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네팔 봉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네팔 봉쇄는 2015년 네팔 신헌법 제정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네팔과 인도의 국경이 봉쇄된 사태를 말한다. 네팔 내 각 부족의 민족 영역 요구 충돌, 신헌법에 대한 우려, 인도의 개입 의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인도는 네팔의 신헌법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국경을 봉쇄했고, 이로 인해 연료 및 필수 물품 공급이 중단되어 네팔의 인도주의적 복구 작업에 지장을 초래했다. 국제 사회는 이 사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봉쇄 해제를 촉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15년 네팔 봉쇄 | |
---|---|
사건 개요 | |
사건 | 2072 네팔 봉쇄 |
원인 | 새 헌법에 대한 마데시족의 항의 인도의 "선언되지 않은 봉쇄" 의혹 |
결과 | 네팔의 경제 위기 심화 인도-네팔 관계 악화 네팔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 증가 |
배경 | |
주요 관련국 | 네팔 인도 |
사건 전개 | |
봉쇄 시작 | 2015년 9월 |
봉쇄 해제 요구 | 네팔 총리, 인도의 봉쇄 해제 요구 |
연료 부족 심화 | 휘발유 사재기 현상 발생 |
인도 영향력 감소 | 네팔 내 인도 영향력 감소 |
영향 | |
경제적 영향 | 네팔 경제 위기 심화 |
외교적 영향 | 인도-네팔 관계 악화 네팔의 중국 의존도 증가 |
2. 배경
흑색 빗금: 마드헤시인이 주장하는 민족영역
청색 영역: 림부완 자치지구가 주장하는 영역
황색 영역: 사루하트 자치지구가 주장하는 영역]]
- 민족 영역 요구의 충돌: 인도가 지지하는 마드헤시인이 주장하는 민족 영역은 다른 민족들의 영역과 겹쳐 충돌을 일으켰다.[6] 사루인과 키라티인은 반드흐(총파업/봉쇄)를 통해 카트만두에 자치권을 요구했고, 마드헤시인은 이들과 충돌했다. 이와 관련된 모든 민족들은 카트만두 정부의 과도한 경찰력 사용을 비판했다.[7][8]
- 정치적 음모론: 2001년 네팔 궁중 학살 이후 네팔 내전은 2006년 네팔 통일공산당(UCPN-M)이 의회와 국왕 갸넨드라에게 압력을 가해 휴전이 이루어졌고, 왕은 퇴위했다. UCPN-M 내부에서는 경제적, 정치적 견제력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고, 2015년 9월 26일 바부람 바타라이가 탈당하며 당세가 축소되었다.[9] 여당 네팔 의회당은 지진 피해 복구와 봉쇄 문제 해결 실패로 지지율이 낮아졌고, UCPN-M 분당 사태와 맞물려 네팔 공산당(CPN-UML)의 카드가 프라사드 오리가 총리로 집권했다.
- 네팔 신헌법에 대한 우려: 2015년 9월 20일, 네팔 의회에서 90% 찬성으로 헌법 수립안이 통과되었다.[20] 시위대와 경찰 충돌로 40명 이상의 시위대와 8명의 경찰이 사망했다. 헌법과 관련된 시위, 사망, 반드흐(파업)는 마드헤시인과 관련된 것 외에도 다양한 인종 문제, 정치적 관심사, 카스트 제도, 후진국 문제 등 해결되지 않은 사안들이 쏟아져 나왔다.[11] 사루인과 마드헤시인은 신헌법이 자기 민족을 소외시킨다고 주장했다.[12][13]
- 인도의 우려: 연료 봉쇄 시작 당일, 인디안 익스프레스는 인도 정부가 네팔 헌법에 변화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인도 정부는 부인했지만,[14] 인디안 익스프레스 기자는 뉴델리에서 카트만두로 수정안이 보내졌다고 주장했다.[15] 디 이코노미 타임스는 인도 사샤트라 세마 발(SSB) 직원들이 9월 3주차부터 네팔로의 연료 선적을 막으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보도했다.[16] 네팔인들은 소셜 미디어에 #BackOffIndia를 올리며 항의했다.[20] 네팔 정부는 국경에 병력을 보냈으나, 연료 공급은 인도 측에서 막혔다. 여러 정당 당수들은 인도가 마드헤시인 사이에 인도인 시위대를 침투시켰다고 주장했고, 마드헤시인 지도자는 이를 논박했다.[17]
- 연대와 충돌: 1950년 네팔-인도 평화와 친교 조약에 따라 양국 국민은 자유롭게 국경을 넘나들 수 있어, 네팔-인도 간 인적 이동 추적이 어려웠다.[18] 마드헤시인은 인도 비하르 주, 우타르프라데시 주와 긴밀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가졌다.[20] 인도는 폭력시위에 우려를 표하며 네팔에 마드헤시인 입장을 고려할 것을 당부했다.[21] 네팔 정부와 언론은 마드헤시인 운동을 인도 침입자들이 일으킨 것이라 묘사했고, 시킴 주 사례를 들어 인도의 합병 음모론을 제기했다.[22]
- 2015년 비하르 주 선거와의 연관성: 인도의 행동을 2015년 비하르 주의회 선거와 연관 짓는 시각도 있다. 인도 대법관 마르칸디 카추는 봉쇄가 마드헤시인이 비하르 주 선거인에서 유의미한 수치를 차지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23] 인도 장군 아쇽 K. 메타는 인도 정부가 네팔-인도 관계보다 비하르 주 선거 승리에 더 관심을 가졌다고 비판했다.[24]
2. 1. 민족영역 요구의 충돌
흑색 빗금: 마드헤시인이 주장하는 민족영역청색 영역: 림부완 자치지구가 주장하는 영역
황색 영역: 사루하트 자치지구가 주장하는 영역]]
이 봉쇄 사태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인도가 지지하는 마드헤시인이 주장하는 민족영역이[6] 다른 두 민족영역과 완전히 겹쳐 충돌하였고, 이는 카트만두의 정부를 당황케 하였다는 점이다. 사루인과 키라티인 2개 민족군은 반드흐(총파업/봉쇄)를 감행하고 카트만두에게 최대한의 자치권을 줄 것을 요구했다. 마드헤시인은 사루인 시위대와 충돌하였으며, 정부군과도 충돌했는데 이 충돌에 연관된 모든 민족군들은 카트만두가 경찰력을 너무 과도하게 사용했다고 비판했다.[7][8]
2. 2. 정치적 음모론
네팔에서는 '정치적 음모'라는 주제에 대해서도 간간히 이야기가 나왔다. 2001년 네팔 궁중 학살 이후에도 계속되었던 네팔 내전은 2006년 네팔 통일공산당(UCPN-M)이 의회와 국왕 갸넨드라에게 서로 통합하라는 압박에 휴전이 이루어졌으며 왕은 나중에 퇴위하였다. 통일공산당을 장악하고 있는 주요 인물 2명은 전 총리 바부람 바타라이와 당수 프라찬다이다. 한때 강력했던 계파와 많은 불만을 가졌던 당원들이 경제적, 정치적 견제력을 얻기 위해 분쟁이 일어나고 결국에는 당 간부를 포함한 일부 당원들이 탈당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으나, 2015년 위기만큼은 아니었다. 헌법 위기가 일어나고 봉쇄 초기였던 9월 26일, 바부람 바타라이는 프라찬다 및 UCPN-M 정당과 결별을 선포하면서 한때 강력한 세력을 가졌던 통일공산당은 2013년 총선 당시 80석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순식간에 세력이 축소되었다.[9] 이에 대해 바타라이는 "오래되고 금이 간 집에 (내가) 입주할 가능성은 없다"라고 말했다.[10] 네팔의 여당이었던 네팔 의회당은 지진 피해 복구와 봉쇄 문제 해결 실패로 곳곳에서 압박을 받으면서 의회당의 지지율이 낮아졌고, UCPN-M 정당의 분당 사태와 합쳐져 10월 11일에는 네팔 공산당(CPN-UML)의 카드가 프라사드 오리가 네팔의 총리로 집권할 수 있게 되었다.2. 3. 네팔 신헌법에 대한 우려
흑색 빗금 : 마드헤시인이 주장하는 민족영역청색 영역 : 림부완 자치지구가 주장하는 영역
황색 영역 : 사루하트 자치지구가 주장하는 영역]]
이 봉쇄 사태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인도가 지지하는 마드헤시인이 주장하는 민족영역이[6] 다른 두 민족영역과 완전히 겹쳐 충돌하였고, 이는 카트만두의 정부를 당황케 하였다는 점이다. 사루인과 키라티인 2개 민족군은 반드흐(총파업/봉쇄)를 감행하고 카트만두에게 최대한의 자치권을 줄 것을 요구했다. 마드헤시인은 사루인 시위대와 충돌하였으며, 정부군과도 충돌했는데 이 충돌에 연관된 모든 민족군들은 카트만두가 경찰력을 너무 과도하게 사용했다고 비판했다.[7][8]
2015년 9월 20일, 계속 정체중이였던 네팔의 헌법 수립안이 네팔 의회에서 90%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정원 598명의 네팔 의회 의원 중 66명은 투표에 기권하고 시위를 열었다.[20] 9월 20일까지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로 시위대 40명과 경찰 8명 이상이 사망하였다. 헌법 통과와 관련된 모든 시위, 사망, 반드흐(파업)이 마드헤시인이나 마드헤시스와 관련된 것은 아니였으나, 다양한 인종 문제, 정치적 관심사, 카스트 제도, 후진국 문제 등의 헌법과 관련되어 해결되지 않은 사안이 이 때 쏟아져 나왔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료 위기 자체는 인도와의 국경 지역과 맞닿아 있는 두 민족이자, 네팔 신헌법이 자기 민족에게 소외되는 법이며 인권침해라고 주장했던 사루인과 마드헤시인의 구역에 대다수의 수입품이 오가는 지역에서 벌어졌기 때문에, 마드헤시 인은 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도 볼 수 있었다. 헌법 통과 이전에도 테라이 지역에 반드흐(총파업)을 결의하여 테라이 지역경제가 위축되긴 하였으나 전국적으로 큰 영향이 가진 않았다.[12][13]
2. 4. 인도의 우려
연료 봉쇄가 시작된 날, 인디안 익스프레스 신문은 인도 정부가 새로운 네팔 헌법에 특별한 변화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인도 정부는 이 주장을 부인했으나,[14] 인디안 익스프레스 지의 기자는 원래 보고서에서 "이 수정안/변경사항이 뉴델리에서 카트만두로 보내졌다"라고 썼다고 했다.[15] 디 이코노미 타임스에서의 보고서에서는 인도 사샤트라 세마 발(SSB)의 직원들은 적어도 9월 3주차 이후부터는 네팔로의 연료 선적을 하지 말라는 명령이 들어있었다고 밝혔다.[16] 이 보도가 나온 직후 네팔인들은 인도의 간섭에 대해 반대하며 소셜 미디어에 해쉬태그 #BackOffIndia를 올리면서 항의하였고, 이와 함께 거리 시위를 시작했다.[20] 선적이 봉쇄되었다는 뉴스가 나오자 네팔 정부는 국경 지대로 추가 병력을 보냈다. 국경 지대에서 일어난 반드흐를 진압했으나, 연료 공급은 인도 쪽에서 막힌 것으로 결론났다. 여러 정당의 당수들은 인도가 마드헤시인 사이에 인도인 시위대를 몰래 끼워넣어 혼란을 일으켰다고 주장했고, 마드헤시인 지도자는 마드헤시인은 비하르인이나 기타 다른 민족과는 구분된다고 말하면서 이러한 침투론을 논박하였다.[17]2. 5. 연대와 충돌
이 봉쇄 사태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인도가 지지하는 마드헤시인이 주장하는 민족영역이[6] 다른 두 민족영역과 완전히 겹쳐 충돌하였고, 이는 카트만두의 정부를 당황케 하였다는 점이다. 사루인과 키라티인 2개 민족군은 반드흐(총파업/봉쇄)를 감행하고 카트만두에게 최대한의 자치권을 줄 것을 요구했다. 마드헤시인은 사루인 시위대와 충돌하였으며, 정부군과도 충돌했는데 이 충돌에 연관된 모든 민족군들은 카트만두가 경찰력을 너무 과도하게 사용했다고 비판했다.[7][8]
흑색 빗금 : 마드헤시인이 주장하는 민족영역
청색 영역 : 림부완 자치지구가 주장하는 영역
황색 영역 : 사루하트 자치지구가 주장하는 영역
1950년 맺어진 네팔-인도 평화와 친교 조약에 따라 양국 국민은 네팔과 인도 사이를 여권 없이 넘나들고 일을 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서 네팔-인도 사이 사람들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어려웠다.[18] 이러한 인도 내의 잠식 현상은[19] 네팔-인도 관계의 가장 큰 문제였다. 마드헤시인은 인근의 인도 비하르 주 및 우타르프라데시 주와 긴밀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이루고 있었다.[20] 인도는 이러한 폭력시위 사태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네팔에게 마드헤시인들의 입장을 고려하려 줄 것을 당부하였다.[21] 네팔 정부와 미디어에서는 마드헤시인의 운동을 인도 침입자들이 일으킨 것이라고 묘사했고, 여기에다 네팔인 다수인 시킴 주의 사례를 들어 네팔 전체 또는 일부 지역을 인도가 흡수합병하려는 음모라고 생각하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22]
2. 6. 2015년 비하르 주 선거와의 연관성
일각에서는 인도의 행동을 2015년 비하르 주의회 선거와 연관시켜 보기도 했다. 인도의 대법관 마르칸디 카추는 이 봉쇄 사태가 마드헤시인이 비하르 주의 선거인에서 유의미한 수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5년 비하르 주의회 선거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라고 주장했다.[23] 또한, 인도의 장군 아쇽 K. 메타는 인도 정부가 네팔-인도 관계보다 비하르 주의 당장의 선거 승리에 더 관심을 가졌다고 주장하며 이를 비판했다.[24]3. 국제적 반응
유엔과 방글라데시는 2015년 네팔 봉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봉쇄의 조속한 종료를 촉구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네팔의 인도주의적 상황과 내륙국으로서의 자유로운 수송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토파일 아흐메드 방글라데시 상무부 장관은 이번 봉쇄가 BBIN과 같은 주요 협정에 타격을 준다고 비판했다.[25][26][27][28][29]
3. 1. 유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대변인 스테판 두자릭을 통해 "네팔-인도 국경에서의 필수적인 물품 반입 봉쇄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급격한 연료 공급 부족으로 네팔의 지진 피해 마을에 대한 인도주의적 복구 작업이 지연되고 있다"라고 발표했다. 반 총장은 네팔의 인도주의적 이유뿐 아니라 내륙국의 특징으로 인해 즉시 네팔의 자유로운 수송권을 보장해야 하며, 모든 면에서 더 이상 지체없이 봉쇄 사태를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25][26][27][28]3. 2.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의 상무부 장관이자 인도의 남아시아 무역 정책 지지자인 토파일 아흐메드는 2015년 10월 18일 봉쇄가 BBIN과 같은 주요 협정에 타격을 주었다고 비판하며, 봉쇄의 조속한 종료를 촉구했다.[29]참조
[1]
웹인용
Nepal PM Wants India to Lift Undeclared Blockade
http://www.ndtv.com/[...]
2016-11-11
[2]
웹사이트
नेपाल सीमा पर 14 किलोमीटर लंबा जाम
http://www.bbc.com/h[...]
BBC Hindi
2015-12-10
[3]
웹사이트
IOC refuses to provide fuel despite assurances
http://kathmandupost[...]
Kathmandu Post
2015-10-04
[4]
웹인용
R.I.P., India’s Influence in Nepal
http://thediplomat.c[...]
The Diplomat
2016-11-11
[5]
웹인용
Embargo fears set off gasoline panic buying
http://kathmandupost[...]
2019-01-16
[6]
웹인용
Who are the Madhesis, why are they angry?
http://indianexpress[...]
2016-11-12
[7]
웹인용
The Federal Map That Madhesis and Tharus Want
http://www.madhesiyo[...]
[8]
웹인용
The Kathmandu Post :: Limbuwan committee enforces vehicular strike
http://kathmandupost[...]
[9]
웹인용
The Kathmandu Post :: Bhattarai severs ties with UCPN (Maoist)
http://kathmandupost[...]
2016-11-18
[10]
웹인용
The Kathmandu Post :: Bhattarai quits UCPN (Maoist), resigns from parliament
http://kathmandupost[...]
2016-11-18
[11]
뉴스
Nepal passes secular constitution amid protests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5-09-20
[12]
웹사이트
Nepal: Terai Agitation And The Constitution Making Process – Analysis
http://www.eurasiare[...]
EurAsia Review
2015-09-12
[13]
뉴스
Unveiling Nepal's constitution amid deadly protests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5-09-20
[14]
웹사이트
Nepal’s Constitution and Lessons for India
http://thediplomat.c[...]
The Diplomat
[15]
뉴스
Make seven changes to your Constitution: India tells Nepal
http://indianexpress[...]
Indian Express
[16]
웹사이트
Nepalese thorn will only get worse for India.
http://economictimes[...]
The Economic Times
[17]
웹인용
Don’t mistake Madhesi people for Bihari or Indian, says Mahanta Thakur
http://kathmandupost[...]
The Kathmandu Post
2016-12-20
[18]
웹인용
Nepal and India: an open borders case study
http://openborders.i[...]
2017-02-27
[19]
웹사이트
Indian Encroachment Threatening Nepal's Sovereignty
http://newsblaze.com[...]
News Blaze
2005-12-10
[20]
웹인용
A Nepalese Student Explains #BackOffIndia
http://www.thequint.[...]
2017-02-27
[21]
웹인용
Make seven changes to your Constitution: India tells Nepal
http://indianexpress[...]
2017-02-27
[22]
웹사이트
India's spectacular policy failure in Nepal
http://www.catchnews[...]
Catch News
2015-09-23
[23]
웹인용
Nepal blockade linked to Bihar votes, says Katju
http://www.thestates[...]
The Statesman
2017-02-27
[24]
웹인용
As unrest continues, Nepal's Madhesis are outsiders in their own country
http://www.firstpost[...]
Firstpost
2017-02-27
[25]
웹인용
NAM NEWS NETWORK
http://www.namnewsne[...]
2018-06-18
[26]
영상
Indian government block border between Nepal and India
https://www.youtube.[...]
2015-11-11
[27]
웹인용
UN chief calls for lifting of blockade on Indo-Nepal border
http://www.msn.com/e[...]
2018-06-18
[28]
웹인용
UN chief calls for lifting of blockade on Indo-Nepal border
http://timesofindia.[...]
[29]
웹인용
Bangladesh Minister pitches for end to Nepal blockade
http://www.thehindu.[...]
2016-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