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GPP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표준을 개발하는 협력 프로젝트이다. 1998년 설립 이후, 릴리스(Release) 단위로 표준을 구조화하여 GSM, UMTS, LTE, 5G 등 다양한 이동 통신 기술의 표준을 제정해왔다. 3GPP는 아시아, 유럽, 북미 지역의 7개 기관 파트너와 시장 대표 파트너들로 구성되며, 기술 규격 그룹(TSG)과 작업 그룹(WG)을 통해 표준화 작업을 진행한다. 3GPP 표준은 파일 형식(.3gp)으로도 사용되며, 동영상 및 음성 코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GPP 표준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3GPP 표준 - UMTS
UMTS는 GSM에서 발전한 3세대 이동 통신 기술의 국제 표준 중 하나로, W-CDMA 등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며 HSPA 기술로 성능을 향상시킨다. - 이동 통신 표준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이동 통신 표준 -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NMT)은 1981년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상용화된 아날로그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450MHz와 900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했으며 GSM 등장으로 쇠퇴했다.
| 3GPP | |
|---|---|
| 개요 | |
| 명칭 |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 약칭 | 3GPP |
| 종류 | 표준화 기구 |
| 설립일 | 1998년 |
| 서비스 지역 | 전 세계 |
| 웹사이트 | 3GPP 공식 웹사이트 |
| 추가 정보 | |
| 관련 단체 |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GPP2) |
| 모바일 역량 센터 | 모바일 역량 센터 |
2. 역사
3GPP는 릴리스 5에서 W-CDMA의 상위 규격인 HSDPA 기술 사양을, 릴리스 6에서 HSPA 및 무선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강화한 HSUPA 기술 사양을 포함했다. 릴리스 7은 HSPA+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릴리스 8과 릴리스 9는 LTE에 대응하며, 릴리스 10 이후는 LTE Advanced에 대응한다.[1]
2. 1. 설립 배경
3GPP는 미국의 T1 위원회(현: ATIS), 유럽의 ETSI, 일본의 전파산업회(ARIB), 정보통신기술위원회(TTC), 한국의 TTA 등 각국 및 각 지역의 표준화 단체에 의해 1998년 12월에 설립되었다.[1] 이후 중국의 CWTS (현: CCSA)도 참여했다.[1] 3GPP는 표준화 단체 간의 "프로젝트"이며, 법인격은 없다.[1]3GPP는 W-CDMA(UMTS)에 관한 통신 방식 및 데이터 형식 등의 기술 사양 외에도, TD-CDMA에 관한 기술 사양의 검토·작성도 진행하고 있다.[1] 또한, 처음에는 제3세대 이동통신의 사양만 작성했지만, 이후 검토 범위가 확장되어 GSM 사양의 확장·유지 관리, GPRS, EDGE의 사양 검토 작업도 3GPP 하에서 진행되고 있다.[1]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각 표준화 단체는 3GPP가 작성한 기술 사양을 각 국가 및 지역의 표준 규격으로 제정한다.[1] ITU의 IMT-2000에 관한 권고 (ITU-R 권고 M.1457, ITU-T 권고 Q.1741)는 각 국가 및 지역의 표준 규격 문서를 참조하며, 이를 통해 3GPP 사양은 국제 표준 규격으로 위치하고 있다.[1]
2. 2. 표준화 과정
3GPP 표준화 작업은 여러 회사("개별 회원")들이 3GPP 조직 파트너에 가입하여 기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2020년 12월 기준으로 3GPP는 719개의 개별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25]표준 규격 작업은 WG(작업반) 및 TSG(기술 사양 그룹) 수준에서 이루어진다:[26]
- 3GPP WG는 1년에 여러 번 회의를 열어 3GPP 규격에 대한 변경 요청을 준비하고 논의한다. WG 수준에서 수락된 변경 요청은 "합의"라고 부른다.
- 3GPP TSG는 3개월마다 전체 회의를 개최한다. TSG는 WG 수준에서 합의된 변경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일부 규격은 TSG가 직접 담당하므로, 변경 요청은 TSG 수준에서도 처리될 수 있다. 승인된 변경 요청은 이후 3GPP 규격에 통합된다.
3GPP는 ITU-T 권고안 I.130에 정의된 3단계 방법론을 따른다:[27]
- ''1단계 규격''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서비스 요구 사항을 정의한다.
- ''2단계 규격''은 서비스 요구 사항을 지원하는 아키텍처를 정의한다.
- ''3단계 규격''은 세부적인 프로토콜을 지정하여 아키텍처를 구현한다.
4단계는 3단계를 따르므로 테스트 규격은 때때로 4단계로 정의된다.
규격은 릴리스로 그룹화된다. 릴리스는 내부적으로 일관된 기능 및 규격 집합으로 구성된다.
각 릴리스에는 마감일이 정해져 있으며 이를 동결 날짜라고 한다. 릴리스가 동결되면 필수적인 수정 사항만 허용되고, 기능 추가 및 수정은 금지된다. 동결 날짜는 각 단계별로 정의된다.
3GPP 규격은 조직 파트너에 의해 결과물로 변환된다.
3GPP는 W-CDMA (UMTS)에 관한 통신 방식 및 데이터 형식 등의 기술 사양 외에도, TD-CDMA에 관한 기술 사양의 검토·작성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처음에는 제3세대 이동통신의 사양만 작성했지만, 이후 검토 범위가 확장되어 GSM 사양의 확장·유지 관리, GPRS, EDGE의 사양 검토 작업도 3GPP 하에서 진행되고 있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각 표준화 단체는 3GPP가 작성한 기술 사양을 각 국가 및 지역의 표준 규격으로 제정한다. ITU의 IMT-2000에 관한 권고 (ITU-R 권고 M.1457, ITU-T 권고 Q.1741)는 각 국가 및 지역의 표준 규격 문서를 참조하며, 이를 통해 3GPP 사양은 국제 표준 규격으로 자리잡고 있다.
3GPP는 'Release'라는 단위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특정 기능에 대해 'release x에 들어갔다'라는 식으로 표현한다. 각 릴리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버전 | 출시[31] | 주요 내용 |
|---|---|---|
| Release 98 | 1998년 | pre-3G GSM 네트워크 기술 |
| Release 99 | 2000년 1분기 | 초기 UMTS 3G 네트워크 기술, CDMA 무선 인터페이스 통합[32] |
| Release 4 | 2001년 2분기 | 기존에는 Release 2000으로 불렸음 - All-IP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 기능 추가[33] |
| Release 5 | 2002년 1분기 | IMS 및 HSDPA 소개[34] |
| Release 6 | 2004년 4분기 | 무선 랜 네트워크와의 연동 및 HSUPA, MBMS, GAN 기능 추가, Push to Talk over Cellular (PoC)와 같은 IMS의 향상된 기능 추가,[35] |
| Release 7 | 2007년 4분기 | 지연 감소, QoS 및 VoIP와 같은 실시간 응용에 대한 향상에 초점을 맞춤.[36] HSPA+, SIM 고속 프로토콜 및 비접촉식 프론트-엔드 인터페이스, EDGE Evolution 고려 |
| Release 8 | 2008년 4분기 | LTE, All-IP 네트워크 (SAE). Release 8에서는 UMTS 네트워크 구조의 재설계를 통해 IP 기반 4세대 네트워크 기술 |
| Release 9 | 2009년 4분기 | SAES 개선, Wimax와 LTE/UMTS간 연동 |
| Release 10 | 2011년 1분기 | LTE Advanced |
3GPP의 규격 작업은 기술 규격 그룹(TSG)과 작업 그룹(WG)에서 수행된다.[23] 3GPP는 크게 세 개의 기술 규격 그룹 (TSG)과 각 그룹에 속하는 여러 작업 그룹 (WG)으로 구성된다.
3. 조직
과거에는 GERAN(GSM/EDGE 무선 접속망, GSM/EDGE Radio Access Network) 그룹도 존재했으나, 2016년 1월 GERAN 종료가 발표되었고,[24] 레거시 GSM/EDGE 시스템 규격 작업은 RAN WG, RAN6으로 이전되었다. RAN6는 2020년 7월에 종료되었다.
3GPP 구조에는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인 프로젝트 조정 그룹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기간 및 작업 진행 상황 관리를 담당한다.
3. 1. 조직 파트너 (Organizational Partners)
3GPP의 7개 기관 파트너는 아시아, 유럽 및 북미에 있다. 이들은 3GPP의 일반적인 정책과 전략을 결정하고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 3GPP 범위의 승인 및 유지 관리
- 파트너십 프로젝트 설명의 유지 관리
- 기술 명세 그룹의 생성 또는 중단을 결정하고, 해당 범위 및 참조 조건을 승인
- 기관 파트너 자금 지원 요구 사항의 승인
- 기관 파트너가 프로젝트 조정 그룹에 제공하는 인적 및 재정적 자원 할당
- 의제에 따라 결정된 절차적 문제에 대한 상소 기관의 역할 수행
시장 대표 파트너(MRP)와 함께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
- 파트너십 프로젝트 계약의 유지 관리
- 3GPP 파트너십 신청 승인
- 3GPP 해산 가능성에 대한 결정
기관 파트너는 다음과 같다.
| 기관 | 국가/지역 | 웹사이트 |
|---|---|---|
| 전파산업회(ARIB) | 일본 | ARIB |
| 통신 산업 솔루션 연합(ATIS) | 미국 | ATIS |
| 중국 통신 표준 협회(CCSA) | 중국 | CCSA |
|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TSI) | 유럽 | ETSI |
| 통신 표준 개발 협회(TSDSI) | 인도 | TSDSI |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대한민국 | TTA |
| 통신기술위원회(TTC) | 일본 | TTC |
3. 2. 시장 대표 파트너 (Market Representation Partners)
3GPP의 조직 파트너는 3GPP에 참여하도록 시장 대표 파트너를 초청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6]- 3GPP에 시장 관련 조언을 제공하고 3GPP 범위에 속하는 시장 요구 사항(예: 서비스, 기능)에 대한 합의된 견해를 제시할 수 있다.
- 3GPP 범위 내에서 국가 또는 지역적으로 표준을 정의, 게시 및 설정할 수 있는 능력과 권한이 없다.
- 3GPP 범위의 전체 또는 일부에 전념한다.
- 파트너십 프로젝트 계약에 서명했다.
현재 시장 대표 파트너는 다음과 같다.[6]
| 조직 | 웹사이트 |
|---|---|
| 5G-ACIA | www.5g-acia.org |
| 5G 자동차 협회 | www.5gaa.org |
| 5G 아메리카스 | www.5gamericas.org |
| 5G 결정적 네트워킹 연합 (5GDNA) | www.5gdna.org |
| 6G 스마트 네트워크 및 서비스 산업 협회 (6G-IA) | 6g-ia.eu |
| 5G 슬라이싱 협회 (5GSA) | www.5g-sa.org |
| 5G 미디어 액션 그룹 (5G-MAG) | www.5g-mag.com |
| 자동차 에지 컴퓨팅 컨소시엄 (AECC) | aecc.org |
| 광대역 인도 포럼 | www.broadbandindiaforum.com |
| 인도 이동통신 사업자 협회(COAI) | www.coai.com |
| 중국 자동차 기술자 협회 (CSAE) | www.sae-china.org |
| CTIA | ctia.org |
| EMEA 위성 사업자 협회 (ESOA) | www.esoa.net |
| 글로벌 인증 포럼 (GCF) | www.globalcertificationforum.org |
| 글로벌 모바일 공급업체 협회 (GSA) | gsacom.com |
| GSMA | www.gsma.com |
| IPV6 포럼 | www.ipv6forum.com |
|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NGMN) | www.ngmn.org |
| 공공 안전 통신 유럽 (PSCE) 포럼 | www.psc-europe.eu |
| 스몰 셀 포럼 | www.smallcellforum.org |
| TCCA | tcca.info |
| TD 산업 연합 | www.tdia.cn |
| 무선 광대역 연합 | www.wballiance.com |
3. 3. 기술 규격 그룹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s, TSGs)
3GPP의 규격 작업은 기술 규격 그룹(TSG) 및 작업 그룹(WG)에서 수행된다.[23]각각 여러 개의 WG로 구성된 세 개의 기술 규격 그룹은 다음과 같다.
- '''RAN''' (무선 접속망, Radio Access Network): RAN은 UTRAN 및 E-UTRAN을 규정한다. 6개의 작업 그룹으로 구성된다.
| 버전 | 출시[31] | 주요 내용 |
|---|---|---|
| Release 98 | 1998년 | pre-3G GSM 네트워크 기술 |
| Release 99 | 2000년 1분기 | 초기 UMTS 3G 네트워크 기술, CDMA 무선 인터페이스 통합[32] |
| Release 4 | 2001년 2분기 | 기존에는 Release 2000으로 불렸음 - All-IP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 기능 추가[33] |
| Release 5 | 2002년 1분기 | IMS 및 HSDPA 소개[34] |
| Release 6 | 2004년 4분기 | 무선 랜 네트워크와의 연동 및 HSUPA, MBMS, GAN 기능 추가, Push to Talk over Cellular (PoC)와 같은 IMS의 향상된 기능 추가,[35] |
| Release 7 | 2007년 4분기 | 지연 감소, QoS 및 VoIP와 같은 실시간 응용에 대한 향상에 초점을 맞춤.[36] HSPA+, SIM 고속 프로토콜 및 비접촉식 프론트-엔드 인터페이스, EDGE Evolution 고려 |
| Release 8 | 2008년 4분기 | LTE, All-IP 네트워크 (SAE). UMTS 네트워크 구조를 재설계하여 IP 기반 4세대 네트워크 기술 |
| Release 9 | 2009년 4분기 | SAES 개선, Wimax와 LTE/UMTS간 연동 |
| Release 10 | 2011년 1분기 | LTE Advanced |
| Release 11 | 2012년 3분기 | 향상된 IP 상호 연결 서비스, 전국 운영자/이동통신사 및 타사 애플리케이션 제공업체 간의 서비스 계층 상호 연결, 이종 네트워크 (HetNet) 개선, Coordinated Multi-Point operation (CoMP), In-device Co-existence (IDC) |
| Release 12 | 2015년 1분기 | 향상된 스몰 셀, 캐리어 집성, MIMO, 새로운 및 향상된 서비스(MTC의 비용 및 범위, D2D 통신, eMBMS 개선)[14] |
| Release 13 | 2016년 1분기 | LTE-Advanced Pro. 비면허 대역 LTE에서 LTE, MTC(Machine-Type Communication)를 위한 LTE 향상, 고도 빔 포밍 / Full-Dimension MIMO, 실내 측위[15] |
| Release 14 | 2017년 2분기 | 에너지 효율, 위치 서비스 (LCS), LTE를 통한 Mission Critical 데이터, Mission Critical LTE 기반 비디오, 유연한 모바일 서비스 조향 (FMSS), 공공 경보 시스템을 위한 멀티미디어 방송 보충 (MBSP), eMBMS를 통한 TV 서비스 향상, massive 사물 인터넷, 셀 방송 서비스 (CBS)[16] |
| Release 15 | 2018년 2분기 | 최초의 5G NR 릴리스. 5G V2X 서비스, IMS, 미래 철도 이동 통신 시스템 지원[17] |
| Release 16 | 2020년 3분기 | 5G 시스템 – Phase 2: 5G 향상, 비면허 스펙트럼에 대한 NR 기반 접속(NR-U), 위성 접속[18] |
| Release 17 | 2022년 1분기 | TSG RAN: 5G NR의 효율성과 성능 향상에 기여하는 MIMO, 스펙트럼 공유 향상, UE 전력 절감 및 커버리지 향상, 최대 71 GHz 주파수 대역을 지원. |
| Release 18 | 2023년 4분기 | 5G-Advanced. 무선 네트워크의 여러 수준에서 머신러닝 기반 기술 도입, 엣지 컴퓨팅, IMS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진화, 스마트 에너지 및 인프라, 차량 탑재 릴레이, 산업용 IoT 시나리오를 위한 저전력 고정밀 위치, 네트워크 슬라이싱 향상, 5G 위성 백홀 등[20][21][19] |
| Release 19 [22] | 2025년 4분기 | 5G-Advanced. |
5. 3GPP 파일 형식
3GPP가 규격으로 정한 파일 형식을 3GPP 파일 형식이라고 한다. 3GPP 파일 형식은 주로 MMS(일본에서 말하는 샤메일과 i샷에 해당)에서 동영상이나 음성을 메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FOMA의 i모션 파일 형식에 채용되었으며, 확장자는 .3gp이다.
3GPP 파일 형식은 MPEG-4의 MP4 파일 형식을 기반으로 한다. 채용된 코덱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문서
3GPP Scope and Objectives
http://www.3gpp.org/[...]
2007-08-31
[2]
웹사이트
About 3GPP
http://www.3gpp.org/[...]
3GPP
2019-03-10
[3]
웹사이트
3GPP Background
http://www.3gpp.org/[...]
2000-06-07
[4]
웹사이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http://www.3gpp2.org[...]
2012-11-25
[5]
웹사이트
Mobile Competence Centre
http://3gpp.org/Mobi[...]
3GPP
2019-03-10
[6]
웹사이트
Partners
https://www.3gpp.org[...]
[7]
문서
Releases
http://www.3gpp.org/[...]
[8]
웹사이트
3GPP Specifications – Releases (and phases and stages)
https://www.3gpp.org[...]
2010-09-16
[9]
간행물
Overview of 3GPP Release 99, Summary of all Release 99 Features
ETSI Mobile Competence Centre
2004-07-xx
[10]
간행물
Overview of 3GPP Release 4, Summary of all Release 4 Features
ETSI Mobile Competence Centre
2004
[11]
간행물
Summary of all Release 5 Features
ETSI Mobile Competence Centre
2003-09-09
[12]
간행물
Overview of 3GPP Release 6, Summary of all Release 6 Features
ETSI Mobile Competence Centre
2006
[13]
간행물
Review of the Work Plan at Plenaries #31
3GPP
2006-03-16
[14]
웹사이트
Highlights of 3GPP Release 12
http://www.unwiredin[...]
2014-11-20
[15]
웹사이트
Release 13 priorities
http://www.3gpp.org/[...]
2014-11-20
[16]
웹사이트
3GPP Portal > Specifications
https://portal.3gpp.[...]
2016-10-27
[17]
웹사이트
3GPP Portal > Specifications
https://portal.3gpp.[...]
2016-10-27
[18]
웹사이트
3GPP Portal > Specifications
https://portal.3gpp.[...]
2020-07-14
[19]
웹사이트
5G evolution toward 5G advanced: An overview of 3GPP releases 17 and 18
https://www.ericsson[...]
2022-08-25
[20]
웹사이트
Release 18
https://www.3gpp.org[...]
2021-11-25
[21]
웹사이트
5G-Advanced's system architecture begins taking shape at 3GPP
https://www.nokia.co[...]
2021-11-25
[22]
웹사이트
Release 19
https://www.3gpp.org[...]
2024-09-08
[23]
웹사이트
Specification Groups
http://www.3gpp.org/[...]
2011-04-11
[24]
문서
IoT_geran closure of GERAN
http://www.3gpp.org/[...]
[25]
문서
3GPP membership
http://www.3gpp.org/[...]
[26]
문서
3GPP TR 21.900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working methods
http://www.3gpp.org/[...]
[27]
문서
ITU-T Recommendation I.130
http://www.itu.int/r[...]
[28]
뉴스
A new logo for 5G Specifications
http://www.3gpp.org/[...]
3GPP
2017-02-07
[29]
웹사이트
第5世代移動通信システム「5G」とは?
http://5gmf.jp/about[...]
第5世代モバイル推進フォーラム (5GMF)
[30]
문서
Specification Groups
https://www.3gpp.org[...]
3GPP
2021-12-25
[31]
웹인용
3GPP 규격 - Release (phase 및 stage 포함)
http://www.3gpp.org/[...]
2009-11-25
[32]
간행물
Overview of 3GPP Release 99, Summary of all Release 99 Features
ETSI Mobile Competence Centre
2004-07-xx
[33]
간행물
Overview of 3GPP Release 4, Summary of all Release 4 Features
ETSI Mobile Competence Centre
2004
[34]
간행물
Summary of all Release 5 Features
ETSI Mobile Competence Centre
2003-09-09
[35]
간행물
Overview of 3GPP Release 6, Summary of all Release 6 Features
ETSI Mobile Competence Centre
2006
[36]
간행물
Review of the Work Plan at Plenaries #31, 3GPP, SP-060232 3GPP TSG SA#31 Sanya
2006-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