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대 원자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세대 원자로는 196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된 원자로를 지칭하며, 초기 모델에 비해 안전성과 효율성이 개선되었다. 비등수형 원자로, 가압수형 원자로, CANDU 원자로, 개량형 가스 냉각로, 러시아형 가압수형 원자로(VVER), 흑연 감속 비등 경수 압력관형 원자로(RBMK) 등이 있다. 이들은 냉각재, 감속재, 설계 방식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세대 원자로 | |
---|---|
개요 | |
![]() | |
기술적 특징 | |
설계 기간 | 1960년대 후반 - 1990년대 초반 |
주요 특징 | 핵연료로 우라늄 사용 경수 냉각 안전 기능 강화 전기 생산에 주력 |
노심 설계 | 비교적 단순 |
안전 시스템 | ECCS (비상 노심 냉각 장치) 격납 용기 |
제어 시스템 | 제어봉을 이용한 수동 제어 |
경제성 | |
건설 비용 | 비교적 저렴 |
운영 비용 | 중간 수준 |
발전 단가 | 경쟁력 있는 수준 |
안전성 | |
사고 발생 가능성 | 낮은 편이나, 제3세대 원자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 |
주요 사고 사례 | 스리마일 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일부 설계) |
안전 설비 | ECCS, 격납 건물 등 |
장단점 | |
장점 | 기술 성숙도 높음 건설 및 운영 경험 풍부 경제성 우수 |
단점 | 안전성 측면에서 제3세대 원자로보다 미흡 핵폐기물 문제 노후화 문제 |
발전 현황 | |
상업 운전 시작 | 1970년대 |
주요 운영 국가 | 미국 프랑스 일본 대한민국 중국 |
현재 운영 중인 원자로 수 | 상당수 (지속적인 감소 추세) |
수명 연장 | 일부 원자로는 수명 연장되어 운영 중 |
종류 | |
가압 경수로 (PWR) | 웨스팅하우스형 프랑스형 소련/러시아형 (VVER) |
비등 경수로 (BWR) | GE형 |
가압 중수로 (PHWR) | 캐나다형 (CANDU) |
미래 전망 | |
신규 건설 | 제3세대 원자로로 대체되는 추세 |
기존 원자로 | 단계적으로 폐쇄될 예정 |
역할 | 과도기적 에너지 공급원 역할 수행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원자력 발전 원자로 핵연료 핵폐기물 |
관련 기관 | IAEA 원자력안전위원회 |
2. 2세대 원자로
2세대 원자로는 196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된 원자로를 지칭한다. 이들은 초기 원자로 모델에 비해 안전성과 효율성이 개선되었으며, 현재도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수가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2세대 원자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원자로 종류 | 특징 |
---|---|
비등수형 원자로 | 가압수형과 함께 원자로의 원형이 된 원자로 중 하나이다. |
가압수형 원자로 | 비등수형과 함께 많이 채택되고 있는 원자로이다. |
CANDU 원자로 | 캐나다에서 설계된 원자로이다. |
개량형 가스 냉각로 | 영국에서 사용되는 원자로이다. |
VVER | 러시아가 채택하고 있는 가압수형 원자로이다. |
RBMK | 흑연을 주요 감속재로 사용한 원자로이다. |
2. 1. 비등수형 원자로 (BWR)
비등수형 원자로는 경수를 냉각재 및 감속재로 사용하며, 원자로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직접 터빈으로 보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지만, 터빈이 방사능에 오염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가압수형과 함께 많은 원자로의 원형이 되었으며, 비등시킨 경수로 터빈을 돌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2. 2. 가압수형 원자로 (PWR)
가압수형 원자로는 비등수형 원자로와 함께 매우 많이 채택되는 원자로이다. 냉각수의 1차 계통과 2차 계통이 분리되어 있어 폐로 시 폐기물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1]2. 3. CANDU 원자로
CANDU 원자로는 캐나다에서 설계된 원자로이다. 운전 중에 핵연료를 꺼낼 수 있다.2. 4. 개량형 가스 냉각로 (AGR)
개량형 가스 냉각로(AGR)는 영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원자로이다. 흑연을 감속재로 사용하고, 이산화탄소 가스를 냉각재로 사용하여 열효율을 높였다.2. 5. 러시아형 가압수형 원자로 (VVER)
러시아형 가압수형 원자로(VVER)는 러시아에서 개발된 가압수형 원자로이다. 기본적인 원리는 가압수형 원자로와 동일하지만, 서방 국가의 것과는 설계에 차이가 있다.2. 6. 흑연 감속 비등 경수 압력관형 원자로 (RBMK)
흑연을 감속재로 사용하는 원자로이다. 흑연 감속로는 발전 용량이 크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원자로와 같은 형식이지만, 개량을 거쳐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참조
[1]
서적
Future electricity technologies and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Nuclear Reactors: Generation to Generation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1-01
[3]
서적
Cost Estimate Guidelines for Advanced Nuclear Power Technologies
https://www.osti.gov[...]
Oak Ridge National Laboratories
2020-09-09
[4]
뉴스
No reason why NPPs cannot live beyond 60
http://www.neimagazi[...]
Nuclear Engineering International
2010-10-14
[5]
뉴스
Renewal a bridge to replacement
http://www.world-nuc[...]
World Nuclear News
2013-12-21
[6]
서적
Nuclear Reactors:Generation to Generation
https://www.amacad.o[...]
AMERICAN ACADEMY OF AR TS & SCIENCES
2017-04-23
[7]
서적
Future electricity technologies and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뉴스
No reason why NPPs cannot live beyond 60
http://www.neimagazi[...]
Nuclear Engineering International
2010-10-01
[9]
문서
캐나다 AECL이 개발한 가압중수형 원자로.
[10]
문서
Optimized Power Reac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