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9년 코킴보주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9년 코킴보주 지진은 칠레 코킴보주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이 지진은 나스카 판이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섭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해양판 내부 지진으로 분류된다. 지진으로 인해 코킴보와 라세레나 지역에서 건물 피해와 인명 피해가 발생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VIII의 강한 흔들림이 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레의 지진 - 1730년 발파라이소 지진
    1730년 발파라이소 지진은 칠레 발파라이소에서 발생하여 나스카 판과 남아메리카 판의 수렴 경계에서 비롯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에 큰 피해를 주고 지진 해일을 일으켜 멀리 떨어진 페루와 일본 해안까지 영향을 미쳤다.
  • 칠레의 지진 - 2010년 칠레 지진
    2010년 칠레 지진은 2010년 2월 27일 칠레 중남부 해안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8.8의 강진으로, 1960년 발디비아 지진 이후 칠레에서 가장 강력했던 지진이자 역사상 여섯 번째로 강력한 지진으로 기록되었으며, 쓰나미와 막대한 피해, 그리고 지구 전체의 형태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 2019년 1월 - 수단 혁명
    수단 혁명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수단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으로, 오마르 알 바시르의 독재와 경제난에 반대하며 시작되었고, 그의 축출 이후 민간 정부 수립을 목표로 하였으나 군사 쿠데타로 중단되었다.
  • 2019년 1월 - 브루마지뉴 댐 붕괴 사고
    2019년 브루마지뉴에서 발레 S.A. 소유의 댐 붕괴로 약 1,200만 입방 미터의 광미가 유출되어 대규모 인명 피해와 환경 오염을 야기하고 경제적,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 2019년 지진 - 2019년 알바니아 지진
    2019년 11월 26일 알바니아 두러스 인근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6.4의 지진으로 심각한 피해와 사망자, 이재민이 발생하여 알바니아 정부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내외에서 구호 활동이 이루어졌다.
  • 2019년 지진 - 2019년 리지크레스트 지진
    2019년 리지크레스트 지진은 2019년 7월 4일과 6일에 캘리포니아주 리지크레스트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6.4와 7.1의 지진을 포함한 일련의 지진으로, 1999년 이후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가장 강력한 지진이며, 리지크레스트와 트로나 지역에 피해를 입혔다.
2019년 코킴보주 지진
기본 정보
2019년 1월 20일 칠레 코킴보 M6.7 지진 진도 지도 (USGS)
2019년 1월 20일 칠레 코킴보 M6.7 지진의 USGS 진도 지도
발생 시각 (UTC)2019년 1월 20일 01시 32분 52초
현지 시각2019년 1월 19일 22시 32분 (CLST, UTC-3)
지속 시간알 수 없음
진앙-30.040 칠레 코킴보 주 톤고이 남서쪽 10 km 지역
깊이 (USGS)63.0 km
깊이 (CSN)50.1 km
규모 종류모멘트 규모 (Mw)
규모6.7
최대 진도VIII
최대 진도 지역라 세레나, 코킴보
쓰나미없음
산사태알 수 없음
영향 지역칠레
여진 정보
여진 횟수60회 이상
최대 여진 규모M 5.1
피해 정보
사망자2명
피해알 수 없음
추가 정보
USGS 링크USGS M 6.7 지진 보고서
CSN 링크CSN 지진 보고서
ONEMI 링크ONEMI 모니터링 보고서

2. 지질학적 배경

칠레는 나스카 판과 남아메리카 판이 만나는 수렴판 경계에 위치해 있어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2. 1. 판 경계 활동

칠레는 수렴판 경계 위에 위치하며, 이곳에서 나스카 판이 섭입하여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연간 70mm의 속도로 섭입하고 있다. 이번 지진은 해양판 내부 지진으로, 두 판의 경계면이 아닌 섭입하는 나스카 판 내부에서 발생했다. 이 지진은 칠레의 27°S와 33°S 사이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이 지역의 슬래브는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두 판 사이에는 높은 수준의 기계적 결합이 존재한다.

2. 2. 지진 발생 메커니즘

칠레는 수렴판 경계 위에 위치하며, 이곳에서 나스카 판이 섭입하여 남아메리카 판 아래로 연간 70mm의 속도로 섭입하고 있다. 이번 지진은 두 판의 경계면이 아닌 섭입하는 나스카 판 내부에서 발생한 해양판 내부 지진이다. 이 지진은 칠레의 27°S와 33°S 사이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이 지역의 슬래브는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두 판 사이에는 높은 수준의 기계적 결합이 존재한다.

3. 피해 및 사상자

코킴보라세레나 역사 지구에서 180채의 가옥이 붕괴되었고, 500채 가까운 건물에 중간 정도의 피해가 발생했다.[7] 여러 가옥에서 균열이 보고되었고, 일부 벽이 부분적으로 붕괴되었다.[7] 라세레나의 자비의 성모 대성당도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7] 두 명이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리마리, 라세레나, 코킴보 도시에서 20만 가구 이상이 정전 피해를 입었다.[8][9]

3. 1. 지역별 수정 메르칼리 진도

코킴보라세레나에서 최대 진도 VIII (8)이 관측되었다.[10] 안다콜로와 비쿠냐에서는 진도 VII (7)이 관측되었다.[10] 그 외 칠레 중북부 여러 도시에서 진도 VI (6) ~ II (2)가 관측되었다.[10]

일부 지역의 수정 메르칼리 진도는 아래 표와 같다.[10]

MMI지역
VIII코킴보, 라세레나
VII안다콜로, 비쿠냐
VI프레이리나, 우아스코, 바예나르, 콤바르발라, 이야펠, 라 이게라, 몬테 파트리아, 오바예, 푸니타키, 리오 우르타도, 살라망카, 사파야르
V알토 델 카르멘, 코피아포, 시에라 아마리야, 카넬라, 칼레라, 카사블랑카, 라 크루스, 야야이, 노갈레스, 올무에, 푸춘카비, 푸타엔도, 키요타, 산 펠리페, 산타 마리아, 발파라이소, 비야 알레마나, 엘 몬테, 파드레 우르타도, 페냐플로르, 푸엔테 알토, 산 베르나르도, 산티아고, 탈라간테
IV칼데라, 차냐랄, 디에고 데 알마그로, 로스 빌로스, 킬푸에, 라스 카브라스, 리투에체, 모스타잘, 나비다드, 랑카과, 산 페르난도, 산타 크루스, 그라네로스, 라 에스트레야
III알가로보, 카르타헤나, 엘 키스코, 엘 타보, 산 안토니오, 페랄리요
II침바롱고


4.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은 칠레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는 등 긴밀한 경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2019년 코킴보주 지진 발생 당시 대한민국 정부는 칠레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검토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 칠레 지진 당시 대한민국은 구조대를 파견하고 구호 성금을 지원한 바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onitoreo por sismo de mayor intensidad entre las regiones de Atacama y O'Higgins https://www.onemi.go[...] ONEMI 2019-01-19
[2] 웹사이트 M 5.1 - 18 km S of Coquimbo, Chile https://earthquake.u[...] 2022-03-12
[3] 뉴스 Chile: más de 60 réplicas tras sismo de magnitud 6,7 https://amp.france24[...] France 24 2019-01-21
[4] 웹사이트 M 6.7 - 10 km SSW of Coquimbo, Chile https://earthquake.u[...] 2021-06-24
[5] 웹사이트 Informe de Sismo http://www.sismologi[...] 2021-06-24
[6] 웹사이트 Sismo de mayor intensidad entre las regiones de Atacama y O'Higgins https://www.onemi.go[...] 2021-06-24
[7] 웹사이트 Zwei Tote bei Erdbeben in Chile https://erdbebennews[...] 2019-01-20
[8] 웹사이트 Director de la Onemi descarta riesgo de tsunami tras sismo en Coquimbo y explica alerta de evacuación https://www.latercer[...] 2019-01-19
[9] 웹사이트 Columna de sismología: El potente terremoto de Coquimbo, su cronología, y por qué se sintió tan fuerte https://www.latercer[...] 2019-01-22
[10] 웹사이트 Sismo de mayor intensidad entre las regiones de Atacama y O'Higgins https://www.onemi.go[...] 2019-01-19
[11] 웹인용 M 6.7 - 10km SSW of Coquimbo, Chile https://earthquake.u[...] USGS 2019-01-20
[12] 뉴스 칠레 북부에서 규모 6.7 강진 발생, 2명 사망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9-01-21
[13] 뉴스 칠레 북부 해안서 규모 6.7 지진…쓰나미 경보 없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9-01-20
[14] 뉴스 Director de la Onemi descarta riesgo de tsunami tras sismo en Coquimbo y explica alerta de evacuación https://www.latercer[...] La Tercera 2019-01-20
[15] 웹인용 Monitoreo por sismo de mayor intensidad entre las regiones de Atacama y O’Higgins http://www.onemi.cl/[...] www.onemi.cl 2019-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