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U-T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TU-T(국제 전기 통신 연합 전기 통신 표준화 부문)는 전 세계 전기 통신 분야의 표준을 제정하는 기관이다. ITU-T는 권고라는 이름의 국제 표준을 제정하며, 각 권고는 시리즈와 번호로 구분된다. 3,000개 이상의 ITU-T 권고는 무료로 제공되며, 통신 및 컴퓨터 프로토콜 사양 문서를 포함한다. ITU-T는 1865년 국제전신연합(ITU) 창설을 기원으로 하며, 1992년 ITU 개혁으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표준으로는 오디오 코딩, 비디오 코딩, 팩스 표준, 광 전송 네트워크, 수동 광 네트워크, 공개 키 기반 구조 등이 있다. ITU-T는 또한 대체 승인 절차(AAP)를 통해 표준 승인 시간을 단축하고, AI for Good과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인공 지능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지원한다. 대한민국은 ITU-T의 주요 회원국으로서 정보통신 표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ITU-T | |
---|---|
개요 | |
유형 |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부문 |
약칭 | ITU-T / UIT-T |
지도자 직함 | 국장 |
지도자 이름 | 세이조 오노에 |
현황 | 활동 중 |
본부 | 제네바, 스위스 |
웹사이트 | ITU.int/ITU-T |
모 기관 | 국제 전기 통신 연합 |
각주 | 1992년까지는 프랑스어로 "Comité Consultatif International Téléphonique et Télégraphique" (CCITT)로 알려짐 |
2. 주요 기능
ITU-T는 전 세계 모든 전기통신 분야의 표준을 효율적이고 적시에 제정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국제 전기 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금 및 회계 원칙을 정의한다.[39][2]
ITU-T의 역사는 1865년 국제전신연합(ITU) 창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1] 나폴레옹 3세의 제안으로 프랑스 정부는 국제 전신 서비스를 촉진하고 규제하기 위해 1865년 파리에서 국제 회의를 개최했고, 그 결과 현대 ITU의 전신 기구 설립으로 이어졌다.[4]
ITU-T 권고는 ITU-T에서 발행하는 통신 및 컴퓨터 프로토콜 사양 문서에 부여되는 이름이다. 각 권고안은 시리즈와 권고안 번호로 구성된다. 이름은 해당 권고안이 속한 시리즈의 문자로 시작하며, 각 시리즈는 "H-시리즈 권고안: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같이 광범위한 범주의 권고안을 포함한다. 시리즈 문자 뒤에는 마침표와 권고안 번호가 오는데, 이는 해당 시리즈 내에서 권고안을 고유하게 식별한다.[21]
ITU-T가 제정하는 국제 표준은 "권고"(Recommendation)라고 불리며, 각 국가의 법률에 채택될 경우에만 의무 사항이 된다.
ITU-T는 UN 전문 기구인 ITU의 일부이므로, 다른 표준 개발 기구의 표준보다 더 큰 국제적 권위를 가진다.[40][3]
3. 역사
1925년 파리 회의에서 ITU는 국제 전화 서비스의 복잡성을 다루기 위해 국제 전화 자문 위원회(CCIF|Comité Consultatif International Téléphonique프랑스어)와 장거리 전신 자문 위원회 (CCIT|Comité Consultatif International des Communications Téléphoniques à grande distance프랑스어) 두 개의 자문 위원회를 설립했다.[5]
1956년, CCIF와 CCIT가 직면한 기술적 문제의 유사성으로 인해 이들을 국제 전신 전화 자문 위원회(CCITT|Comité Consultatif International Téléphonique et Télégraphique프랑스어)로 통합하기로 결정되었다.[5] 새 조직의 첫 번째 전체 회의는 1956년 1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렸다.
1992년, 전권 회의에서 ITU 개혁이 이루어져, CCITT는 통신 표준화 부문(ITU-T)으로 개명되었다.[6] 이는 ITU-R, ITU-D와 함께 ITU의 세 개 부문 중 하나가 되었다.
1980년대 초 개인용 컴퓨터 산업의 부상으로 표준화 속도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전에는 권고안이 4년마다 열리는 전체 회의에서 승인되었으나, 이는 통신 산업의 빠른 변화에 적합하지 않았다.[7] ITU-T는 표준 제정 기간을 단축하는 "실시간" 표준화 방식을 도입하여, 기술 발전 속도에 대응하고 있다.[8]
ITU-T는 다양한 포럼 및 표준 개발 기구(SDO) 간의 협력을 촉진하여 작업 중복을 방지하고 시장에서 표준 충돌의 위험을 피하고자 한다.[13] 표준화 작업에서 ITU-T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 및 인터넷 기술 실무 기구(IETF)와 같은 다른 SDO와 협력한다.[14]
4. 권고의 종류
2008년 현재, 3,000개에 달하는 ITU-T 권고의 대부분은 무상으로 공개되어 누구나 ITU-T 홈페이지에서 PDF 파일을 자유롭게 내려받을 수 있다.
C 시리즈 권고는 "일반 전기 통신 통계"에 관한 규정을, D 시리즈 권고는 "일반 요금 원칙"에 관한 규정을 정한다.
4. 1. 주요 표준 (예시)
다음은 ITU-T의 주요 표준이다.
분야 | 표준 |
---|---|
오디오 코딩 | G.711, G.72x 시리즈 |
정지 이미지 코딩 | JPEG T.8x, JPEG 2000 T.80x, JPEG XR T.83x 시리즈 |
비디오 코딩 | H.120, H.261, H.262(MPEG-2 비디오), H.263, H.264(MPEG-4 AVC), H.265(HEVC), H.266(VVC) |
팩스 | T.2 – T.4, T.30, T.37, T.38 |
광 전송 네트워크(OTN) | G.709, G.798, G.872 |
수동 광 네트워크(PON) | G.983, G.984, G.987 |
공개 키 기반 구조(PKI) | X.509 |
5. 표준 제정 절차
ITU-T의 표준 제정 작업은 회원 및 준회원이 수행하며, 통신표준화국(TSB)이 집행 기구 역할을 한다. 실질적인 기술 작업과 권고안 개발은 ITU-T 연구반 13(네트워크 표준), ITU-T 연구반 16(멀티미디어 표준), ITU-T 연구반 17(보안 표준)과 같은 연구반(SG)에서 담당한다. 연구반은 4년마다 열리는 세계 통신 표준화 총회(WTSA)에서 구성된다.[16]
연구반 외에도 특정 주제에 대해 신속하게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포커스 그룹(FG)이 운영된다. 포커스 그룹은 자체적으로 조직과 자금 조달을 하고 비회원을 참여시키는 등 운영에 유연성이 있지만, 권고안 승인 권한은 없다.[17] 현재 건강을 위한 인공 지능 포커스 그룹(FG-AI4H), Y.3172를 개발한 5G를 위한 머신 러닝, 네트워크를 위한 양자 정보 기술, 보조 및 자율 운전을 위한 인공 지능 등의 포커스 그룹이 있다.
E 시리즈 권고는 망 운용 전반, 전화 서비스, 서비스 운영 및 휴먼 팩터에 관한 규정을, F 시리즈 권고는 전화 외 전기 통신 서비스에 관한 규정을 정한다. F 시리즈 권고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규격 번호 | 명칭 | 관련 규격 |
---|---|---|
F.400/X.400 |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서비스 개요 | ISO/IEC 10021-1 |
F.435 | 메시지 처리 서비스: 전자 데이터 교환 메시지 서비스 | ISO/IEC 10021-8 |
5. 1. 대체 승인 절차 (AAP)
대체 승인 절차(AAP)는 업계가 필요로 하는 시간에 맞춰 표준을 빠르게 승인하기 위해 개발된 절차이다. ITU-T 권고 A.8에 이 절차가 정의되어 있다.[18]2001년에 도입된 이 절차는 표준 제정 방식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표준화 과정에 걸리는 시간을 80~90% 단축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1990년대 중반까지 승인 및 발행에 약 4년, 1997년까지 2년이 걸렸던 표준이 이제는 평균 2개월, 짧게는 5주 만에 승인될 수 있게 되었다.[18]
AAP가 이렇게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던 요인은 전자 문서 처리와 기본적인 절차 간소화 덕분이다. 승인 절차가 시작되면 대부분 추가적인 회의 없이 전자적으로 완료될 수 있다.
AAP 도입은 기술 표준 승인에서 부문 회원과 회원국 모두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여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공식화했다는 의미도 있다.
SG 전문가 패널은 제안서를 작성하고, SG 회의에서 초안 텍스트로 지정할 만큼 충분히 준비되었는지 판단한다. 그 후 다음 단계에서 추가 검토에 대한 동의를 얻기 위해 적절한 기관으로 전달한다.
동의가 이루어지면 TSB는 초안 텍스트를 ITU-T 웹사이트에 게시하고 의견을 요청한다. 모든 회원은 이 텍스트를 검토할 수 있다. "최종 의견 요청" 단계에서는 회원국 및 부문 회원이 4주 동안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편집상의 수정 외에 다른 의견이 없으면 권고안은 승인된 것으로 간주된다. 의견이 있는 경우, SG 의장은 TSB와 협의하여 관련 전문가가 의견을 해결하는 절차를 만든다. 수정된 텍스트는 3주간의 "추가 검토" 기간 동안 웹에 게시된다.
"추가 검토" 단계에서도 의견이 없으면 권고안이 승인된다. 의견이 접수되면 추가 논의 및 승인을 위해 다음 연구 그룹 회의로 초안 텍스트와 모든 의견을 보낸다.[19]
정책 또는 규제적 의미가 있는 권고안은 회원국이 더 긴 시간 동안 숙고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통적인 승인 절차(TAP)를 통해 승인된다. TAP 권고안은 ITU의 6개 공식 언어(아랍어,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로 번역된다.[20]
6. 국제전기통신규칙 (ITRs)
ITU-T는 구속력 있는 국제 조약인 국제전기통신규칙(ITRs)의 관리 기관이기도 하다. ITRs는 국제 전기 통신 서비스의 정의, 국가 및 각국 행정부 간의 협력, 생명 안전 및 통신의 우선 순위, 요금 및 회계 원칙 등을 다루는 10개의 조항으로 구성된다.[26] 1988년 멜버른에서 개최된 세계 행정 전신 및 전화 회의(WATTC-88)에서 단일 조약으로 채택되었다.[26] 1988년 ITRs의 채택은 국제 전기 통신의 광범위한 자유화 과정의 시작으로 여겨지며,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들은 1988년 이전에 시장 자유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다.[27]
ITU 헌장 및 협약은 세계 국제 전기 통신 회의(WCIT)를 통해 ITRs를 수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1998년 ITRs 검토 절차가 시작되었고,[28] 2009년에는 WCIT-12와 같은 회의를 위한 광범위한 준비가 시작되었다.[29] 하마둔 투레 전 ITU 사무총장이 소집한 WCIT-12 회의는 2014년 12월 3일부터 14일까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개최되었다.[31][32]
7. AI for Good
국제전기통신연합 표준화 부문은 인공 지능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유엔 플랫폼인 AI for Good을 조직한다.
8. 주요 현안
참조
[1]
웹사이트
TSB Director's Corner
http://www.itu.int/e[...]
[2]
웹사이트
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 About Us
http://www.itu.int/I[...]
2018-05-06
[3]
웹사이트
apdip.net
http://www.apdip.net[...]
[4]
웹사이트
ITU's History
http://www.itu.int/h[...]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1-03-20
[5]
웹사이트
CCITT – 50 Years of Excellence – 1956–2006
http://www.itu.int/I[...]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1-03-20
[6]
웹사이트
CCITT – 50 Years of Excellence – 1956–2006
http://www.itu.int/I[...]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1-03-20
[7]
웹사이트
CCITT – 50 Years of Excellence – 1956–2006
http://www.itu.int/I[...]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1-03-20
[8]
웹사이트
CCITT – 50 Years of Excellence – 1956–2006
http://www.itu.int/I[...]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1-03-20
[9]
웹사이트
ITU-T Standards now freely available online
http://www.stanford.[...]
[10]
웹사이트
Free access for all to ITU-T standards.(ITU)
http://www.highbeam.[...]
2010-09-06
[11]
웹사이트
ITU-T Newslog – Free access for all to ITU-T standards
http://www.itu.int/I[...]
[12]
웹사이트
ITU-T Recommendations
http://www.itu.int/e[...]
[13]
웹사이트
CCITT – 50 Years of Excellence – 1956–2006
http://www.itu.int/I[...]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1-03-20
[14]
웹사이트
apdip.net
http://www.itu.int/d[...]
[15]
웹사이트
Standards for better Communications – ITU-T Guide for Beginners
http://www.itu.int/d[...]
2005-03-01
[16]
웹사이트
Standards for better Communications – ITU-T Guide for Beginners
http://www.itu.int/d[...]
2005-03-01
[17]
웹사이트
itu.int
http://www.itu.int/d[...]
[18]
웹사이트
A.8: Alternative approval process for new and revised ITU-T Recommendations
https://www.itu.int/[...]
2010-08-01
[19]
웹사이트
Standards for better Communications – ITU-T Guide for Beginners
http://www.itu.int/d[...]
2005-03-01
[20]
웹사이트
itu.int
http://www.itu.int/d[...]
[21]
웹사이트
ITU-T Recommendation series structure
https://www.itu.int:[...]
2022-11-01
[22]
문서
Note: Long delays can cause people to unintentionally "talk over" one another during a conversation.
[23]
웹사이트
ITU-T Recommendation G.114
http://www.itu.int/r[...]
2003-05-01
[24]
서적
MIMO Power Line Communications: Narrow and Broadband Standards, EMC, and Advanced Processing
http://www.crcpress.[...]
CRC Press
2014-02-01
[25]
웹사이트
X.805 : Security architecture for systems providing end-to-end communications
http://www.itu.int/r[...]
2014-02-05
[26]
웹사이트
itu.int
http://www.itu.int/I[...]
[27]
웹사이트
itu.int
http://www.itu.int/o[...]
2018-05-06
[28]
웹사이트
ITU-T – Review of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Regulations (ITRs)
http://www.itu.int/I[...]
[29]
웹사이트
WCIT-12: Preparatory Process
http://www.itu.int/e[...]
[30]
웹사이트
WCIT-12: Background Briefs and FAQs
http://www.itu.int/e[...]
[31]
웹사이트
WCIT-12 Highlights – 13–14 December 2012
http://www.itu.int/o[...]
[32]
웹사이트
World Conference on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WCIT-12)
http://www.itu.int/e[...]
[33]
웹사이트
ITU-T
http://www.itu.int/I[...]
[34]
웹사이트
ICT Security Standards Roadmap
http://www.itu.int/I[...]
[35]
웹사이트
国際電気通信連合電気通信標準化部門(ITU-T)電気通信標準化諮問委員会(TSAG)会合の結果について
https://www.soumu.go[...]
2021-12-07
[36]
서적
Foundations of Modern Networking: SDN, NFV, QoE, IoT, and Cloud
Addison-Wesley Professional
2015
[37]
웹사이트
日本ITU協会のIシリーズ勧告和訳本
https://ndlonline.nd[...]
[38]
웹인용
About ITU
https://web.archive.[...]
2008-07-26
[39]
웹사이트
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 About Us
http://www.itu.int/I[...]
[40]
웹사이트
http://www.apdip.net[...]
[41]
웹인용
About ITU
https://web.archive.[...]
2008-07-26
[42]
웹사이트
http://www.itu.in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