7] |
2. 1. 종목별 참가 선수 및 메달 집계
종목 | 참가 선수 | -- | -- | -- | 합계 |
---|---|---|---|---|---|
육상 | 42 | 4 | 5 | 4 | 13 |
합계 | 4 | 5 | 4 | 13 |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 | 우사인 볼트 | 육상 | 남자 100m |
-- | 우사인 볼트 | 육상 | 남자 200m |
-- | 네스타 카터, 마이클 프레이터, 요한 블레이크, 우사인 볼트 | 육상 | 남자 4 x 100m 계주 |
-- | 셰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 육상 | 여자 100m |
-- | 요한 블레이크 | 육상 | 남자 100m |
-- | 요한 블레이크 | 육상 | 남자 200m |
-- | 셰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 육상 | 여자 200m |
-- | 셰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셰론 심슨, 베로니카 캠벨-브라운, 케론 스튜어트 | 육상 | 여자 4 x 100m 계주 |
-- | 크리스틴 데이, 로즈마리 화이트, 셰리카 윌리엄스, 노블린 윌리엄스-밀스 | 육상 | 여자 4 x 400m 계주[6] |
-- | 워렌 위어 | 육상 | 남자 200m |
-- | 한즐 파치먼트 | 육상 | 남자 110m 허들 |
-- | 베로니카 캠벨-브라운 | 육상 | 여자 100m |
-- | 카리스 스펜서 | 육상 | 여자 400m 허들[7] |
첫 번째 표에서 역도 종목이 누락되어 육상 종목의 메달 집계만 남기고 삭제했습니다. 두 번째 표의 메달 아이콘을 추가하고, 첫 번째 표와 열 개수를 맞추었습니다.
2. 2. 메달리스트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 육상 | 여자 100m | 8월 4일 | |
우사인 볼트 | 육상 | 남자 100m | 8월 5일 | |
우사인 볼트 | 육상 | 남자 200m | 8월 9일 | |
케마르 베일리콜*, 요한 블레이크, 우사인 볼트, 네스타 카터, 마이클 프레이터 | 육상 | 남자 4 × 100m 계주 | 8월 11일 | |
요한 블레이크 | 육상 | 남자 100m | 8월 5일 | |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 육상 | 여자 200m | 8월 8일 | |
요한 블레이크 | 육상 | 남자 200m | 8월 9일 | |
실로니 캘버트*, 베로니카 캠벨브라운,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사만다 헨리-로빈슨*, 셔론 심슨, 캐론 스튜어트 | 육상 | 여자 4 × 100m 계주 | 8월 10일 | |
크리스틴 데이, 셰리파 로이드, 로즈마리 와이트, 셰리카 윌리엄스, 노블린 윌리엄스-밀스 | 육상 | 여자 4 × 400m 계주 | 8월 11일 | |
베로니카 캠벨브라운 | 육상 | 여자 100m | 8월 4일 | |
한슬 파치먼트 | 육상 | 남자 110m 허들 | 8월 8일 | |
워런 와이어 | 육상 | 남자 200m | 8월 9일 | |
칼리즈 스펜서 | 육상 | 여자 400m 허들 | 8월 8일 |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자메이카 육상 선수단은 금메달 4개, 은메달 5개, 동메달 4개로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자메이카 선수단 역사상 최다 메달을 기록했다.[1] 특히 우사인 볼트는 남자 100m와 200m에서 올림픽 2연패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뤘다.
* - 예선만 출전; ** - 결선만 출전
3. 육상
자메이카는 1964년 이후 독립 국가 자격으로 16번째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런던 올림픽에서 역대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1] 50명의 선수단 중 18명이 메달을 획득했으며, 우사인 볼트, 요한 블레이크,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베로니카 캠벨-브라운은 여러 개의 메달을 목에 걸었다.[1]
우사인 볼트는 남자 100m에서 9.63초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고, 남자 4 × 100m 계주에서 세계 신기록(36.84초)을 수립하며 3관왕에 올랐다.[1] 그는 남자 200m에서도 우승하며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해당 종목 2연패를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1] 요한 블레이크와 워렌 위어는 각각 200m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했다.[1]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는 여자 1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타이틀을 방어했고, 베로니카 캠벨-브라운은 동메달을 차지했다.[1]메달 선수 종목 세부 종목 우사인 볼트 육상 남자 100m 우사인 볼트 육상 남자 200m 네스타 카터, 마이클 프레이터, 요한 블레이크, 우사인 볼트 육상 남자 4 x 100m 계주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육상 여자 100m 요한 블레이크 육상 남자 100m 요한 블레이크 육상 남자 200m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육상 여자 200m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셰론 심슨, 베로니카 캠벨-브라운, 케론 스튜어트 육상 여자 4 x 100m 계주 크리스틴 데이, 로즈마리 와이트, 셰리카 윌리엄스, 노블린 윌리엄스-밀스 육상 여자 4 x 400m 계주[6] 워렌 위어 육상 남자 200m 한즐 파치먼트 육상 남자 110m 허들 베로니카 캠벨-브라운 육상 여자 100m 칼리세 스펜서 육상 여자 400m 허들[7]
3. 1. 남자 (육상)
2012년 하계 올림픽 자메이카 남자 육상 선수단은 트랙 및 도로 종목과 필드 종목에 참가했다.
트랙 및 도로 종목에서는 우사인 볼트가 100m와 200m에서 금메달, 요한 블레이크가 100m와 200m에서 은메달, 워렌 위어가 2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아사파 파월은 100m에서 8위를 기록했다. 케마르 베일리-콜, 요한 블레이크, 우사인 볼트, 네스타 카터, 마이클 프레이터는 4 × 100m 계주에서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한슬레 파치먼트는 110m 허들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반면, 400m와 4 × 400m 계주에서는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필드 종목에서는 다마르 포브스 (멀리뛰기), 도리안 스콧 (포환던지기), 제이슨 모건과 트래비스 스마클 (원반던지기)이 참가했으나, 모두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3. 1. 1. 트랙 / 도로 경기
요한 블레이크
우사인 볼트
네스타 카터
마이클 프레이터4 × 100m 계주 37.39 1 Q colspan=4 | 36.84 저메인 곤잘레스
라이커 하이턴
데인 하이엇
러스힌 맥도날드
에롤 놀란
에디노 스틸4 × 400m 계주 colspan=2| colspan=4 | 진출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