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2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동태평양 허리케인은 2012년에 발생한 태평양 허리케인 시즌에 대한 내용이다. 이 시즌은 5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였으며, 평균보다 많은 17개의 열대 폭풍, 10개의 허리케인, 5개의 메이저 허리케인이 발생했다. 특히 허리케인 칼로타와 폴은 육지에 피해를 입혔으며, 총 8명의 사망자와 약 2800만 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자연재해 - 2012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2012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은 19개의 열대 폭풍 중 10개가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여 미국 동부 해안에 큰 피해를 준 허리케인 샌디를 포함, 평균보다 많은 열대 폭풍과 허리케인이 발생했고, 시즌 후 4개의 허리케인 이름이 은퇴했다.
  • 2012년 자연재해 - 2012~2013년 남태평양 사이클론
    2012~2013년 남태평양 사이클론 시즌은 2012년 1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남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 활동으로, 에반, 프레다, 개리, 헬리, 산드라 등의 주요 사이클론이 사모아, 피지, 바누아투, 뉴칼레도니아, 뉴질랜드 등지에 주택 파괴, 홍수, 산사태 등의 피해를 입히고 인명 피해도 발생시켰다.
2012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정보
기저동태평양
연도2012년
추적image_file: 2012 Pacific hurricane season summary map.png
첫 폭풍 형성2012년 5월 14일
마지막 폭풍 소멸2012년 11월 3일
가장 강력한 폭풍 이름에밀리아
가장 강력한 폭풍 기압945
가장 강력한 폭풍 풍속120
평균 풍속1
총 저기압17
총 폭풍17
총 허리케인10
총 강렬한 허리케인5
ACE 지수98.2
피해액28
사망자8명 (총)
이전 시즌2010
현재 시즌2012
다음 시즌2014
시즌 타임라인2012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타임라인
대서양 시즌2012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서태평양 시즌2012년 태풍
북인도양 시즌2012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통계
열대성 폭풍 발생 수17개
허리케인 발생 수10개
주요 허리케인 발생 수5개

2. 시즌별 예보

각 태평양 허리케인 계절에 앞서, 미국 국립 해양 대기청(NOAA)의 기후 예측 센터(CPC)와 멕시코의 국립 기상청(SMN)은 허리케인 활동에 대한 예측을 발표한다. 여기에는 특정 연도의 열대성 폭풍, 허리케인 및 강력 허리케인의 수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요소의 주간 및 월간 변화가 포함된다. NOAA에 따르면, 1971년에서 2006년 사이의 동태평양 허리케인 계절은 평균적으로 약 15개의 열대성 폭풍, 8개의 허리케인, 3개의 강력 허리케인과 거의 정상적인 누적 사이클론 에너지(ACE) 지수 113을 보였다.[1] 일반적으로 ACE는 열대성 또는 아열대성 폭풍의 강도에 그 존재 기간을 곱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ACE는 시속 39mph 이상의 풍속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특정 열대성 및 아열대성 시스템에 대한 전체 자문에서만 계산된다. NOAA는 일반적으로 누적 ACE 지수를 기준으로 계절을 평균 이상, 평균 또는 평균 이하로 분류하지만, 허리케인 계절 내의 열대성 폭풍, 허리케인 및 강력 허리케인의 수도 때때로 고려된다.[1]

출처날짜명명된 폭풍허리케인강력 허리케인
평균 (1971-2006)15.38.84.2
역대 최고 활동2716 (공동 1위)11
역대 최저 활동8 (공동 1위)30 (공동 1위)
기후 예측 센터(CPC)2012년 5월 24일12–185–92–5
실제 활동17105


2. 1. 기후 예측 센터(CPC)의 예측

기후 예측 센터(CPC)는 2012년 5월 24일에 2012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전망을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정상 이하의 계절이 될 확률을 30%, 정상에 가까운 계절이 될 확률을 50%, 정상 이상의 계절이 될 확률을 20%로 예측했다.[2] 기후학자들은 12~18개의 명명된 폭풍이 발생하고, 그중 5~9개가 허리케인으로, 2~5개가 강력 허리케인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했다.[2]

이러한 예측의 이유는 증가된 바람 시어, 여름 후반기에 엘니뇨-남방 진동(ENSO) 중립 조건에 대한 높은 예상, 그리고 계절 초에 남아있는 라니냐 조건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미 시즌 초에 2개의 명명된 시스템(열대성 폭풍 1개와 강력 허리케인 1개)이 발생한 상태였다.[2]

2. 2. 실제 활동

2012년 동태평양에서는 예년보다 약간 많은 허리케인이 발생했다. 평균적으로 열대폭풍 16개, 허리케인 9개, 메이저 허리케인 4개가 발생하는데, 2012년에는 각각 17개, 10개, 5개가 발생했다. 폭풍누적에너지(ACE)는 약 98로, 평균 범위 안에 들었다. 육지에 피해를 준 허리케인으로는 허리케인 칼로타와 허리케인 폴이 있었다. 한편, 전년과 마찬가지로 중태평양에서는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지 않았다.

출처날짜명명된 폭풍허리케인강력 허리케인
평균 (1971-2006)15.38.84.2
역대 최고 활동2716 (공동 1위)11
역대 최저 활동8 (공동 1위)30 (공동 1위)
기후 예측 센터(CPC)2012년 5월 24일12–185–92–5
실제 활동17105



2012년 5월 14일, 시즌 첫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여 곧 열대폭풍 알레타로 발달했다. 알레타는 최대 풍속 50mph에 도달한 후 약화되어 5월 19일에 소멸했다.[6]

3. 타임라인

2012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동안 발생한 모든 허리케인과 열대폭풍은 아래와 같이 시간 순서대로 나열된다.

이름기간최대 풍속
5월알레타 (TS)5월 14일 ~ 5월 19일62km/h
버드 (C3)5월 20일 ~ 5월 26일178km/h
6월칼로타 (C2)6월 14일 ~ 6월 16일154km/h
7월다니엘 (C3)7월 4일 ~ 7월 12일178km/h
에밀리아 (C4)7월 7일 ~ 7월 15일209km/h
파비오 (C2)7월 12일 ~ 7월 18일154km/h
8월길마 (C1)8월 7일 ~ 8월 11일119km/h
헥터 (TS)8월 11일 ~ 8월 16일62km/h
일레아나 (C1)8월 27일 ~ 9월 2일119km/h
9월존 (TS)9월 2일 ~ 9월 4일62km/h
크리스티 (TS)9월 12일 ~ 9월 17일62km/h
레인 (C1)9월 15일 ~ 9월 19일119km/h
미리암 (C3)9월 22일 ~ 9월 27일178km/h
노먼 (TS)9월 28일 ~ 9월 29일62km/h
10월올리비아 (TS)10월 6일 ~ 10월 8일62km/h
폴 (C3)10월 13일 ~ 10월 17일178km/h
로사 (TS)10월 30일 ~ 11월 3일62km/h



7월 12일에 활동 중인 3개의 열대 저기압. 왼쪽부터 다니엘, 에밀리아, 파비오.

3. 1. SHSS

이름기간최대 풍속
5월알레타 (TS)5월 14일 ~ 5월 19일63km/h ~ 118km/h
버드 (C3)5월 20일 ~ 5월 26일178km/h ~ 208km/h
6월칼로타 (C2)6월 14일 ~ 6월 16일154km/h ~ 177km/h
7월다니엘 (C3)7월 4일 ~ 7월 12일178km/h ~ 208km/h
에밀리아 (C4)7월 7일 ~ 7월 15일209km/h ~ 251km/h
파비오 (C2)7월 12일 ~ 7월 18일154km/h ~ 177km/h
8월길마 (C1)8월 7일 ~ 8월 11일119km/h ~ 153km/h
헥터 (TS)8월 11일 ~ 8월 16일63km/h ~ 118km/h
일레아나 (C1)8월 27일 ~ 9월 2일119km/h ~ 153km/h
9월존 (TS)9월 2일 ~ 9월 4일63km/h ~ 118km/h
크리스티 (TS)9월 12일 ~ 9월 17일63km/h ~ 118km/h
레인 (C1)9월 15일 ~ 9월 19일119km/h ~ 153km/h
미리암 (C3)9월 22일 ~ 9월 27일178km/h ~ 208km/h
노먼 (TS)9월 28일 ~ 9월 29일63km/h ~ 118km/h
10월올리비아 (TS)10월 6일 ~ 10월 8일63km/h ~ 118km/h
폴 (C3)10월 13일 ~ 10월 17일178km/h ~ 208km/h
로사 (TS)10월 30일 ~ 11월 3일63km/h ~ 118km/h



2012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은 공식적으로 5월 15일에 시작되었고, 중태평양에서는 6월 1일에 시작되었으며, 두 지역 모두 11월 30일에 종료되었다.[3] 시즌은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공식 시작일 하루 전인 5월 14일에 열대 폭풍 아레타가 발생하면서 시작되었다. 5월 20일에는 시즌 두 번째로 명명된 폭풍인 허리케인 버드가 형성되어 사피어-심슨 허리케인 풍력 등급에서 3등급 허리케인으로 강화되었는데, 이는 시즌 첫 번째 주요 허리케인이었다.[3]

6월에는 허리케인 칼로타가 2등급 허리케인으로 강화되어 멕시코 남서부에 상륙, 7명의 사망자와 약 12400000USD의 피해를 입혔다.[9][13][14] 7월에는 3개의 열대 저기압이 형성되었으며, 그 중 2개는 주요 허리케인이었다. 허리케인 에밀리아는 4등급 허리케인으로 강화되어 2012년 시즌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되었다. 7월 12일 허리케인 파비오가 형성되면서, 시즌은 평년보다 한 달 앞섰다.[4]

8월에는 길마와 일레아나를 포함하여 3개의 열대 저기압이 형성되었고, 그 중 2개가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 9월은 5개의 명명된 폭풍이 형성되었고, 그 중 2개는 허리케인이 된 가장 바쁜 달이었다. 9월 22일에 형성된 허리케인 미르함은 시즌의 네 번째 주요 허리케인이었다. 10월에는 3개의 명명된 폭풍이 형성되었으며, 그 중 하나는 시즌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주요 허리케인인 허리케인 폴이었다. 허리케인 폴은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에 피해를 입혔으며, 총 피해액은 약 15500000USD로 추산되었다. 시즌은 10월 30일 열대 폭풍 로사의 형성으로 마무리되었으며, 이 폭풍은 11월 3일에 소멸되었다.

중태평양 허리케인 센터의 관할 구역에서는 폭풍 활동이 평년보다 낮았으며, 이 지역에서는 열대 저기압이 형성되지 않았다. 하지만 허리케인 다니엘이 열대 폭풍으로 중태평양으로 진입했다. 2012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의 누적 사이클론 에너지 (ACE) 지수는 98.5 단위였다.[5]

4. 활동한 허리케인

2012년 동태평양에서는 여러 허리케인과 열대폭풍이 활동했다. 그 중 하나가 허리케인 대니엘이었다.

6월 20일 아프리카 해안에서 발생한 열대 파동은 서쪽으로 이동하여 7월 4일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했고, 24시간 후 열대폭풍 다니엘로 강화되었다. 초기에는 동풍 시어가 있었지만, 바람이 약해지면서 7월 7일 위성에서 눈이 나타나며 허리케인이 되었다. 7월 8일에는 풍속 115mph의 3등급 허리케인으로 최고조에 달했다.

그러나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더 차가운 해역과 건조한 공기를 만나 약화되기 시작했다. 7월 10일에는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고, 중앙 태평양으로 진입한 직후인 7월 11일에는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이후 7월 12일까지 잔존 저기압으로 변질되었고, 7월 14일 초에 기압골로 변했다.[15]

4. 1. 동태평양 (NHC)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는 동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을 감시하고 예보하는 역할을 한다. 2012년에는 이 구역에서 여러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하여 활동했다.

7월에는 열대폭풍 에밀리아가 발생했다. 6월 23일 아프리카를 떠난 열대 파동이 7월 4일 동태평양으로 진출하여 7월 7일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했고, 6시간 후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 에밀리아는 빠르게 서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7월 9일 허리케인으로 발달했고, 7월 10일에는 풍속 140mph의 카테고리 4등급 메이저 허리케인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이후 눈벽 교체 주기를 겪으며 약화되었지만, 다시 카테고리 3등급으로 일시적으로 강화되기도 했다. 에밀리아는 7월 13일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고, 7월 15일에는 잔해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잔해는 서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7월 18일 하와이 남쪽에서 소멸했다.[16]

이 외에도 5월부터 11월까지 알레타, 버드, 칼로타, 대니엘, 파비오, 길마, 헥터, 일리나, 존, 크리스티, 레인, 미리암, 노르만, 올리비아, 폴, 로사 등 다수의 열대폭풍과 허리케인이 발생하여 동태평양 해상을 지나갔다.

4. 1. 1. 제1호 열대폭풍 알레타

5월 12일,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에서 멕시코 아카풀코 남남서쪽 약 890 km 지점에 위치한 열대 요란을 주시하기 시작했다. 5월 14일 새벽, 이 열대 요란은 북서진하면서 제1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같은 날, 열대저기압은 더 발달하여 "알레타"(Aletta)라는 이름의 열대폭풍이 되었다. 5월 16일, 열대폭풍 알레타는 최고풍속 45kt, 최저기압 1000hPa를 기록했으나, 윈드 시어가 증가하고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같은 날 밤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대류활동이 둔해지면서 이동 방향을 서북서쪽으로 틀었다. 5월 17일 밤, 북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둔해졌던 대류활동이 다시 활발해졌으나, 다음 날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서쪽과 남쪽의 대류활동이 완전히 사라졌다. 5월 19일, 열대저기압 알레타는 대류활동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5월 21일 완전히 소멸하였다.

4. 1. 2. 제2호 메이저 허리케인 버드

5월 12일 파나마 근처에서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이 저기압은 점차 발달했고, 5월 15일부터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의 주시를 받게 되었다. 이 저기압이 서북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대류가 활발해지는 등 크게 발달하였으나 5월 17일에 증가한 윈드 시어로 인해 약화되었고, 5월 20일에 다시 급격히 발달하면서 5월 21일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이 저기압을 제2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하였다. 그리고 다음날에는 열대폭풍 버드(Bud)로 발달하였다. 5월 23일부터는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하여 5월 24일 오전 풍속 75kt를 기록하여 첫 번째 허리케인이 되었고, 오후에는 풍속 95kt를 기록하여 2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고, 밤에는 100kt로 더 발달하여 첫 번째 메이저 허리케인이 되었다. 메이저 허리케인 상태로 버드는 멕시코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였다. 5월 25일 새벽 다시 2등급 허리케인으로 약화되었고, 또 강한 윈드 시어가 작용하기 시작함으로써 급격히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이 날 오후에는 멕시코 서부에 상륙하기 시작하면서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고, 계속 약화되어 결국 5월 26일 새벽에 저기압으로 약화되어 소멸하였다.

4. 1. 3. 제3호 허리케인 칼로타

6월 11일 파나마 바로 남쪽에서 칼로타로 발생할 저기압이 주시되기 시작했다. 이 열대 요란은 계속 서진했고, 6월 13일 오후 6시(UTC)에는 과테말라 남쪽 수 백 킬로미터에서 발달한 저층 순환이 발달하였다. 6월 14일 오전 0시, 멕시코 와툴코 남남동쪽 460해리(850 km) 부근 해상에서 제3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이 열대저기압은 중층 고기압의 남서쪽에 위치하여 서북서진에서 북서진으로 방향을 틀었다. 또한 수직 윈드 시어가 약해서, 6시간 후 열대폭풍 칼로타(Carlotta)로 발달하였다. 칼로타는 계속해서 발달하여 6월 15일 오후 12시에 허리케인으로 지정되었다. 허리케인이 된 지 얼마 안 되어 급격한 발달을 시작했고, 9시간 후에 95 kt(175 km/h)의 풍속을 동반하게 되었다. 중앙아메리카 해안에 접근하면서 진로를 북북서쪽으로 틀었고, 이동 속도도 증가했다. 칼로타는 약간 약화한 뒤 6월 16일 오전 1시 멕시코 오아하카주에 상륙하였다. 그러나 멕시코의 지형적 영향으로 급격히 약화되었고, 6월 17일 오전 0시 저기압으로 약화되어 같은 날 소멸하였다.

칼로타로 인한 사망자는 3명이였고, 피해액은 최소 1.13억달러로 집계되었다.

4. 1. 4. 제4호 메이저 허리케인 대니엘

허리케인 대니엘은 6월 20일 아프리카 서해상에 진출한 열대 파동으로부터 발생했다. 이 열대 파동은 대서양을 가로질러 6월 29일 중앙아메리카를 통과하였다. 이어 7월 1일, 테우안테펙 만 남쪽에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계속 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7월 4일 오전 6시 멕시코 만사니요 남쪽 785km 부근 해상에서 제4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계속 발달하여 7월 5일 오전 6시에 열대폭풍 대니엘(Daniel)로 발달하였다. 처음에는 동풍 시어의 영향을 받아 중심이 대류가 주로 이루어지는 곳의 동쪽에 위치해있었다. 그러나 시어가 약화되어 발달하기 좋은 환경에 위치하게 돼, 7월 7일 오전 0시에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동시에 허리케인의 눈이 생성되었다. 세기가 서서히 강해졌고, 7월 8일 최대풍속 100kt, 최저기압 961hPa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수온의 하락과 안정된 대기로 인해 눈은 급격히 사라졌다. 대니엘은 계속 서진하며 약화되었고, 결국 7월 12일 오후 12시에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7월 14일 기압골로 바뀌면서 소멸하였다.

4. 1. 5. 제5호 메이저 허리케인 에밀리아

허리케인 에밀리아는 열대 파동과 열대 수렴대(ITCZ)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했다. 6월 23일 열대 파동이 아프리카 서해상에 진출하여 며칠 동안 빠르게 서진했다. 6월 28일, 소안틸레스 제도에서 동쪽으로 약 900해리(약 1665km) 떨어진 열대 파동에 저기압이 동반되었다. 이 저기압은 며칠 후에 소멸하였지만, 열대 파동은 계속 서진하여 7월 4일 동태평양 해상에 진출했다. 한편, 테우안테펙 만에서 남쪽으로 수백 km 떨어진 ITCZ 안에 열대 요란이 발생하였다. 7월 6일 이 열대 요란과 열대 파동이 합쳐져 7월 7일 오전 6시에 발달된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이 저기압은 계속 발달하여 같은 날 오후 6시에 멕시코 아카풀코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430해리 (800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던 저기압이 제5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6시간 후 열대저기압은 열대폭풍 에밀리아(Emilia)로 발달하였다. 주변 환경이 발달하기에 적합하여, 며칠 동안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했다. 7월 8일 저녁, 허리케인의 눈 구조가 관찰되어, 7월 9일 오전 6시 허리케인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다음날에 최대 풍속 120kn까지 발달하면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에밀리아는 최대 풍속 90kn의 2등급 허리케인으로 약화되었다. 이 약화의 원인은 이중 눈벽 구조(double-eyewall structure)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107] 이중 눈벽 구조가 사라지면서 다시 세력을 되찾았고 7월 12일 오전 0시 105kn의 풍속으로 2차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 이후 수온이 낮고, 공기가 건조하고 안정된 곳에 진입하여 약화되었다. 허리케인의 눈은 7월 13일 오전 0시 완전히 구름으로 덮여 12시간 후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대류가 덜 활발해지면서 계속 약화되었고, 결국 7월 15일 오후 6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이후 계속 서진하면서 7월 18일 오전 0시 기압골로 더욱 약화되어 소멸하였다.

4. 1. 6. 제6호 허리케인 파비오

허리케인 파비오는 6월 27일 아프리카 서해상에 진출한 평범한 열대 파동으로부터 발생했다. 7월 5일 카리브 해 중부에 위치하고 있었을 때 대류가 증가하였고, 7월 7일 동태평양 해상에 진출했다. 동진하는 대기 켈빈파 (atmospheric Kelvin waves)에 의해 이 열대 파동이 발달하였고, 7월 9일에는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계속 발달하여 7월 12일 오전 0시 멕시코 만사니요에서 남쪽으로 약 350해리(650km) 떨어진 곳에서 제6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당시 열대저기압은 서북서진하고 있었다. 잠시 후, 열대저기압은 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열대폭풍 파비오로 발달하였다. 이후 북동풍 시어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발달하여 7월 13일에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7월 15일 오전 6시 95 kt의 풍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후, 점점 낮아지는 수온에 의해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다. 7월 16일 미국 서해상에 위치한 중상층 기압골에 의해 아열대 고압대가 크게 갈라지면서 파비오는 북서쪽, 그리고 7월 18일에는 북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한편 파비오는 7월 16일 저녁에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고 7월 18일 오전에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같은 날, 열대저기압 파비오는 멕시코 푼타 아우헤냐 (Punta Eugenia) 서남서쪽 345해리(640km) 부근 해상에서 저기압으로 약화되어 7월 20일 소멸하였다.

4. 1. 7. 제7호 허리케인 길마

허리케인 길마는 7월 24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고 8월 2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한 열대 파동으로부터 발생했다. 8월 4일을 시작으로 뇌우 활동이 발달하여 8월 6일 닫힌 저층 순환이 관측되었다. 8월 7일 오전 6시, 멕시코 만사니요 서남서쪽 965km 부근 해상에서 제7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열대저기압은 낮은 윈드 시어의 영향으로 빠르게 발달하였다. 같은 날 오후 6시, 열대폭풍 길마(Gilma)로 발달하였고, 8월 8일 오후 6시에는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8월 9일 오전 6시에 풍속 70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길마는 수직 시어의 강화와 수온의 감소로 8월 11일까지 북북서진하며 약화되었다. 오전 6시에는 거의 모든 대류가 사라졌고, 낮 12시에는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이 저기압은 서-남서쪽으로 진행한 후 8월 14일 오전 0시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의 남쪽 끝에서 서쪽으로 약 1390km 떨어진 곳에서 소멸하였다.

4. 1. 8. 제8호 열대폭풍 헥터

8월 9일 허리케인 어네스토가 멕시코에 상륙하면서 저층 중심은 시에라마드레 산맥의 영향으로 소멸하였다. 그러나 중층 중심은 계속 서남서진하여 8월 10일 동태평양에 진입하였다. 대규모의 활발한 대류를 동반한 이 구름계에는 동풍 시어에 의해 8월 11일까지 저층 중심이 발생하지 않았다. 저층 중심이 발생하면서 더욱 발달하기 시작했고, 8월 11일 오후 12시 만사니요 남남서쪽 110해리(205 km) 부근 해상에서 제8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했다. 6시간 후 열대저기압은 열대폭풍 헥터(Hector)로 발달했다. 계속된 동풍 시어 속에서 헥터는 발달하여 8월 12일 풍속 45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헥터는 이 세력을 6~12시간 동안 유지하고 강해지는 시어에 약화되기 시작했다. 며칠 동안 헥터는 서쪽 부분에서 일시적인 대류가 계속 발생하면서 35~40노트의 세기를 유지하였다. 마지막으로 대류가 발생한 8월 14일 오전, 헥터는 약화되면서 남서쪽, 그리고 남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8월 15일,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서쪽의 중상층 저기압이 헥터 북쪽의 기압마루를 침식시켜 헥터가 하룻동안 북진하였다. 시어와 점차 감소하는 해수면 온도는 같은 날 오후 12시 헥터를 열대저기압으로 약화시켰다. 계속 일시적인 대류가 발생하긴 했으나, 24~25°C의 수온으로 인해 8월 17일 오전 0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이 저기압은 8월 20일에 소멸하였다.

4. 1. 9. 제9호 허리케인 일리나

허리케인 일리나는 8월 12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고 8월 21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한 열대 파동으로부터 발생했다. 다음 날 파동축에 저기압이 발생했으나, 며칠 동안 대류가 발달되지 못했다. 8월 25일 발달된 순환 중심이 발생하였고, 8월 27일 낮 12시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6시간 후 열대저기압은 열대폭풍 일리나(Ileana)로 발달하였다. 며칠 동안 일리나는 중층 기압마루의 남서쪽을 따라 습하고 시어가 낮으며 수온이 높은 지역으로 북서진했다. 이러한 조건들은 일리나가 발달하는 것을 허용하여 8월 30일 오전 0시 일리나는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이때 허리케인은 계속 을 동반한 발달된 대류를 보임으로써 같은 날 오후 6시, 풍속 75 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오래가지 않았다. 서북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수온이 매우 낮은 지역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8월 31일 오후 6시, 더 건조하고 안정한 환경에 진입하면서 내부 대류가 사라지기 시작하면서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열대폭풍 일리나는 서진하기 시작하였고 며칠 동안 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남동풍 시어의 영향으로 서서히 약화되었다. 9월 2일 오전 6시, 일리나는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대류는 계속해서 사라졌고 9월 4일 낮 12시에 소멸하였다. 키가 작은 저기압이 된 일리나는 이후 서남서진, 그리고 남서진하였고 9월 6일 낮 12시에 완전히 소멸하였다.

4. 1. 10. 제10호 열대폭풍 존

열대폭풍 존의 발생 과정은 복잡했다. 8월 16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한 열대파동은 허리케인 아이작의 발생에 기여하였다. 이 열대파동은 8월 26일 중앙아메리카를 통과하였고, 며칠 후 테우안테펙 만 남쪽을 지났다. 계속 서진하던 열대 파동은 멕시코 남부 해상에서 남쪽으로 수백 해리 떨어진 곳에 저기압을 동반한 늘어진 기압골을 발생시켰다. 8월 31일 오전, 이 기압골에서 저기압 순환이 발생했고, 다른 열대 파동이 이 순환에 접근하였다. 9월 1일, 두 번째 열대 파동과 연관된 저중층 와도 최대 지역에서 아카풀코 남동쪽에 새로운 열대 요란이 발생했다. ASCAT 데이터에 따르면, 이 열대 요란은 저기압의 북동쪽을 따라 서북서진할 때 이미 폭풍 수준의 바람을 동반하고 있었다. 9월 2일 오전, 이 열대 요란이 멕시코 남부 해안과 나란하게 이동하면서 저층 순환이 점차 발달하였다. 낮 12시에 발달한 순환 중심이 발생하였고, 멕시코 만사니요 남서쪽 약 200해리 (370km) 부근 해상에 위치해 있을 때 열대폭풍 존으로 지정되었다. 존은 미국 중남부에 중심을 둔 중층 기압마루를 따라 느리게 북서진하였다. 발생 6시간 후 약간 발달해서 풍속 40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9월 3일 오전 6시 직전, 존의 중심은 소코로 섬(Socorro Island) 바로 북쪽을 통과했다. 강한 동풍 시어는 존의 추가적인 발달을 막았고, 해수면 온도 감소와 건조하고 안정한 공기로 인해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활발한 대류는 소멸하였고, 9월 4일 낮 12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저기압은 속도를 늦추며 서북서진 또는 북서진하였고, 결국 9월 7일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서쪽에서 소멸하였다.

4. 1. 11. 제11호 열대폭풍 크리스티

8월 31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한 열대 파동이 9월 9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하면서 대류가 증가했다. 9월 10일, 테우안테펙 만 남쪽에서 파동 축을 중심으로 열대 요란이 발생하였다. 9월 11일 오후 6시, 발달한 저기압이 발생하였고, 9월 12일 오전 6시에는 충분한 대류가 발생하여 제11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당시 열대저기압은 멕시코 만사니요 남남서쪽 약 280km 부근 해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활발한 대류는 세기와 범위가 커졌고, 6시간 후 열대폭풍 크리스티 (Kristy)로 발달하였다. 크리스티는 중층 기압마루의 남쪽을 따라 서북서-북서진하면서 서서히 발달하여 9월 14일 오전 6시 풍속 50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당시 구름 패턴이 비대칭적이어서, 낮은 수온과 북북서풍 시어로 금방 약해지기 시작했다. 9월 16일 오후 6시에는 대류가 거의 사라져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9월 17일 오전 6시에 저기압으로 약화되었으며, 9월 19일 오후 6시 직후 멕시코 카보산루카스 서쪽 약 650km 부근 해상에서 완전히 소멸하였다.[87]

4. 1. 12. 제12호 허리케인 레인

레인을 발생시킨 열대 파동은 8월 26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였고 9월 6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하였다. 9월 8일 테우안테펙 만을 통과하면서 열대 요란이 발생하였다. 9월 12일, 멕시코 카보산루카스 남남서쪽 약 925 km (500nmi) 부근 해상에 위치한 이 열대 요란으로부터 약한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수 백 해리 동쪽으로 떨어진 열대폭풍 크리스티의 영향으로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 9월 15일, 크리스티가 약화하고 저기압에서 멀어지면서, 이 저기압에 순환 중심이 발생하고 대류가 활발해지면서 9월 15일 낮 12시, 카보산루카스 남서쪽 약 1740 km (940nmi) 부근 해상에서 제12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좋은 주변 환경으로 6시간 후 열대폭풍 레인(Lane)으로 발달할 수 있었다. 9월 16일에도 서서히 발달하면서 북서-북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9월 17일 약간 낮은 해수면 온도를 지나기 시작했지만 레인이 허리케인으로 발달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9월 18일 오전 0시, 카보산루카스 서남서쪽 약 1000nmi 부근 해상에서 풍속 75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 직후, 낮아지는 수온과 증가하는 남서풍 수직 시어에 의해 레인은 다시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활동하던 대류가 북동쪽으로 치우쳐지면서 더욱 더 약화되었다. 9월 19일 오전 6시 대류가 불충분하여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9월 20일 오전 6시 직후, 저기압은 카보산루카스에서 서쪽으로 약 1300nmi 떨어진 곳에서 소멸하였다.

4. 1. 13. 제13호 메이저 허리케인 미리암

9월 7일, 한 열대 파동이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였고, 이 파동이 허리케인 나딘을 발생시켰고 이후 9월 16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하였다. 이때부터 구름 패턴은 발달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고, 9월 22일 오전 0시 이 열대 요란으로부터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멕시코에 중심을 잡고 있는 아열대고기압의 남서쪽을 따라 서북서-북서진하였고 같은 날 낮 12시에 열대폭풍 미리암(Miriam)으로 발달하였다. 낮은 시어와 높은 수온의 도움을 받아 9월 24일 오전 0시 미리암은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이후 급격한 발달이 시작되었고, 12시간 후 멕시코 클라리온 섬(Clarion Island) 근처에 위치해 있을 때 최저 기압 959hPa, 풍속 105 kt의 3등급 메이저 허리케인으로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 때가 되어서는 허리케인은 매우 촘촘하고 대칭적인 구름 구조와 핀홀 눈(pinhole eye)을 가지고 있었다.[108] 급격한 발달 직후 낮은 수온의 해수면을 지나게 되면서 급격히 약화되어 9월 27일 오후 6시에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저기압은 저층의 지향류를 따라 남진하면서 며칠 후 소멸하였다.

4. 1. 14. 제14호 열대폭풍 노르만

노르만을 발생시킨 열대 파동은 9월 12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하였고 9월 22일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하면서 파동 축 주변에 열대 요란이 발생하였다. 9월 25일, 열대 수렴대와의 상호 작용으로 큰 규모의 뇌우가 파동의 북쪽 부분에서 발생하였다. 9월 27일이 되자 이 열대 파동은 이미 폭풍 수준의 풍속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당시 발달된 중심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 발달된 중심은 9월 28일 오전 6시에 발견되어 카보산루카스 남동쪽 약 100해리 (185km) 부근 해상에서 열대폭풍 노르만(Norman)으로 지정되었고, 그때 최저 기압 997hPa, 풍속 45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발생 이후 서쪽의 중상층 저기압과 멕시코 만에 중심이 있는 중층 기압마루 사이에서 북진하였다. 이후 12~24시간 동안 캘리포니아만에서 북서진하기 시작하였고, 남서풍 시어와 육지와의 접촉으로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노르만은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면서 9월 29일 오전 5시 멕시코 시날로아주 토폴로밤포(Topolobampo)에 상륙하였다. 같은 날 12시 열대저기압 노르만은 일반 저기압으로 약화하였다. 9월 30일 오전 6시 직후 로레토 (Loreto) 근처에서 소멸하였다.[1]

4. 1. 15. 제15호 열대폭풍 올리비아

10월 초, 매든-줄리안 진동과 동진하는 켈빈파의 동시 영향으로 열대 수렴대와 그 근처의 대류가 활성화되기 위한 대규모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것과 상층 기압골은 10월 3일에 서경 105도, 북위 12도~20도 사이에 표층 기압골을 생성시켰다. 이 표층 기압골은 서진하면서 다음 날 약화되었다. 그러나 기압골은 약화하기 전 서경 105~115도 주변에서 열대 수렴대가 북쪽으로 굽어지도록 유도했다. 10월 5일 이 굽어진 곳 안인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의 남쪽 끝에서 남쪽으로 약 600해리 (1110km) 떨어진 곳에 저기압이 발생하였고, 같은 날 활발한 대류가 저기압 중심 주변에 모여들었다. 결과적으로 저기압이 발달하였고, 10월 6일 낮 12시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남쪽 끝에서 남서쪽으로 약 745해리 (1380km) 떨어진 곳에서 제15호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낮은 수직 시어의 환경 속에서 서진하면서 같은 날 열대폭풍 올리비아(Olivia)로 발달하였다. 10월 7일, 북동태평양상에 위치한 중상층 기압골이 올리비아 북쪽의 기압마루를 약화시켜 올리비아가 북진하게 만들었다. 그러면서 같은 날 풍속 50노트, 기압 997 hPa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10월 8일, 강한 남서풍 수직 시어가 올리비아 위에 발생하여 올리비아의 수직적 구조가 위아래로 분리되었다. 이 시어는 올리비아의 약화를 초래하였고, 이제 얕아진 올리비아는 남서진을 시작했다. 올리비아는 급격히 대류가 없는 저기압으로 약화하였고, 이후 서남서진하면서 10월 10일 소멸하였다.

4. 1. 16. 제16호 메이저 허리케인 폴

9월 28일 아프리카 서부 해상에 진입한 열대 파동이 폴을 발생시켰다. 이 파동의 북쪽 끝은 10월 3일 열대폭풍 오스카로 발생했다. 파동은 10월 10일 이후 동태평양 해역에 진입하면서 뇌우가 발달했다. 10월 13일까지 대류가 많이 형성되었고, 같은 시각에 저층 순환 중심이 발생하여 낮 12시 카보산루카스 남남서쪽 약 560nmi (1035km) 부근 해상에서 제16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6시간 후 열대폭풍 폴(Paul)로 발달하였다.

아열대 기압마루의 남서쪽에 위치했던 폴은 열대폭풍으로 발달한 직후 서진하였으나 바하 반도 서쪽에 위치한 중상층 저기압에 의해 발생한 기압마루의 틈에 도달하면서 10월 15일 오전 0시에 이동 속도가 느려지고 북진했다. 같은 시간, 폴은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하여 6시간 후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 허리케인 폴은 남서쪽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북북동진하기 시작하여 이동 속도를 높였다. 폴의 눈은 클라리온 섬의 동쪽을 지나며 오후 6시 최대 풍속 105노트로 메이저 허리케인으로서의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메이저 허리케인 폴은 약간 약화되었지만 남남서풍 수직 시어가 상당히 강해진 10월 16일 오전 6시까지는 메이저 허리케인 세기를 유지하였다. 이 시어에 의해 바하 반도에 도달하던 폴은 급격히 약화되었고, 북진하다가 중상층 저기압과 상호작용하면서 순환 중심이 하룻동안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주 해안에 평행하게 진행했다. 10월 17일 오전 0시 카보산라짜로(Cabo San Lazaro) 북서쪽에서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고 활발한 대류가 급격히 사라지면서 곧 폭풍 수준의 풍속을 동반한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저기압 폴의 순환은 점차 약화되면서 북서진을 시작하였고 해안선을 스치면서 같은 날 오후 4시 35노트의 풍속으로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 주 바이아 아순시온(Bahía Asunción)에 상륙하였다. 10월 18일 오전 0시 직후 푼타 에우헤니아(Punta Eugenia) 북서쪽 약 60nmi (110km) 부근 육상에서 소멸하였다.

4. 1. 17. 제17호 열대폭풍 로사

10월 25일 동태평양 상의 매든-줄리안 진동의 이동이 열대 수렴대에 틈을 만들었고, 이는 세 개의 소용돌이를 발생시켰다. 며칠이 지나면서 세 개 중 서경 105도에 위치한 소용돌이가 가장 발달하면서 나머지 두 소용돌이를 소멸시켰다. 중상층 고기압 아래 위치한 이 열대 요란은 서북서진하였지만 저중층 건조공기가 풍부해서 발달 속도가 느렸다. 10월 29일 밤이 되자 발달한 표층 저기압이 발생했으나 북서쪽으로 멀리 떨어진 기압골에 의해 발생한 서풍 시어로 인해 활발한 대류가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었고 조직화되어 있지 않았다. 10월 30일 오전 저층 중심 가까이에 대류가 발생하였고, 결국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남남서쪽 약 1130km 부근 해상에서 제17호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이 열대저기압은 6시간 후 열대폭풍 로사(Rosa)로 발달하였다. 로사는 중간 정도의 서풍 시어에도 불구하고 발달하여 10월 31일 오전 풍속 45노트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로사는 이후 느리게 남서진하였고, 11월 1일에는 이동 방향을 남남서쪽으로 틀었다. 로사는 강한 시어 지역을 벗어나면서 세력을 유지했지만, 11월 2일 캘리포니아주 남부와 동태평양을 빠르게 통과하는 쇼트웨이브(shortwave)에 의해 다시 시어가 강해졌다. 중심의 동쪽에 활발한 대류가 종종 발생했으나, 그 날 저녁에 로사는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열대폭풍 로사는 시어가 더욱 강해지면서 약간 빠른 속도로 서진하였고, 이 시어가 좁은 지역의 활발한 대류가 저층 순환 중심에서 완전히 분리되게 만들었다. 이에 로사는 11월 3일 낮 12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6시간 후 저기압으로 약화되었으며, 11월 5일 오전 완전히 소멸하였다.

4. 2. 중태평양 (CPHC)

중태평양에서는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지 않았다.

5. 통계

평균적으로 동태평양에서는 열대폭풍이 16개, 허리케인이 9개, 메이저 허리케인이 4개 발생한다. 2012년에는 각각 17개, 10개, 5개가 발생하여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폭풍누적에너지는 약 98로, 평균 범위인 86 이상 135 미만 안에 들었다. 육지에 피해를 입힌 허리케인으로는 허리케인 칼로타와 허리케인 폴이 있다. 2011년에 이어 중태평양에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지 않았다.[1]

이름기간최대 등급 및 강도영향 지역피해 (2012년 USD)사망자 수
알레타5월 14일~19일열대폭풍 (최대 풍속 50노트)없음없음없음
버드5월 20일~26일3등급 허리케인 (최대 풍속 115노트)멕시코 서부최소없음
칼로타6월 14일~16일2등급 허리케인 (최대 풍속 110노트)멕시코 남서부1240만달러7명
다니엘7월 4일~12일3등급 허리케인 (최대 풍속 115노트)없음없음없음
에밀리아7월 7일~15일4등급 허리케인 (최대 풍속 140노트)없음없음없음
파비오7월 12일~18일2등급 허리케인 (최대 풍속 110노트)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캘리포니아, 미국 서부없음없음
길마8월 7일~11일1등급 허리케인 (최대 풍속 80노트)없음없음없음
헥터8월 11일~16일열대폭풍 (최대 풍속 50노트)멕시코 서부,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최소없음
일레아나8월 27일~9월 2일1등급 허리케인 (최대 풍속 85노트)없음없음없음
9월 2일~4일열대폭풍 (최대 풍속 45노트)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최소없음
크리스티9월 12일~17일열대폭풍 (최대 풍속 60노트)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최소없음
레인9월 15일~19일1등급 허리케인 (최대 풍속 85노트)없음없음없음
미리암9월 22일~27일3등급 허리케인 (최대 풍속 120노트)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텍사스없음없음
노먼9월 28일~29일열대폭풍 (최대 풍속 50노트)멕시코 서부,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멕시코 북서부, 텍사스최소1명
올리비아10월 6일~8일열대폭풍 (최대 풍속 60노트)없음없음없음
10월 13일~17일3등급 허리케인 (최대 풍속 120노트)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멕시코 북서부1560만달러없음
로사10월 30일~11월 3일열대폭풍 (최대 풍속 50노트)없음없음없음

[1]

참조

[1] 웹사이트 Background Information: Eastern Pacific Hurricane Season https://www.cpc.ncep[...] NOAA Climate Prediction Center 2022-05-14
[2] 웹사이트 NOAA: 2012 Eastern Pacific Hurricane Season Outlook http://www.cpc.ncep.[...] Climate Prediction Center 2012-05-24
[3] 웹사이트 Historical Hurricane Tracks http://csc.noaa.gov/[...]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National Weather Service 2012-07-20
[4] 뉴스 Eastern Pacific spews out fifth hurricane more than a month ahead of schedule http://article.wn.co[...] 2012-07-04
[5] 웹사이트 Basin Archives: Northeast Pacific Ocean Historical Tropical Cyclone Statistics http://tropical.atmo[...] Colorado State University
[6] 보고서 Tropical Cyclone Report: Tropical Storm Aletta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15
[7] 보고서 Hurricane Bud Discussion Number 17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5-24
[8] 보고서 Tropical Cyclone Report: Hurricane Bud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09
[9] 보고서 Tropical Cyclone Report: Hurricane Carlotta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2-20
[10]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Three-E Public Advisory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6-13
[11] 웹사이트 Hurricane Carlotta Public Advisory Number 7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6-15
[12] 웹사이트 Death toll rises to 3 from hurricane in Mexico http://latino.foxnew[...] Fox News Latino 2012-06-18
[13] 웹사이트 July 2012 Global Catastrophe Recap http://thoughtleader[...] AON Benfield 2012-08
[14] 웹사이트 El estado de Oaxaca solicita 1,444 millones de pesos al FONDEN, para atender los daños en los 103 municipios declarados en Desastre por la ocurrencia del Huracán "Carlotta" http://reliefweb.int[...] ReliefWeb 2012-07-25
[15] 보고서 Tropical Cyclone Report: Hurricane Daniel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7
[16] 보고서 Tropical Cyclone Report: Hurricane Emilia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4
[17] 보고서 Hurricane Fabio Discussion Number 15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7-15
[18] 보고서 Tropical Cyclone Report: Hurricane Fabio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2-18
[19] 보고서 Tropical Cyclone Report: Hurricane Gilma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23
[20]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Eight-E Public Advisory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11
[21] 웹사이트 Tropical Storm Hector Public Advisory Number 3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12
[22]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Hector Public Advisory Number 18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15
[23] 웹사이트 Post-Tropical Cyclone Hector Public Advisory Number 24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17
[24] NHC TCR
[25] 웹사이트 Mazatlán restringe navegación por alto oleaje http://www.elunivers[...]
[26] 웹사이트 Evacuan a 400 por lluvias en los Cabos http://www.elunivers[...]
[27] 웹사이트 El Universal online - Fotogalería http://fotos.elunive[...] 2012-09-24
[28] 웹사이트 Graphical Tropical Weather Outlook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24
[29]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Nine-E Public Advisory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27
[30] 웹사이트 Tropical Storm Ileana Public Advisory Number 2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27
[31] 웹사이트 Hurricane Ileana Public Advisory Number 10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29
[32] 웹사이트 Tropical Storm Ileana Public Advisory Number 17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31
[33] 웹사이트 Post-Tropical Cyclone Ilene Public Advisory Number 24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02
[34] NHC TCR
[35] 웹사이트 Graphical Tropical Weather Outlook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8-29
[36]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Ten-E Public Advisory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37] 웹사이트 Tropical Storm John Discussion Number 3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38] 웹사이트 Tropical Storm John Discussion Number 5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39]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John Public Advisory Number 6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40] 웹사이트 Post-Tropical Cyclone John Discussion Number 9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41] NHC TCR
[42] 웹사이트 Cierran puerto en los Cabos por tormenta John http://www.elunivers[...]
[43] 웹사이트 Graphical Tropical Weather Outlook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44]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Eleven-E Public Advisory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45] 웹사이트 Tropical Storm Kristy Discussion Number 15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46] 웹사이트 National Weather Service - NWS Los Angeles/Oxnard http://www.wrh.noaa.[...] 2012-09-24
[47] 웹사이트 Tormenta Kristy acecha 7 estados en el Pacífico http://www.elunivers[...]
[48] NHC TCR
[49] 웹사이트 Graphical Tropical Weather Outlook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50] 웹사이트 Graphical Tropical Weather Outlook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51]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Twelve-E Public Advisory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52] 웹사이트 Tropical Storm Lane Public Advisory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16
[53] 뉴스 Hurricane Lane – Advisory Number 8 – National Hurricane Center http://www.nhc.noaa.[...] 2012-09-18
[54] 뉴스 Hurricane Lane – Advisory Number 13 – National Hurricane Center http://www.nhc.noaa.[...] 2012-09-18
[55] NHC TCR
[56]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Thirteen-E Discussion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21
[57] 웹사이트 Tropical Storm Miriam Discussion Number 3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21
[58] 웹사이트 Tropical Storm Miriam Discussion Number 6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59] 웹사이트 Tropical Storm Miriam Discussion Number 8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60] 웹사이트 Hurricane Miriam Discussion Number 9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61] 웹사이트 Hurricane Miriam Discussion Number 10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62] 웹사이트 Hurricane Miriam Discussion Number 1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63] 웹사이트 Hurricane Miriam Discussion Number 13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64] 웹사이트 Tropical Storm Miriam Discussion Number 18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65]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Miriam Discussion Number 24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66] 웹사이트 Post-Tropical Cyclone Miriam Discussion Number 25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67] 웹사이트 NHC Graphical Outlook Archive http://www.nhc.noaa.[...]
[68]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EP132012_Miriam.docx http://www.nhc.noaa.[...] 2013-07-10
[69] 웹사이트 Graphical Tropical Weather Outlook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21
[70] 웹사이트 Graphical Tropical Weather Outlook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21
[71] 웹사이트 Tropical Storm Norman Public Advisory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8
[72]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Norman Discussion Number 3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73]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Norman Discussion Number 4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74]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Norman Discussion Number 5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75] 웹사이트 Post-Tropical Cyclone Norman Discussion Number 6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09-29
[76] 웹사이트 NHC Graphical Outlook Archive http://www.nhc.noaa.[...]
[77] NHC TCR url
[78]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Fifteen-E Discussion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09
[79] 웹사이트 Tropical Storm Olivia Discussion Number 2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09
[80] 웹사이트 Tropical Storm Olivia Discussion Number 4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09
[81] 웹사이트 Tropical Storm Olivia Discussion Number 5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09
[82] 웹사이트 Tropical Storm Olivia Discussion Number 10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09
[83] 웹사이트 Tropical Depression Olivia Discussion Number 1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09
[84] 웹사이트 Post-Tropical Cyclone Olivia Discussion Number 12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09
[85] 웹사이트 Eastern North Pacific Tropical Weather Discussion http://www.nhc.noaa.[...]
[86] NHC TCR url
[87] 보고서 Tropical Weather Outlook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0
[88] 보고서 Tropical Weather Outlook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2
[89] 보고서 Tropical Weather Outlook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3
[90] 보고서 Tropical Storm Paul Discussion Number 1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3
[91] 보고서 Tropical Storm Paul Discussion Number 2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4
[92] 보고서 Tropical Storm Paul Discussion Number 4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4
[93] 보고서 Tropical Storm Paul Discussion Number 6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5
[94] 보고서 Hurricane Paul Discussion Number 7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5
[95] 보고서 Hurricane Paul Discussion Number 8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5
[96] 보고서 Hurricane Paul Discussion Number 9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5
[97] 보고서 Hurricane Paul Discussion Number 10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6
[98] 보고서 Hurricane Paul Discussion Number 17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7
[99] 보고서 Hurricane Paul Discussion Number 18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0-17
[100] NHC TCR url
[101] 웹사이트 Paul damage report http://noticias.terr[...] Terra Mexico 2012-10-01
[102] 보고서 Tropical Storm Rosa (EP172012)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2-12-03
[103] 웹사이트 Worldwide Tropical Cyclone Names http://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2011-03-16
[104] 보고서 National Hurricane Operations Plan https://www.preventi[...] NOAA Office of the Federal Coordinator for Meteorological Services and Supporting Research 2006-05-01
[105]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Naming History and Retired Names https://www.nhc.noaa[...] National Hurricane Center
[106] 웹사이트 Northern Hemisphere 2012 Tropical Cyclone Season Review https://australiasev[...] 2013-01-17
[107] 문서 이중 눈벽 구조
[108] 문서 급격히 발달하는 허리케인에서 볼 수 있는 매우 작고 선명하며 둥근 눈을 의미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