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창호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로, 1975년 전주에서 태어났다. 11세에 프로에 입단하여 조훈현에 이은 역대 2위 최연소 기록을 세웠으며, 14세에 KBS 바둑왕전에서 우승하며 최연소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웠다. 1990년대 초 조훈현이 획득했던 기전들을 차례로 석권하며, 1992년 동양증권배에서 우승하며 최연소 세계 바둑 챔피언이 되었다. 세계 기전에서 통산 21회 우승, 15회 준우승을 기록하며 세계 기전 타이틀 획득 횟수 1위를 기록했다. 견고한 기풍과 흔들림 없는 표정으로 '돌부처'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응답하라 1988'의 최택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에 관한 - 커제
커제는 중국 저장성 출신의 바둑 기사로, 2008년 프로 입단 후 국내외 바둑 대회에서 다수 우승하며 세계적인 기사로 인정받았고, 알파고와의 대결과 몽백합배, 삼성화재배, 백령배 등 국제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칭화대학교 졸업 후 프로 기사와 사회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이야마 유타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 이야마 유타는 최연소 우승 및 다수의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우고 7관왕을 달성하는 등 일본 바둑계 최고 기사로 인정받으며, 독창적인 기풍과 강력한 공격력으로 역대 최다 타이틀 획득 기록을 경신하였다. -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노영하
노영하는 1967년 입단하여 1999년 9단에 오른 한국의 바둑 기사이자 KBS 바둑 해설위원으로, 왕위전, 국수전 준우승, KBS 바둑왕전 해설, 바둑 서적 및 강좌를 통해 바둑 교육에 기여했으며 2024년 별세하였다. -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유창혁
유창혁은 어린이 국수전 3연패 후 1984년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하여 왕위전 4연패를 포함한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며 한국 바둑계를 대표하는 거장이 되었고, 독창적이고 공격적인 스타일로 후배 기사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한국기원 이사, 국가대표 감독 등을 역임하며 한국 바둑 발전에 기여했다. - 충암초등학교 동문 - 안조영
안조영은 1993년 입단하여 SK가스배, BC카드배, 원익배 십단전에서 우승했으며, 한국 바둑 랭킹 8위에 올랐고, 한국바둑리그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충암초등학교 동문 - 양재호
양재호는 1979년 입단한 한국 프로 바둑 기사로, 국내외 주요 기전에서 활약했으며, 한국 바둑 리그 감독 및 한국기원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바둑 발전에 기여하고 현재도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 이창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한글 | 이창호 |
| 한자 | 李昌鎬 |
| 로마자 표기 | I Chang-ho |
| 출생일 | 1975년 7월 29일 |
| 출생지 | 전라북도 전주시 |
| 거주지 | 대한민국 |
| 스승 | 조훈현 |
| 프로 입단 | 1986년 |
| 단 | 9단 |
| 소속 | 한국기원 |
| 타이틀 정보 | |
| 대한민국 국수 | 10기 (1990, 1993-97, 2002-03, 2006, 2010) |
| 대한민국 명인 | 13기 (1991-96, 1998-2003, 2009) |
| 기왕 | 11기 (1988, 1991, 1994, 1998, 2001-02, 2004-05, 2007-10) |
| 타이틀 합계 | 140회 |
| 세계 타이틀 | |
| 획득 횟수 | 21회 |
| 응창기배 세계 프로 선수권 | 2001년 |
| LG배 세계 기왕전 | 1996년 1999년 2001년 2004년 |
| 동양증권배 세계 선수권전 | 1992년 1993년 1996년 1998년 |
| 삼성화재배 세계 바둑 마스터스 | 1997년 1998년 1999년 |
| 텔레비전 바둑 아시아 선수권전 | 1995년 1996년 2002년 |
| 세계 바둑 선수권 후지쯔배 | 1996년 1998년 |
| 춘란배 세계 선수권 | 2003년 2005년 |
| 도요타 덴소배 세계 왕좌 | 2003년 |
| 중환배 세계 바둑 선수권전 | 2007년 |
| 기타 정보 | |
| 별칭 | 돌부처 (石佛) 신산 (神算) |
| 가족 | 이재룡 (부), 채수희 (모), 이광호 (형), 이영호 (제), 이도윤 (배우자), 이소정 (장녀), 이시연 (차녀) |
2. 약력
1975년 전라북도 전주에서 삼 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 이씨이다.[12] 5살 무렵 할아버지가 친구와 바둑 두는 것을 보고 바둑을 접했으며, 이후 할아버지를 따라 지역 바둑 도장을 다니며 실력을 키웠다. 특히 전국 대회 우승 경력이 있는 아마추어 강자 이정옥에게 1,000번이 넘는 지도를 받았다.[13]
이창호는 1975년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나, 1982년 초등학교 1학년 때 할아버지로부터 바둑을 배웠다.[10] 이후 전영선 7단을 사사했고, 1984년 9살 때 조훈현 9단의 내제자가 되어 한국기원 연구생으로 들어갔다.[10]
1982년 초등학교 1학년 때 전영선 7단에게 정식으로 바둑을 배우기 시작했다. 바둑 입문 2년 만인 1983년 해태배 전국 어린이 바둑 대회에서 최연소 장려상을 수상했고, 이듬해에는 오켄돔 바둑왕전에서 우승했다. 이를 계기로 부모는 이창호를 프로 기사의 길로 이끌기로 결심했고, 전영선의 소개로 당시 한국 바둑계 정상이던 조훈현 9단을 만나 1984년 여름, 그의 내제자가 되었다. 당시 한국에는 내제자 관습이 드물었고, 전성기의 최정상 기사가 제자를 들이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14] 같은 해 한국기원 연구생 5급으로도 등록되었다.
1986년 제54회 입단 시험을 통과하여 만 11세 2일의 나이로 프로 기사가 되었다. 이는 스승 조훈현에 이어 역대 두 번째 최연소 입단 기록이었다.[15] 입단 후 양재호, 유창혁, 윤현석 등과 함께 연구회를 결성하여 기량을 갈고 닦았다. 1987년에는 승리 랭킹 2위(44승 11패), 승률 1위(80%)를 기록했다.[16]
1988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를 졸업했다. 같은 해 국기전 준결승에서 당대 강자였던 서봉수 9단을 꺾으며 주목받았고, 최고위전에서 처음으로 타이틀에 도전하여 스승 조훈현과 맞붙었다. 첫 사제 대결에서는 1승 3패로 패배했고, 이어진 패왕전 도전기에서도 0승 3패로 물러났으나, 10대 초반의 신예와 최정상 기사의 대결은 큰 화제를 모았다.[17] 같은 해 12월, 제8기 KBS 바둑왕전 결승에서 김수장 7단을 2-0으로 꺾고 생애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당시 만 14세로, 이는 한국 최연소 타이틀 획득 기록이다. 이 해 이창호는 75승 10패, 승률 88.24%(역대 1위), 최다승, 최다 대국(85국), 최다 연승(25연승) 기록을 세우며 4개 부문을 석권했고, MVP로 선정되었다.
1990년 2월, 제29기 최고위전에서 다시 만난 스승 조훈현을 3-2로 꺾고 타이틀을 차지했다. 조훈현이 처음 획득했던 타이틀을 제자에게 넘겨준 이 대결은 언론에서 "보은 대결"이라 불리기도 했다.[18] 이 승리를 시작으로 같은 해 9월까지 41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10월에는 10년간 조훈현이 지켜온 국수전 타이틀마저 3-0으로 가져오며 사상 최연소 국수가 되었다. 이 시기부터 조훈현, 서봉수, 유창혁과 함께 한국 바둑계 '사강(사천왕)'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1991년 충암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스승 조훈현의 집을 나와 독립했다.
1992년 1월, 제3회 동양증권배 결승에서 린하이펑 9단을 3-2로 꺾고 우승했다. 이는 만 16세 6개월의 나이로 달성한 세계 최연소 바둑 세계 챔피언 기록으로, 한국방송공사(KBS)를 통해 전국에 생중계되며 큰 반향을 일으켰고, 한국 내 어린이 바둑 교실 신설 붐을 이끌었다.[19]
1993년에는 동양증권배에서 조치훈 9단을 3-0으로 완파하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1994년 충암고등학교를 졸업했고, 제2회 진로배에서 한국 팀의 우승을 이끌며 한국 바둑의 세계 대회 제패 시대를 여는 데 기여했다.[20] 이 해 13개의 타이틀을 추가하며 통산 39관왕에 올랐다.
만 19세가 되면서 병역 문제가 대두되자, 한국기원 이사장 장재식 의원을 비롯한 국회의원 105명이 연명하여 '이창호 후원회'를 결성하는 등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에 1994년 12월 병역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예술·체육요원 특례에 바둑이 포함되었고, 이창호는 1995년 3월 4주간의 기초군사훈련을 받은 뒤 3년간 공익 근무 요원으로 복무, 1998년 3월 소집 해제되었다.
병역 이행 중에도 이창호의 활약은 계속되었다. 1995년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에서 조훈현 9단을 꺾고 한국 기사 최초로 우승했으며, 1996년에는 이 대회 2연패를 비롯해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세계 바둑 최강전 등 주요 국제 대회를 석권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6년 5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서훈받았고, 6월에는 9단으로 특별 승단했다.[21]
이후에도 1997년 삼성화재배 2연패 및 LG배 세계기왕전 우승, 1998년 동양증권배 및 삼성화재배 3연패, 후지쯔배 우승, 1999년 LG배, 삼성화재배 우승 등 세계 무대를 평정했다. 국내에서도 기성전, KBS 바둑왕전, 최고위전, 왕위전, 명인전 등 주요 기전을 휩쓸었다.
2000년 제4회 응씨배에서 창하오 9단을 꺾고 우승했으며, 삼성화재배 우승과 국내 3관왕을 달성했다. 2001년에는 잉씨배와 LG배 우승으로 통산 100번째 타이틀을 돌파했고, 연간 상금 10억원을 넘어서는 기록을 세웠다. 2002년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우승과 함께 통산 1,000승을 달성했다.
2003년 도요타덴소배와 제4회 춘란배 우승으로 메이저 세계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는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22] 2004년 LG배, 2005년 춘란배 우승을 추가했으며, 2007년에는 왕위전 12연패(통산 30기~41기)라는 위업을 달성했다.[5] 2009년 KBS 바둑왕전 3연패로 이 대회 통산 11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10년 이도윤 씨와 결혼했고, 2012년 딸 소현 양을 얻었다. 2011년 국수전에서 패하며 22년 만에 타이틀이 없는 상태가 되었고, 2013년 제31기 KBS 바둑왕전에서는 박정환 9단에게 1-2로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7년 월간 '바둑'에서 실시한 "역대 최고의 기사는?" 설문 조사에서 1위로 선정되었다.[23]
3. 기록
1986년 만 11세 1개월의 나이로 프로에 입단하여, 조훈현에 이어 역대 두 번째 최연소 입단 기록을 세웠다.[10] 1988년에는 제8기 KBS 바둑왕전에서 김수장 7단을 꺾고 첫 타이틀을 획득했는데, 이는 만 13세 6개월의 나이로 세운 최연소 종합기전 우승 기록이다.[10]
1990년에는 최고위전과 국수전에서 스승 조훈현을 연달아 꺾고 우승하며 사상 최연소 국수 타이틀을 차지했고,[10] 같은 해 '''41연승'''이라는 역대 최장 연승 기록을 세웠다.[10] 1992년에는 만 16세 5개월의 나이로 제3회 동양증권배에서 우승하며 역사상 최연소 세계 바둑 챔피언이 되었다.[1][2][10]
이후 수많은 국내외 기전에서 우승하며 전성기를 구가했다. 1996년에는 세계 바둑 최강전 우승 등의 공로를 인정받아 특별 승단으로 9단이 되었고, 같은 해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10] 2001년 5회 LG배 세계기왕전 우승으로 통산 100번째 타이틀을 돌파했으며,[10] 연간 상금 10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10] 2003년 도요타덴소배와 춘란배 우승으로 세계 대회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10]
이창호는 세계 대회 통산 최다 우승(21회), 통산 최다 타이틀(140회), 통산 최다승(1791승, 2023년 기준)[10] 등 바둑계에 수많은 기록을 남겼다. 통산 전적은 2490전 1791승 699패로 승률 71.90%를 기록 중이다(2023년 기준).[10]
2010년 전 바둑 기자 이도윤과 결혼하여[10] 2012년 딸 소현을 얻었다.[10]
'''주요 기록 요약'''[10]3. 1. 세계대회 성적
1992년 만 16세의 나이로 제3회 동양증권배에서 린하이펑 9단을 3-2로 꺾고 우승하며 역사상 최연소 세계 바둑 챔피언 기록을 세웠다.[1][2] 이후 수많은 세계대회에서 우승하며 21개의 타이틀을 획득, 역대 세계대회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2003년 도요타덴소배와 춘란배 우승으로 세계 대회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 대회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 응씨배 | × | - | 16강 | - | 8강 | - | 우승 | - | 8강 | - | 준우승 | ||||||||||
| 후지쯔배 | × | 24강 | 8강 | 16강 | 24강 | × | 16강 | 16강 | 우승 | 16강 | 우승 | 16강 | 16강 | 24강 | 4강 | 3위 | 8강 | 16강 | 8강 | 준우승 | 준우승 |
| 동양증권배 | 8강 | 준우승 | 우승 | - | 우승 | 16강 | 16강 | 우승 | - | 4강 | 우승 | 중지 | |||||||||
| 삼성화재배 | - | 4강 | 우승 | 우승 | 우승 | 16강 | 4강 | 16강 | 8강 | 32강 | 준우승 | 준우승 | 16강 | 8강 | |||||||
| LG배 | - | 우승 | 4강 | 우승 | 4강 | 우승 | 4강 | 준우승 | 우승 | 4강 | 16강 | 8강 | 32강 | 4강 | |||||||
| 춘란배 | - | 준우승 | 16강 | 16강 | - | 우승 | - | 우승 | - | 8강 | - | 준우승 | |||||||||
| 도요타덴소배 | - | 우승 | - | 8강 | - | 4강 | - | 16강 | |||||||||||||
| 중환배 | - | 4강 | 16강 | - | 우승 | 중지 | |||||||||||||||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 × | × | 준우승 | × | × | 1회전 | × | 우승 | 우승 | 4강 | 1회전 | 준우승 | 준우승 | 1회전 | 우승 | 4강 | × | 1회전 | 준우승 | × | 4강 |
| 농심배 | - | 2:0 | 1:0 | 2:0 | 2:0 | 2:0 | 5:0 | 0:1 | 2:0 | 0:1 | 0:0 | ||||||||||
| 대회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 응씨배 | - | 4강 | - | × | - | |||||
| 후지쯔배 | 준우승 | 16강 | × | 중지 | ||||||
| 삼성화재배 | 4강 | 16강 | 16강 | × | × | 32강 | 16강 | × | × | × |
| LG배 | 준우승 | 8강 | 준우승 | 16강 | 32강 | × | 32강 | × | × | × |
| 춘란배 | - | 16강 | - | × | - | × | - | × | - | × |
| BC카드배 | 16강 | 64강 | 32강 | 32강 | 중지 | |||||
| 바이링배 | - | × | - | × | - | × | - | × | ||
| 몽백합배 | - | 64강 | - | × | - | × | - | |||
| 신아오배 | - | × | - | 중지 | ||||||
| 천부배 | - | 1회전 | ||||||||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 4강 | 4강 | × | × | 1회전 | × | × | × | × | × |
| 농심배 | 3:0 | 0:0 | 0:1 | × | × | × | × | × | × | × |
- 범례: 금색 배경은 우승, 은색 배경은 준우승, 보라색 배경은 4강, 동색 배경은 3위.
'''국가대항전 성적'''
이창호는 진로배와 그 후신인 농심배에서 대한민국 팀의 주장 또는 중간 주자로 활약하며 여러 차례 팀 우승을 이끌었다.
- '''진로배'''
- 1993년 제2회: 주장으로 출전하여 다케미야 마사키 9단에게 승리하며 한국 우승 결정.
- 1994년 제3회: 4장으로 출전하여 4연승 기록. (차오다위옌 9단, 고마츠 히데키 8단, 마샤오춘 9단, 다케미야 마사키 9단)
- 1995년 제4회: 4장으로 출전하여 4연승 기록. (차오다위옌 9단, 고마츠 히데키 8단, 다케미야 마사키 9단, 녜웨이핑 9단)
- '''농심배'''
- 1999년 제1회 ~ 2004년 제6회: 주장으로 출전하여 6회 연속 한국 팀 우승을 이끌었다. 이 기간 동안 14연승(불계승 포함)이라는 대기록을 세웠으며, 특히 2004년 제6회 대회에서는 홀로 5연승(상하이 대첩)을 거두며 극적인 역전 우승을 만들어냈다.
- 2006년 제8회: 주장으로 출전하여 쿵제 7단, 구리 9단에게 2연승하며 한국 우승 결정.
- 2009년 제11회: 주장으로 출전하여 류싱 7단, 구리 9단, 창하오 9단에게 3연승하며 한국 우승 결정.
'''기타 세계대회'''
- 아시안 게임: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남자 단체전 금메달 획득.
- CSK배 아시아 바둑대항전: 여러 차례 한국 대표로 출전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봉황고성배 세계바둑정상대결: 2005년 제2회 대회에서 창하오 9단과 4패빅 무승부를 기록했다.
'''세계대회 통산 기록'''[10]
| 기전 | 우승 | 준우승 |
|---|---|---|
| 응씨배 | 1 (2000) | 1 (2008) |
| LG배 | 4 (1997, 1999, 2001, 2004) | 3 (2003, 2010, 2012) |
| 삼성화재배 | 3 (1997–1999) | 2 (2005, 2006) |
| 춘란배 | 2 (2003, 2005) | 2 (1999, 2009) |
| 후지쯔배 | 2 (1996, 1998) | 3 (2007–2009) |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 3 (1995, 1996, 2002) | 4 (1990, 1999, 2000, 2006) |
| 도요타덴소배 | 1 (2003) | |
| 동양증권배 | 4 (1992, 1993, 1996, 1998) | |
| 중환배 | 1 (2007) | |
| 합계 | 21 | 15 |
3. 2. 기타 국제기전 성적
주요 세계기전 외에 다른 국제 대회에서도 많은 활약을 펼쳤다.- 월드 명인전: 2010년 준우승.[10]
- 중·한 천원전: 1997년부터 2000년까지 4회 연속 우승.[10]
- 테다컵: 2004년 우승.[10]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국가대항 연승전 방식의 대회에서 한국 대표로 출전했다.
- 1991년: 1승 1패 (○유소광, ×린하이펑)
- 1992년: 1승 1패 (○조대원, ×린하이펑)
- 1994년: 1승 0패 (○무궁정수)
- 1995년: 4승 1패 (○조대원, ○고마츠 히데키, ○마샤오춘, ○무궁정수, ×녜웨이핑)
- 1996년: 3승 1패 (○조대원, ○무궁정수, ○녜웨이핑, ×마샤오춘)
- 롯데배 한중 바둑 대항전: 1994년, 1995년, 1997년 대회에 출전하여 마샤오춘, 유소광, 왕젠훙, 왕레이 등을 상대로 6전 전승을 기록했다.
-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 2000년 제1회 대회부터 한국팀 주장을 맡아, 제6회 대회까지 무패의 14연승을 기록하며 한국의 6연패를 이끌었다. 이는 '상하이 대첩'으로 불리며 농심배의 상징적인 기록으로 남아있다. 이후 대회에서도 꾸준히 활약했다.
- 2000년 (1회): 2승 (○조선진, ○마샤오춘) - 우승 결정
- 2001년 (2회): 1승 (○가토 마사오) - 우승 결정
- 2002년 (3회): 2승 (○창하오, ○저우허양) - 우승 결정
- 2003년 (4회): 2승 (○후야오위, ○뤄시허) - 우승 결정
- 2004년 (5회): 2승 (○가토 마사오, ○린하이펑) - 우승 결정
- 2005년 (6회): 5승 (○뤄시허, ○장쉬, ○왕레이, ○왕밍완, ○왕시) - 우승 결정 (상하이 대첩)
- 2006년 (7회): 1패 (×이다 노리모토)
- 2007년 (8회): 2승 (○쿵제, ○구리) - 우승 결정
- 2008년 (9회): 1패 (×창하오)
- 2009년 (10회): 출전 없음
- 2010년 (11회): 3승 (○류싱, ○구리, ○창하오) - 우승 결정
- 2011년 (12회): 출전 없음
- 2012년 (13회): 1패 (×셰허)
- CSK배 아시아 바둑대항전: 단체전으로 열린 이 대회에서도 한국 대표로 출전했다.
- 2002년: 2승 (○이다 노리모토, ○린즈한)
- 2003년: 1승 2패 (○딩웨이, ×하네 나오키, ×장쉬)
- 2004년: 3승 (○장쉬, ○유키 사토시, ○왕레이)
- 2005년: 2승 1패 (○린하이펑, ○야마시타 게이고, ×저우허양)
- 2006년: 2승 1패 (×이다 노리모토, ○판산치, ○창하오)
- 강원랜드배 한중 바둑 대항전: 2006년 대회에서 창하오에게 패배했다.
- 삼성화재배 페어 바둑 최강전: 1997년 남치형과 조를 이루어 우승했다.
- 봉황고성 세계 위기 령봉 대결: 2005년 창하오와의 특별 대국에서 바둑 역사상 드문 4패빅 무승부를 기록했다.
- 아시안 게임: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남자 단체전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주강배 세계 바둑 단체 선수권대회: 2013년 대한민국 와일드카드 팀으로 출전하여 4위를 기록했다.
4. 기풍
견고한 기풍과 대국 중 흔들리지 않는 표정으로 인해 '돌부처'라는 별명을 얻었다. 20대까지는 뛰어난 계산력을 바탕으로 초반부터 중반까지 두텁게 두어 안정적인 승부 호흡을 가져가는 스타일이었으나, 최근에는 전투적인 기풍으로 변모하고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특히 끝내기에 있어서는 "신산(神算)"이라고 불릴 정도로 정확하며[11], 이는 그의 견실한 스타일을 뒷받침한다. 무표정하고 과묵한 성격 역시 '돌부처'라는 별명과 함께 그의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11].
수년에 걸쳐 그의 기풍은 분석 대상이 되어왔다. 조치훈은 새로운 세대의 등장으로 이창호의 스타일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세돌이 결국 그를 넘어설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반면, 스승 조훈현은 이창호의 시대가 끝났다는 평가에 동의하지 않으며, 이세돌은 단지 강력한 라이벌일 뿐이라고 말했다. 조훈현은 두 기사가 앞으로 여러 차례 대결하며 결국 승부가 갈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5. 평가 및 영향
2002-03, 06, 10
(역대 2위)
98-2003, 09
(역대 1위)
(역대 2위)
(역대 2위)
99, 2001-02,
04-05, 07-09-10
(역대 1위 타이기록)
(최연소 타이틀)
(역대 1위 타이기록)
(역대 2위)
(역대 1위 타이기록)
(역대 1위)
(역대 1위)
(역대 1위)
(역대 2위)
(역대 1위 타이기록)
(역대 1위)
(역대 1위)
(역대 2위)
(역대 1위)
(역대 1위)
(역대 2위 타이기록)
(역대 1위)
(역대 1위)
2001, 03-04
(역대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