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은 2015년에 진행된 리그 오브 레전드(LoL)의 e스포츠 대회이다. 2014년 누적 서킷 포인트를 기반으로 시드권을 얻은 6팀과 시드 선발전을 통해 진출한 2팀을 포함, 총 8개 팀이 참가했다. 정규 시즌은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위 4개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포스트시즌에서는 CJ 엔투스, SK텔레콤 T1, GE 타이거즈가 경쟁했으며, 결승에서 SK텔레콤 T1이 GE 타이거즈를 꺾고 우승했다. 시즌 MVP는 이호성(Duke), 포스트시즌 MVP는 이지훈(Easyhoon)이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e스포츠 -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5는 팬 투표로 선발된 선수들이 팀 파이어와 팀 아이스로 나뉘어 경쟁하는 대회로, 2015년 12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되어 팀 파이어가 우승했다.
  • 2015년 e스포츠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버닝 타임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버닝 타임은 2015년 10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넥슨 아레나에서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 넥슨 주최 카트라이더 리그 2015년 겨울 시즌으로, 유베이스 알스타즈가 우승하고 성승헌 캐스터와 정준, 김대겸 해설위원이 중계를 맡았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은 10개 팀이 참가한 LCK의 2016년 스프링 시즌으로, ROX 타이거즈가 정규 시즌 1위, SK텔레콤 T1이 포스트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 OGN은 결승전을 VR 생중계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 2022 LCK 챌린저스 리그 스프링
    2022 LCK 챌린저스 리그 스프링은 LCK 유한회사 주최, 우리은행 후원으로 2022년 1월 10일부터 4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DRX가 정규 시즌 1위를, DWG KIA가 최종 우승을 차지한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리그의 스프링 시즌이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리그 정보
리그 이름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5
리그 시작일2015년 1월 7일 ~ 2015년 5월 2일
개막전SK텔레콤 T1 vs 나진 e-엠파이어
주최라이엇 게임즈
주관온게임넷
후원사스베누
참가 팀8
리그 우승SK텔레콤 T1
이전 시즌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2014
다음 시즌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5

2. 참가팀

한국e스포츠협회는 2014년 11월 11일 발표한 LoL 개편 최종안에서 2014년도 누적 서킷포인트를 기반으로 상위 6개 팀 삼성 갤럭시, SK텔레콤 T1, KT 롤스터, 나진 e-엠파이어, CJ 엔투스, 진에어 그린윙스에게 시드권을 주었다.[1] 2014년 11월 21일-22일에 열린 시드선발전을 통하여 인크레더블 미라클, GE 타이거즈[2]가 추가로 진출하였다.[3] 그리하여 총 8개 팀이 스프링 리그에 참가하게 된다.

시드배정 (6팀)시드선발전을 통하여 진출 (2팀)
나진 e-엠파이어
삼성 갤럭시
진에어 그린윙스
CJ 엔투스
KT 롤스터
SK텔레콤 T1
인크레더블 미라클
GE 타이거즈


2. 1. 참가팀 목록

한국e스포츠협회는 2014년 11월 11일 발표한 LoL 개편 최종안에서 2014년도 누적 서킷포인트를 기반으로 상위 6개 팀 삼성 갤럭시, SK텔레콤 T1, KT 롤스터, 나진 e-엠파이어, CJ 엔투스, 진에어 그린윙스에게 시드권을 주었다.[1] 2014년 11월 21일-22일에 열린 시드선발전을 통하여 인크레더블 미라클, GE 타이거즈[2]가 추가로 진출하였다.[3] 그리하여 총 8개 팀이 스프링 리그에 참가하게 된다.

시드배정 (6팀)시드선발전을 통하여 진출 (2팀)
나진 e-엠파이어
삼성 갤럭시
진에어 그린윙스
CJ 엔투스
KT 롤스터
SK텔레콤 T1
인크레더블 미라클
GE 타이거즈


3. 일정

시드선발전 1차 예선은 2014년 11월 17일에 열렸고, 본선은 11월 21일과 22일에 진행되었다. 프리시즌은 2014년 12월 3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되었다. 본선은 2015년 1월 7일부터 시작되었다.

4. 시드선발전

2014년 11월 17일에 1차 예선이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제닉스 모즈룩, 인크레더블 미라클, GE 타이거즈, 프라임 아이티엔조이가 본선에 진출했다.

2014년 11월 21일과 22일에 부산광역시 벡스코에서 본선이 개최되었다. 본선은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위 2팀이 챔피언스 코리아에 진출했다.

4. 1. 시드선발전 본선 결과

인크레더블 미라클과 GE 타이거즈는 각각 2승 1패를 기록하며 챔피언스 코리아 진출에 성공하였다. 반면, 제닉스 모즈룩과 프라임 아이티엔조이는 각각 1승 2패를 기록하여 챌린저스 코리아로 진출하게 되었다.

1일차 경기에서는 인크레더블 미라클이 제닉스 모즈룩에게 패-승을, GE 타이거즈는 프라임 아이티엔조이와 제닉스 모즈룩에게 각각 승-패를 기록했다. 2일차 경기에서는 인크레더블 미라클이 프라임 아이티엔조이와 GE 타이거즈에게 각각 승-패를, 제닉스 모즈룩은 프라임 아이티엔조이에게 패-승을 기록했다.

5. 정규시즌

정규시즌은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팀은 다른 팀과 두 번씩 맞붙었다.

1주차에서는 나진 e-엠파이어가 SK텔레콤 T1에게 1-2로 패배하였고, GE 타이거즈는 인크레더블 미라클을 2-0으로 꺾었다. 삼성 갤럭시진에어 그린윙스에게 1-2로 패배, 나진 e-엠파이어는 KT 롤스터를 2-0으로 이겼다. SK텔레콤 T1은 CJ 엔투스에게 0-2로 패배하였다.

2주차에서는 GE 타이거즈가 삼성 갤럭시를 2-0으로, KT 롤스터는 SK텔레콤 T1에게 0-2로 패배하였다. CJ 엔투스는 나진 e-엠파이어를 2-1로 이겼고, 삼성 갤럭시는 인크레더블 미라클에게 0-2로 패배했다. GE 타이거즈는 진에어 그린윙스를 2-1로 꺾었다.

3주차에서는 KT 롤스터가 CJ 엔투스에게 1-2로, 인크레더블 미라클은 SK텔레콤 T1에게 0-2로 패배했다. 진에어 그린윙스는 나진 e-엠파이어를 2-0으로 꺾었고, CJ 엔투스는 GE 타이거즈에게 0-2로 패배, 삼성 갤럭시KT 롤스터에게 0-2로 패배하였다.

4주차에서는 인크레더블 미라클이 진에어 그린윙스를 2-1로 꺾었고, CJ 엔투스는 삼성 갤럭시를 2-0으로 이겼다. GE 타이거즈는 KT 롤스터를 2-0으로, 진에어 그린윙스는 SK텔레콤 T1을 2-0으로 꺾었다. 인크레더블 미라클은 나진 e-엠파이어에게 0-2로 패배하였다.

5주차에서는 SK텔레콤 T1이 삼성 갤럭시를 2-0으로, 나진 e-엠파이어는 GE 타이거즈에게 0-2로 패배하였다. 진에어 그린윙스는 CJ 엔투스를 2-0으로, KT 롤스터는 인크레더블 미라클에게 0-2로 패배하였다.

6주차에서는 인크레더블 미라클이 CJ 엔투스에게 1-2로 패배, KT 롤스터진에어 그린윙스를 2-1로 꺾었다. 나진 e-엠파이어는 삼성 갤럭시를 2-1로 이겼고, SK텔레콤 T1은 GE 타이거즈에게 1-2로 패배하였다.

경기 결과에 따라 승리, 패배, 득실차가 결정되며, 이를 바탕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순위승리패배득실차비고
1GE 타이거즈12219-
2SK텔레콤 T111313벌점 -1
3CJ 엔투스1048-
4진에어 그린윙스772-
5KT 롤스터68-3-
6나진 e-엠파이어59-5-
7인크레더블 미라클311-15-
8삼성 갤럭시212-20-


5. 1. 정규시즌 순위

wikitable

순위승리패배득실차비고
1GE 타이거즈12219-
2SK텔레콤 T111313벌점 -1
3CJ 엔투스1048-
4진에어 그린윙스772-
5KT 롤스터68-3-
6나진 e-엠파이어59-5-
7인크레더블 미라클311-15-
8삼성 갤럭시212-20-


6. 포스트시즌

정규시즌 상위 4개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여 4강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3위 팀과 4위 팀이 맞붙는 준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승리 팀과 2위 팀이 맞붙는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승리 팀과 1위 팀이 맞붙는 결승전 순서로 진행되었다.

준플레이오프에서 CJ 엔투스가 진에어 그린윙스를 3:0으로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 SK텔레콤 T1이 CJ 엔투스를 3:2로 꺾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SK텔레콤 T1이 GE 타이거즈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6. 1. 포스트시즌 결과

준플레이오프에서 CJ 엔투스가 진에어 그린윙스를 3:0으로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 SK텔레콤 T1이 CJ 엔투스를 3:2로 꺾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SK텔레콤 T1이 GE 타이거즈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7. 시상

매주 최고의 플레이를 보여준 선수에게 아주부 슈퍼플레이상이 수여되었다.[4]

수상자소환사명소속팀
1주차이상혁FakerSK 텔레콤 T1
2주차이상혁FakerSK 텔레콤 T1
3주차김찬호SsumdayKT 롤스터
4주차김종인PrayGE 타이거즈
5주차여창동Trace진에어 그린윙스
6주차이상혁FakerSK 텔레콤 T1
7주차이종범PiccabooSK 텔레콤 T1
8주차장경환MarinSK 텔레콤 T1



시즌 MVP는 나진 e-엠파이어의 이호성(Duke)이 수상했다. 포스트시즌 MVP는 SK 텔레콤 T1의 이지훈(Easyhoon)이 수상했다.

수상자소환사명소속팀
시즌 MVP이호성Duke나진 e-엠파이어
포스트시즌 MVP이지훈EasyhoonSK 텔레콤 T1


7. 1. 아주부 슈퍼플레이상 수상자

수상자소환사명소속팀
1주차이상혁FakerSK 텔레콤 T1
2주차이상혁FakerSK 텔레콤 T1
3주차김찬호SsumdayKT 롤스터
4주차김종인PrayGE 타이거즈
5주차여창동Trace진에어 그린윙스
6주차이상혁FakerSK 텔레콤 T1
7주차이종범PiccabooSK 텔레콤 T1
8주차장경환MarinSK 텔레콤 T1

[4]

7. 2. MVP 수상자

wikitable

수상자소환사명소속팀
시즌 MVP이호성Duke나진 e-엠파이어
포스트시즌 MVP이지훈EasyhoonSK 텔레콤 T1


참조

[1] 웹인용 '10인 로스터 폐기, 최소 연봉 2천 확정' LoL 개편 최종안 공개 http://www.inven.co.[...] 인벤 2014-11-11
[2] 문서
[3] 웹인용 후야-IM, 재경기 없이 챔피언스 본선 진출 http://esports.daily[...] 데일리e스포츠 2014-11-22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ogn.azubu.tv/ 2015-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