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계 올림픽 케냐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케냐는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7개를 획득했다. 육상에서 강세를 보이며, 특히 데이비드 루디샤는 남자 800m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복싱, 수영, 역도 종목에도 출전했으나, 주요 성과는 육상에서 나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계 올림픽 케냐 선수단 - 2024년 하계 올림픽 케냐 선수단
2024년 하계 올림픽 케냐 선수단은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에 육상, 펜싱, 유도, 럭비, 수영, 배구 종목에 남자 38명, 여자 34명, 총 72명의 선수로 구성되어 참가한다. - 하계 올림픽 케냐 선수단 - 2004년 하계 올림픽 케냐 선수단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케냐 선수단은 육상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으며, 수영과 조정에서는 결선 진출에 실패했고 여자 배구는 11위를 기록했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한 중국 선수단은 396명의 선수들이 출전하여 금메달 38개, 은메달 31개, 동메달 22개로 종합 2위를 기록했으며, 다이빙, 체조, 수영, 배드민턴, 역도, 탁구 등에서 강세를 보였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은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역도에서 획득한 금메달이 도핑으로 박탈되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케냐 선수단 | |
---|---|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케냐 선수단 | |
NOC | 케냐 올림픽 위원회 (KEN) |
참가 연도 | 2012 |
개최 도시 | 런던 |
참가 선수 | 47명 |
종목 | 4개 |
개막식 기수 | 제이슨 던퍼드 |
폐막식 기수 | 데이비드 루디샤 |
순위 | 28위 |
금메달 | 2개 |
은메달 | 4개 |
동메달 | 7개 |
공식 웹사이트 | 케냐 올림픽 위원회 |
메달 획득 현황 | |
육상 | 금 2, 은 4, 동 4 |
복싱 | 동 2 |
역도 | 동 1 |
2. 메달리스트
케냐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7개,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모두 육상 종목에서 나왔다.[3][4]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 금 | 에제키엘 켐보이 | 육상 | 남자 3000m 장애물 | 8월 5일 |
-- 금 | 데이비드 루디샤 | 육상 | 남자 800m | 8월 9일 |
2위 은 | 샐리 키피에고 | 육상 | 여자 10000m | 8월 3일 |
2위 은 | 프리스카 젭투 | 육상 | 여자 마라톤 | 8월 5일 |
2위 은 | 비비안 체루이요트 | 육상 | 여자 5000m | 8월 10일 |
2위 은 | 아벨 키루이 | 육상 | 남자 마라톤 | 8월 12일 |
-- 동 | 비비안 체루이요트 | 육상 | 여자 10000m | 8월 3일 |
-- 동 | 아벨 키프로프 무타이 | 육상 | 남자 3000m 장애물 | 8월 5일 |
-- 동 | 밀카 쳄모스 체이와 | 육상 | 여자 3000m 장애물 | 8월 6일 |
-- 동 | 티모시 키툼 | 육상 | 남자 800m | 8월 9일 |
-- 동 | 토마스 롱고시와 | 육상 | 남자 5000m | 8월 11일 |
-- 동 | 윌슨 킵상 | 육상 | 남자 마라톤 | 8월 12일 |
-- 동 | 파멜라 옐리모 | 육상 | 여자 800m | 8월 11일 |
2. 1. 육상
케냐는 전통적인 육상 강국으로,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케냐는 남자 800m, 남자 3000m 장애물에서 금메달, 남자 마라톤, 여자 5000m, 여자 10000m, 여자 마라톤에서 은메달, 남자 800m, 남자 5000m, 남자 3000m 장애물, 남자 마라톤, 여자 800m, 여자 10000m, 여자 3000m 장애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3][4]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데이비드 레쿠타 루디샤 | 육상 | 남자 800m | |
에제키엘 켐보이 | 육상 | 남자 3000m 장애물 | |
아벨 키루이 | 육상 | 남자 마라톤 | |
비비안 체루이요트 | 육상 | 여자 5000m | |
샐리 키피에고 | 육상 | 여자 10000m | |
프리스카 젭투 | 육상 | 여자 마라톤 | |
티모시 키톰 | 육상 | 남자 800m | |
토마스 퓌케메이 롱고시와 | 육상 | 남자 5000m | |
아벨 무타이 | 육상 | 남자 3000m 장애물 | |
윌슨 키프상 키프로티치 | 육상 | 남자 마라톤 | |
파멜라 옐리모 | 육상 | 여자 800m | |
비비안 체루이요트 | 육상 | 여자 10000m | |
밀카 체모스 체이와 | 육상 | 여자 3000m 장애물 |
자세한 경기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참고
- '''Q''' = 다음 라운드 진출
- '''q''' = 기록이 가장 좋은 선수 또는 필드 종목에서 자격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순위로 다음 라운드 진출
- '''NR''' = 국가 기록
- N/A = 해당 종목에 적용되지 않는 라운드
- Bye = 선수가 해당 라운드에 출전할 필요 없음
2. 1. 1. 남자

케냐 남자 선수들은 육상 트랙 및 도로 종목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데이비드 루디샤는 800m에서 1:40.91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3][4] 에제키엘 켐보이는 3000m 장애물에서 8:18.56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아벨 키루이는 마라톤에서 2:08:27로 은메달을, 윌슨 킵상은 2:09:37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티모시 키툼은 800m에서 1:42.53으로 동메달, 토마스 롱고시와는 5000m에서 13:42.36으로 동메달, 아벨 무타이는 3000m 장애물에서 8:19.73으로 동메달을 추가했다.
;트랙 및 도로 종목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앤서니 체무트 | 800m | 1:47.42 | 2 Q | 1:45.63 | 4 | 진출 실패 | |
티모시 키툼 | 1:45.72 | 2 Q | 1:44.63 | 2 Q | 1:42.53 | ||
데이비드 루디샤 | 1:45.90 | 1 Q | 1:44.35 | 1 Q | 1:40.91 | ||
닉슨 체프세바 | 1500m | 3:42.29 | 9 Q | 3:34.89 | 4 Q | 3:39.04 | 11 |
실라스 키플라갓 | 3:39.79 | 4 Q | 3:34.60 | 2 Q | 3:36.19 | 7 | |
아스벨 키프롭 | 3:36.59 | 3 Q | 3:42.92 | 2 Q | 3:39.04 | 12 | |
아이자이아 코에치 | 5000m | 13:25.64 | 2 Q | colspan=2| | 13:43.83 | 5 | |
토마스 롱고시와 | 13:15.41 | 3 Q | colspan=2| | 13:42.36 | |||
에드윈 소이 | 13:27.06 | 6 | colspan=2| | 진출 실패 | |||
베단 카로키 | 10000m | colspan=4| | 27:32.94 | 5 | |||
윌슨 키프롭 | colspan=4| | 기권 | |||||
모세스 마사이 | colspan=4| | 27:41.34 | 12 | ||||
빈센트 코스게이 | 400m 허들 | 50.80 | 7 | 진출 실패 | |||
보니페이스 무체루 | 50.33 | 6 | 진출 실패 | ||||
에제키엘 켐보이 | 3000m 장애물 | 8:20.97 | 2 Q | colspan=2| | 8:18.56 | ||
브리민 키프루토 | 8:28.62 | 1 Q | colspan=2| | 8:23.03 | 5 | ||
아벨 무타이 | 8:17.70 | 3 Q | colspan=2| | 8:19.73 | |||
윌슨 킵상 | 마라톤 | colspan=4| | 2:09:37 | ||||
아벨 키루이 | colspan=4| | 2:08:27 | |||||
에마뉘엘 무타이 | colspan=4| | 2:14:49 | 17 | ||||
알파스 키쇼이안, 보니페이스 무체루, 빈센트 무모, 보니페이스 므웨레사 | 4 × 400m 계주 | 실격 | colspan=2| | 진출 실패 |
;필드 종목
선수 | 종목 | 예선 | 결승 | ||
---|---|---|---|---|---|
거리 | 순위 | 거리 | 순위 | ||
줄리어스 예고 | 창던지기 | 81.81 | 9 q | 77.15 | 12 |
2. 1. 2. 여자
케냐 여자 선수들은 육상 종목에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다.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조이 나쿠미차 사카리 | 400m | 51.85 | 3 Q | 52.95 | 8 | 진출 실패 | |
파멜라 젤리모 | 800m | 2:00.54 | 1 Q | 1:59.42 | 1 Q | 1:57.59 | |
자네스 옙코스게이 | 2:01.04 | 1 Q | 1:58.26 | 3 q | 2:00.19 | 8 | |
체로노 코에치 | 2:08.43 | 3 Q | 2:00.53 | 5 | 진출 실패 | ||
페이스 체프게티치 | 1500m | 4:08.78 | 9 | 진출 실패 | |||
헬렌 오비리 | 4:05.40 | 4 Q | 4:02.30 | 5 Q | 4:16.57 | 12 | |
유니스 섬 | 4:16.95 | 10 | 진출 실패 | ||||
비비안 체루이요트 | 5000m | 15:01.54 | 2 Q | colspan=2 | | 15:04.73 | ||
비올라 키비봇 | 14:59.31 | 3 Q | colspan=2 | | 15:11.59 | 6 | ||
샐리 키피에고 | 15:01.87 | 3 Q | colspan=2 | | 15:05.79 | 4 | ||
조이스 체프쿠루이 | 10000m | colspan=4 | | 기권 | ||||
비비안 체루이요트 | colspan=4 | | 30:30.44 | |||||
샐리 키피에고 | colspan=4 | | 30:26.37 | |||||
모린 마이요 | 400m 허들 | 1:02.16 | 7 | 진출 실패 | |||
밀카 체모스 | 3000m 장애물 | 9:27.09 | 3 Q | colspan=2 | | 9:09.88 | 4 | |
머시 은조로게 | 9:25.99 | 3 Q | colspan=2 | | 9:26.73 | 10 | ||
리디아 로티치 | 9:42.03 | 8 | colspan=2 | | 진출 실패 | |||
프리스카 옙투 | 마라톤 | colspan=4 | | 2:23:12 | ||||
메리 케이타니 | colspan=4 | | 2:23.56 | 4 | ||||
에드나 키플라갓 | colspan=4 | | 2:27:52 | 20 |
케냐는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육상 외에도 복싱, 수영, 역도 종목에 참가했지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5][6][7]
3. 기타 종목
3. 1. 복싱
케냐는 다음 종목에 복싱 선수 자격을 얻었다.[5]
성별 | 선수 | 종목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순위 |
---|---|---|---|---|---|---|---|---|
남자 | 벤슨 지차루 냐지루 | 플라이급 | Hesham Abdelaal|헤샴 압델라알영어 (이집트) | 진출 실패 | ||||
여자 | 엘리자베스 안디에고 | 미들급 | Марина Вольнова|마리나 볼노바ru (카자흐스탄) | 진출 실패 |
3. 2. 수영
케냐 수영 선수들은 각 종목당 최대 2명까지 올림픽 예선 시간(OQT)을 통과하거나, 1명까지 올림픽 선발 시간(OST)을 통과해 출전 자격을 얻었다.[6][7]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데이비드 던포드 | 50m 자유형 | 22.72 | 27 | 진출 실패 | |||
100m 자유형 | 49.60 | 26 | 진출 실패 | ||||
제이슨 던포드 | 100m 접영 | 52.23 | 15 | 52.16 | 12 | 진출 실패 |
3. 3. 역도
케냐는 선수 1명을 출전시켰다.[1]선수 | 세부 종목 | 인상 결과 | 인상 순위 | 용상 결과 | 용상 순위 | 합계 | 순위 |
---|---|---|---|---|---|---|---|
머시 아폰디 오브이에로 | 여자 −69 kg | 76 | 14 | 105 | 13 | 181 | 13 |
참조
[1]
뉴스
New role for Jason
http://www.standardm[...]
2012-07-26
[2]
뉴스
David Rudisha breaks 800m world record in Olympics win
https://www.bbc.co.u[...]
BBC Sport
2012-08-09
[3]
웹사이트
iaaf.org – Top Lists
http://www.iaaf.org/[...]
IAAF
2011-06-04
[4]
간행물
IAAF Games of the XXX Olympiad – London 2012 ENTRY STANDARDS
http://www.iaaf.org/[...]
IAAF
2011-06-04
[5]
웹사이트
Final African Olympic Quota Places revealed
http://www.aiba.org/[...]
AIBA
2012-05-05
[6]
웹사이트
Swimming World Rankings
http://www.fina.org/[...]
FINA
2011-06-08
[7]
간행물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NATATION – Swimming
http://www.fina.org/[...]
FINA
2011-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