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기 SG배 명인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7기 SG배 명인전은 16강 더블 엘리미네이션과 8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박정환이 이지현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6명의 선수가 4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상위 2명이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이지현, 박정환, 신진서, 변상일이 승리했으며, 4강에서 박정환과 변상일이 결승에 진출했다. 16강과 8강에서 탈락한 선수들에게는 패자부활전이 주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바둑 - 제10회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2024년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이치리키 료가 신진서를 꺾고 우승하며 2014년 입단 후 첫 세계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 명인전 - 명인전 (대한민국)
명인전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으로, 1968년 조남철이 초대 명인이 된 후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창호가 최다 우승, 조훈현이 최다 결승 진출, 서봉수가 최다 준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2024년에는 박정환이 우승했다. - 명인전 - 32기 SK 엔크린배 명인전
32기 SK 엔크린배 명인전은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진행된 바둑 기전으로, 이창호 9단이 유창혁 9단을 꺾고 우승했으며, 이 우승으로 이창호 9단은 명인전 4연패와 통산 10회 우승을 기록했다.
47기 SG배 명인전 |
---|
2. 대진표 및 결과
47기 SG배 명인전은 16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전은 16명의 선수가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8강전, 4강전, 승자 결승전, 패자부활전, 최종 결승전을 거쳐 박정환이 이지현을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2. 1. 16강전
16강전은 16명의 선수가 4개 조로 나뉘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A조''': 이지현, 임진욱, 문민종, 신민준
- '''B조''': 최정, 신재원, 박정환, 김형우
- '''C조''': 이창호, 김정현, 신진서, 조상연
- '''D조''': 박영훈, 변상일, 위태웅, 김은지
각 조별 16강전 대진 및 결과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1. A조
A조는 이지현, 임진욱, 문민종, 신민준으로 구성되었다.16강전 | 8강전 | 4강전 | 승자 결승전 | 최종 결승전 |
---|---|---|---|---|
이지현 (승) vs 임진욱 | 이지현 (승) vs 문민종 | 이지현 vs 박정환 (승) | 박정환 (승) vs 이지현 | rowspan="2" | |
문민종 (승) vs 신민준 |
패자조 8강 1회전 | 패자조 8강 2회전 | 패자조 4강 3회전 | 패자조 4강 4회전 | 패자조 준결승전 | 패자조 결승전 |
---|---|---|---|---|---|
임진욱 vs 김정현 (승) | 문민종 vs 김형우 (승) | 이창호 vs 김형우 (승) | 이지현 (승) vs 김정현 | 이지현 (승) vs 신진서 | 변상일 vs 이지현 (승) |
신민준 (승) vs 조상연 | 최정 vs 신민준 (승) | 김정현 (승) vs 신민준 |
2. 1. 2. B조
47기 SG배 명인전 B조는 16강 더블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B조의 16강전에서는 최정이 신재원에게 승리했고, 박정환이 김형우에게 승리했다. 이어진 8강전에서는 박정환이 최정을 꺾었다. 이후 박정환은 4강전과 승자 결승전에서도 승리하며 최종 결승전에 진출했다.[1]
2. 1. 3. C조
47기 SG배 명인전 C조는 이창호, 김정현, 신진서, 조상연으로 구성되었다. 16강전에서 이창호는 김정현에게, 신진서는 조상연에게 승리했다. 8강전에서는 신진서가 이창호를 이기고 승자조 4강에 진출했다. 패자조 8강 1회전에서는 김정현이 조상연을 꺾고, 패자조 8강 2회전에서는 이창호가 박영훈을 꺾었다. 패자조 4강 3회전에서는 김정현이 승리했으나, 패자조 4강 4회전에서 신진서가 승리하여 패자조 준결승에 진출했다.2. 1. 4. D조
D조는 박영훈, 변상일, 위태웅, 김은지 선수로 구성되었다.[1] 16강전에서 변상일은 박영훈을, 김은지는 위태웅을 꺾었다.[1] 8강전에서는 변상일이 김은지를 이기고 4강에 진출했다.[1]2. 2. 8강전 ~ 결승전
8강전에서는 이지현男, 박정환, 신진서, 변상일 선수가 승리하여 4강에 진출했다. 4강전에서는 박정환 선수와 변상일 선수가 각각 이지현男 선수와 신진서 선수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박정환 선수가 이지현男 선수를 상대로 2승을 거두며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상세한 경기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2. 3. 패자부활전
김정현大김정현大
신민준
김정현大
신진서
이지현男
조상연小
신민준
김형우
김형우
박영훈
박영훈
위태웅
김형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