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킴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킴보는 칠레의 도시로, 원래 원주민의 정착지였으며 1550년 스페인에 의해 점령되었다. 1840년대부터 금과 구리 수출항으로 발전하며 유럽 이민자들이 유입되었고, 1879년 도시로 인정받았다. 2019년 칠레 시위의 영향을 받았으며, 2019년 일식의 주요 경로에 위치했다. 지리적으로는 자연 항구를 가지고 있으며,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2002년 인구는 16만 명 이상이었다. 코킴보는 칠레의 코무나로서 시의회가 행정을 담당하며, 주요 산업으로는 공업, 해운, 관광이 있다. 축구팀 코킴보 유니도를 홈팀으로 두고 있으며, 폴란드의 엘블롱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레의 항구 도시 - 아리카
아리카는 칠레 북부의 항구 도시이자 코무나로, 페루 국경에서 가까우며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해 건조하지만 온화한 기후와 해변, 농산물 생산, 볼리비아 무역, 역사적 명소로 유명하다. - 칠레의 항구 도시 - 안토파가스타
안토파가스타는 칠레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볼리비아 영토였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칠레에 귀속되었으며, 구리 광산과 리튬 채굴을 중심으로 경제가 운영되고 칠레와 볼리비아의 주요 수출 항구 역할을 한다. - 칠레의 도시 - 아리카
아리카는 칠레 북부의 항구 도시이자 코무나로, 페루 국경에서 가까우며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해 건조하지만 온화한 기후와 해변, 농산물 생산, 볼리비아 무역, 역사적 명소로 유명하다. - 칠레의 도시 - 안토파가스타
안토파가스타는 칠레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볼리비아 영토였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칠레에 귀속되었으며, 구리 광산과 리튬 채굴을 중심으로 경제가 운영되고 칠레와 볼리비아의 주요 수출 항구 역할을 한다. - 칠레의 코무나 - 아리카
아리카는 칠레 북부의 항구 도시이자 코무나로, 페루 국경에서 가까우며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해 건조하지만 온화한 기후와 해변, 농산물 생산, 볼리비아 무역, 역사적 명소로 유명하다. - 칠레의 코무나 - 안토파가스타
안토파가스타는 칠레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볼리비아 영토였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칠레에 귀속되었으며, 구리 광산과 리튬 채굴을 중심으로 경제가 운영되고 칠레와 볼리비아의 주요 수출 항구 역할을 한다.
코킴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유형 | 도시 및 코무나 |
로마자 표기 | Kokimpo |
별명 | (존재하지 않음) |
지리 | |
좌표 | 29°57′11″S 71°20′36″W |
면적 | 1429.3 km² |
고도 | 15 m |
행정 | |
주 | 코킨보 주 |
현 | 엘키 현 |
설립 | 1867년 |
정부 | 기초 자치체 |
시장 | 알리 마누체리 |
인구 | |
총 인구 (2012년) | 200117명 |
도시 인구 | 154316명 |
농촌 인구 | 872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남성 인구 | 79,428명 |
여성 인구 | 83,608명 |
인구 통계 | 코킨보인 |
시간대 | |
시간대 | CLT |
UTC 오프셋 | -3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1780000 |
지역 번호 | 56 + 51 |
웹사이트 | 코킨보 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550년 스페인의 페드로 데 발디비아가 코킴보를 정복했다. 지역의 금과 구리 광업 발달과 그 중요성으로 인해, 1840년경 코킴보 항구는 수출 항구로서 요충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유럽, 특히 영국에서 많은 이주민들이 코킴보에 정착하였다. 1867년 시로 승격되었다.
최근에는 시장이었던 페드로 벨라스케스(Pedro Velasquez영어)에 의해 시가지가 재개발되었다. 1992년부터 2002년까지의 성장률은 32.8%로, 견고한 산업 및 상업 중심지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2002년 칠레 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당시 코킴보 시의 인구는 15만 3416명이었고, 시 외곽 거주 인구는 8720명이었다.
최근 코킴보 시에서는 관광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과나케로스나 통고이 같은 해변 마을이 발전하고 있다. 코킴보 시 항구는 과일류 농산물 수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여전히 수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 내 포도주 생산도 늘고 있다. 팬-아메리칸 고속도로에 인접해 있으며, 2019년 7월 2일 일식의 주요 경로에 위치해 있었다.
2. 1. 초기 역사
코킴보 지역은 원래 원주민들이 거주하며 정착지 및 어업 활동에 사용하던 곳이었다. 1550년 스페인 출신 페드로 데 발디비아가 코킴보의 자연 항구를 점령했다.[1] 1840년경부터 금과 구리 수출항으로 중요성이 커져 잉글랜드를 비롯한 유럽에서 많은 이민이 이주해 왔다.[1] 1867년에 시로 승격되었고, 1879년에는 도시로 인정받았다.[1]2. 2. 유럽 이주민 정착과 도시 발전
1550년 스페인의 페드로 데 발디비아가 코킴보의 천연 항구를 점령했다. 1840년경부터 금과 구리 수출항으로서 중요성이 증가하여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 많은 이민이 이주해 왔다. 1867년 시로 승격되었다. 1800년대 중반부터 수만 명의 영국인들이 코킴보로 이주하여 독특한 영국식 건축 및 요리 유산을 확립했다.[3] 영국인 정착은 1860년에 정점에 달했던 지역의 금 및 구리 산업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이는 대규모 영국인 묘지의 건설과도 일치한다.[3]2. 3. 2019년 칠레 시위
2019년 10월 20일, 산티아고에서 발생한 칠레 시위에 따라 코킴보에도 말일까지 야간 통행 금지령이 내려졌다.3. 지리
코킴보는 삼각형 모양으로 안쪽으로 들어가 있으며, 만이 있어 바다의 높은 파도가 항구로 들이치는 것을 자연적으로 막아준다.
3. 1. 도시 구조
코킴보는 안쪽으로 들어간 삼각형 모양이다. 만이 있어서 바다의 높은 파고가 항구 쪽으로 들이치는 것을 자연적으로 막아 준다. 도시 동편에는 철도역이 있고 철로가 놓여 있기 때문에 El Empalme|엘 엠팔메es라고 불리는 지역이 있으며, 조금 북쪽에는 프랏(Prates) 플라자라고 하여 항구 입구가 위치한다. 도시 서편에는 언덕이 많고 가팔라서, "높은 곳"(Parte Alta|파르테 알타es)이라 불린다. 남쪽 El llano|엘 랴노es 지역에는 Guayacán|과야칸es이라는 곳과 함께, 기계화된 항구가 들어서 있고, El Romeral|엘 로메랄es 광산과 같은 곳의 광물의 수출을 담당한다. 팬-아메리칸 고속도로 건너편에는 산 후앙 지역이 있다.4. 기후
코킴보는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양성 기후로, 일조량이 풍부하다. 여름 기온은 12°C에서 25°C 사이를 오르내리며, 겨울에는 최저 8°C까지 내려가기도 하지만 보통 15°C 정도이다. 습도는 비교적 높게 느껴진다. 강우량은 적고 빗줄기가 세차지 않으며, 드물게 매우 궂은 날에만 비가 온다.
5. 인구 통계
국립 통계청의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코킴보 시의 면적은 약 1429.3km2이며, 인구는 163,036명(남성 79,428명, 여성 83,608명)이다. 이 중 도시 지역에는 154,316명(94.7%)이, 농촌 지역에는 8,720명(5.3%)이 거주하고 있다. 1992년과 비교하여 인구는 32.8% 증가했다.
6. 행정
칠레의 코무나인 코킴보는 4단계 칠레의 행정 구역에 속하며, 4년마다 직접 선출되는 알칼데(시장)가 이끄는 시의회가 관리한다.[1][6]
6. 1. 역대 시장
코킴보는 4년마다 직접 선출되는 알칼데(시의회 의장)가 이끄는 시의회가 관리한다. 2012-2016년 시장은 크리스티안 가예기요스 베가였다.[1] 현재 시장은 크리스티안 가예기요스 베가이다.[6]6. 2. 국회의원
칠레의 선거 구역 내에서 코킴보는 제8선거구(오바예, 리오 우르타도와 함께)의 일부로서 하원에서 페드로 벨라스케스(무소속)와 마티아스 워커(기독교 민주당)에 의해 대표된다.[1] 이 코무나는 상원에서 곤살로 우리아르테(UDI)와 호르헤 피사로 소토(기독교 민주당)에 의해 제4상원 선거구(코킴보 주)의 일부로서 대표된다.[6]구분 | 선거구 | 의원 (정당) |
---|---|---|
상원 | 제4상원 선거구 (코킴보 주) | 곤살로 우리아르테 (UDI) 호르헤 피사로 소토 (기독교 민주당) |
하원 | 제8선거구 (오바예, 리오 우르타도, 코킴보) | 페드로 벨라스케스 (무소속) 마티아스 워커 (기독교 민주당) |
7. 경제
1550년 스페인의 페드로 데 발디비아에 의해 정복된 코킴보는 지역의 금과 구리 광업 발달로 1840년경 항구가 수출 요충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유럽, 특히 영국에서 많은 이주민들이 코킴보에 정착하였고, 1867년 시로 승격되었다. 최근에는 시장이었던 페드로 벨라스케스(Pedro Velasquez영어)에 의해 시가지가 재개발되었다.
최근 코킴보 시에서는 관광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팬-아메리칸 고속도로에 인접해 있다.
7. 1. 주요 산업
코킴보는 이 지역의 공업과 해운의 중심지이다. 1992년부터 2002년까지 32.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빠르게 발전했다. 남쪽의 과나케로스, 통고이와 같은 해변 도시로 향하는 중계지로서 관광업도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해운에서는 과일류와 광산에서 생산되는 구리가 중요하며, 이 지역에서는 와인도 생산된다.8. 스포츠
이 도시에는 칠레 프리메라 B 디비전에서 활동하고 있는 코킴보 유니도라는 축구팀이 있다. 홈 경기는 17,750석 규모의 프란시스코 산체스 루모로소 시립 경기장에서 열린다. 팀의 별명은 "Los Piratas"(해적)인데, 이는 코킴보 해안에 해적들이 출몰했던 전통에서 유래되었다. 가장 큰 라이벌은 데포르테스 라 세레나 클럽이다.
9. 국제 관계
코킴보는 자매 결연을 맺은 도시가 있다.
- Elbląg|엘블롱크pl (폴란드)[4][5]
참조
[1]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Coquimbo
http://www.municoqui[...]
2010-11-04
[2]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http://www.ine.cl/ca[...]
2010-11-04
[3]
웹사이트
HD British Coquimbo
https://www.akorndmc[...]
2024-05-01
[4]
웹사이트
Elbląg - Podstrony / Miasta partnerskie
http://www.info.elbl[...]
2013-08-01
[5]
웹사이트
Elbląg - Miasta partnerskie
http://www.elblag.ne[...]
2013-08-01
[6]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Coquimbo
http://www.municoqui[...]
2010-11-04
[7]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http://www.ine.cl/ca[...]
2010-11-04
[8]
웹사이트
치リ暴動、工場放火で5人死亡 地下鉄運賃値上げめぐり
https://www.bbc.com/[...]
BBC
2019-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