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 아작시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C 아작시오는 1910년 창단된 코르시카 아작시오의 축구 클럽이다. 1919년부터 곰을 클럽의 상징으로 사용하며, 1965년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여 코르시카 클럽 최초로 1967년 프랑스 리그 1에 참가했다. 리그 1과 리그 2를 오가며, 2021-22 시즌 리그 2에서 2위를 차지하며 리그 1으로 승격했으나, 2022-23 시즌 18위를 기록하며 다시 리그 2로 강등되었다. 2024년에는 재정 문제로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강등되었지만, 항소 후 리그 2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르시카의 축구단 - SC 바스티아
SC 바스티아는 1905년 창단된 프랑스 축구 클럽으로, 1978년 UEFA컵 결승 진출, 1981년 쿠프 드 프랑스 우승을 거두었으며, 코르시카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있다. - 코르시카의 축구단 - 가젤레크 아작시오
가젤레크 아작시오는 1960년 창단된 프랑스의 축구 클럽으로, 쿠프 드 프랑스 준결승 진출 및 리그 1 승격 경험이 있으나 재정 문제로 5부 리그까지 강등되었다가 2023-24 시즌 레지오날 1으로 승격되었다. - 리그 2 구단 - FC 지롱댕 드 보르도
FC 지롱댕 드 보르도는 1881년에 창단된 프랑스의 축구 클럽으로, 리그 1과 쿠프 드 프랑스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명문 구단으로 자리 잡았으나, 2024년 재정 문제로 샹피오나 나시오날 2로 강등되었다. - 리그 2 구단 - 레드 스타 FC
레드 스타 FC는 1897년 창단되어 프랑스 축구 초창기를 이끌었으며 쿠프 드 프랑스 5회 우승을 차지한 파리 북부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부침을 겪다가 2023-24 시즌 프랑스 전국 선수권 1위를 차지하며 리그 2로 승격했다. - 1910년 설립된 축구단 - CA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CA 벨레스 사르스피엘드는 1910년에 창단된 아르헨티나의 축구 클럽으로, 달마시오 벨레스 사르스피엘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1990년대에 황금기를 누리며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고, 호세 아말피타니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10년 설립된 축구단 -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는 1910년 상파울루 철도 노동자들이 창단한 브라질 축구 클럽으로, 브라질 세리에 A 7회 우승과 FIFA 클럽 월드컵 2회 우승 등 화려한 역사를 자랑하며 열정적인 팬덤과 주요 더비 매치로 브라질 축구의 중심 역할을 한다.
AC 아작시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Athletic Club Ajaccien |
애칭 | L'ours (곰) |
창단 | 1910년 |
홈 구장 | 스타드 미셸 모레티 |
수용 인원 | 10,446명 |
구단주 | Holding Ajaccio Imperial Corse Investissement |
회장 | Daniele Bufano |
감독 | Mathieu Chabert |
리그 | 리그 되 |
시즌 | 2024-25 |
지난 시즌 순위 | 리그 되 15위 (2023-24) |
웹사이트 | AC 아작시오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 | |
![]() | |
![]() |
2. 역사
AC 아작시오는 1910년에 창단되어 빨간색과 흰색 줄무늬를 팀 상징색으로 사용했다. 초기에는 모래 매립지에서 경기를 하다가, 구단주 루이 바레티의 장인인 장 류이스의 요청으로 5,000명 수용 규모의 새 경기장으로 이전했다.
1965년 프로팀이 된 AC 아작시오는 가젤렉 아작시오, 바스티아와 함께 코르시카 섬의 3대 클럽으로 꼽히며, 코르시카 챔피언십에서 8번 우승(1920, 1921, 1934, 1939, 1948, 1950, 1955, 1964년)했다. 특히, 1946년 코르시카 컵 결승전에서 바스티아와의 경기 중 관중 난동으로 경기가 중단되고 재경기가 치러진 사건은 이들 간의 치열한 경쟁 관계를 보여준다.
1967년, AC 아작시오는 코르시카 클럽 최초로 프랑스 최고 리그에 진출했다. 그러나 리그 1에서는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고 중하위권을 맴돌거나 리그 2로 강등되는 시즌이 반복되었다.
2014년 11월, 올리비에 판탈로니가 세 번째로 감독으로 복귀했다.[5] 2017-18 시즌 3위를 차지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르아브르와의 준결승전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했고,[6] 결승에서 툴루즈에게 패했다.[7] 2019-20 시즌에는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리그가 조기 종료되면서 승격 기회를 놓쳤다.[8]
클럽 명칭은 연고지인 아작시오에서 따왔지만, 아작시오는 그리스 신화 영웅 아이아스에서 유래한다.
2. 1. 창단 초기 (1910-1965)
AC 아작시오는 1910년에 아작시오 최초의 축구 클럽으로 창단되었다.[16] 초기에는 모래 매립지에서 경기를 했지만, 구단주 루이 바레티의 장인인 장 류이스의 요청으로 더 나은 경기장으로 이전했다. 이 경기장은 5,000명을 수용할 수 있었으며 1969년까지 사용되었다.1919년부터 클럽 엠블럼에 곰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7] 이는 영국 해군 부대와의 친선 경기에서 유래한다. 당시 아작시오 선수들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대부분 전사했고, 살아남은 선수 중 한 명인 루이 파올리니는 한쪽 눈을 잃은 채 팀을 재건하려 했다. 1919년, 영국 해군 군함이 아작시오 항구에 들어왔고, 승무원들이 코르시카 섬에 축구 친선 경기를 제안했다. 아작시오는 이 경기에서 1-3으로 패했지만, 유일한 골을 넣은 마틴 바레티는 곰과 같은 체격으로 "L'Ours(곰)"이라는 별명을 얻었고, 이후 곰은 클럽의 상징이 되었다.[17]
AC 아작시오는 1920, 1921, 1934, 1939, 1948, 1950, 1955, 1964년에 코르시카 챔피언십에서 8번 우승했다. 가젤렉 아작시오, 바스티아와 함께 코르시카 섬의 3대 클럽 중 하나로, 이들 간의 경쟁은 치열했다. 1946년 코르시카 컵 결승전에서는 관중들이 폭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우산을 지참하기도 했다.
2. 2. 프로화 이후 (1965-현재)
AC 아작시오는 1965년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였다.[18] 1967년, 코르시카 섬을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는 처음으로 프랑스 최상위 리그인 리그 1(당시 디비시옹 1)에 참가하게 되었다.[18]이후 리그 1과 리그 2를 오가며 승강을 반복했다. 2001-02 시즌에는 리그 2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 1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2013-14 시즌 리그 1에서 최하위인 20위를 기록하며 리그 2로 강등되었다.[4] 이웃 라이벌 팀인 바스티아와의 경기에서 패배하면서 강등이 확정되었다.[4]
2021-22 시즌 리그 2에서 2위를 차지하며 다시 리그 1으로 승격했지만,[9] 2022-23 시즌 리그 1에서 18위에 그치며 1년 만에 리그 2로 다시 강등되었다.[10]
2024년, AC 아작시오는 재정 문제로 인해 국가 관리 통제국(DNCG)로부터 샹피오나 나시오날(3부 리그)로 행정 강등되는 처분을 받았다.[11] 그러나 구단은 이에 항소하였고, 2024년 7월 11일 항소가 받아들여져 2024-25 시즌 리그 2에 복귀하는 것이 결정되었다.[12]
2. 3. 주요 사건
1946년, 바스티아와의 코르시카 컵 결승전에서 관중 난동으로 경기가 중단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ACA에게 주어질 페널티킥이 거부되자 팬들 사이에서 폭력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경기는 중단되고 재경기가 치러졌다.[4]2017-18 시즌, 리그 2에서 3위를 차지하여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르아브르와의 준결승전에서 경기장 안팎으로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6] 결국 결승에서 툴루즈에게 패배하며 승격에 실패했다.[7]
2019-20 시즌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리그가 조기 종료되면서 승격 기회를 놓쳤다. 당시 아작시오는 상위 두 팀과 단 1점 차이로 뒤져 있었으나, 플레이오프가 열리지 않아 승격되지 못했다.[8]
3. 팀 기록
AC 아작시오의 팀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리그전 | 컵 대회 | |||||||||
---|---|---|---|---|---|---|---|---|---|---|---|
디비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프랑스컵 | 리그컵 | |
1998-99 | 디비시옹 2 | 38 | 13 | 12 | 13 | 49 | 56 | 51 | 9위 | 7라운드 탈락 | 1라운드 탈락 |
1999-00 | 38 | 15 | 8 | 15 | 37 | 41 | 53 | 7위 | 8라운드 탈락 | 1라운드 탈락 | |
2000-01 | 38 | 12 | 10 | 16 | 32 | 40 | 46 | 12위 | 64강 | 32강 | |
2001-02 | 38 | 20 | 12 | 6 | 47 | 25 | 72 | 1위 | 32강 | 1라운드 탈락 | |
2002-03 | 리그 1 | 38 | 9 | 12 | 17 | 29 | 49 | 39 | 17위 | 32강 | 32강 |
2003-04 | 38 | 10 | 10 | 18 | 33 | 55 | 40 | 15위 | 64강 | 32강 | |
2004-05 | 38 | 10 | 15 | 13 | 36 | 40 | 45 | 14위 | 32강 | 32강 | |
2005-06 | 38 | 8 | 9 | 21 | 27 | 53 | 33 | 18위 | 32강 | 8강 탈락 | |
2006-07 | 리그 2 | 38 | 12 | 11 | 15 | 44 | 50 | 47 | 12위 | 8라운드 탈락 | 2라운드 탈락 |
2007-08 | 38 | 14 | 12 | 12 | 37 | 41 | 54 | 9위 | 8라운드 탈락 | 2라운드 탈락 | |
2008-09 | 38 | 11 | 11 | 16 | 44 | 56 | 44 | 16위 | 16강 | 2라운드 탈락 | |
2009-10 | 38 | 13 | 9 | 16 | 41 | 42 | 48 | 13위 | 32강 | 2라운드 탈락 | |
2010-11 | 38 | 17 | 13 | 8 | 45 | 37 | 64 | 2위 | 8라운드 탈락 | 16강 | |
2011-12 | 리그 1 | 38 | 9 | 14 | 15 | 40 | 61 | 41 | 16위 | 32강 | 32강 |
2012-13 | 38 | 9 | 15 | 14 | 39 | 51 | 40 | 17위 | 64강 | 3라운드 탈락 | |
2013-14 | 38 | 4 | 11 | 23 | 37 | 72 | 23 | 20위 | 32강 | 3라운드 탈락 | |
2014-15 | 리그 2 | 38 | 9 | 14 | 15 | 32 | 42 | 41 | 17위 | 64강 | 16강 |
2015-16 | 38 | 9 | 15 | 14 | 34 | 42 | 42 | 17위 | 32강 | 2라운드 탈락 | |
2016-17 | 38 | 13 | 9 | 16 | 47 | 58 | 48 | 11위 | 64강 | 1라운드 탈락 | |
2017-18 | 38 | 20 | 8 | 10 | 62 | 43 | 68 | 3위 | 64강 | 1라운드 탈락 | |
2018-19 | 38 | 9 | 13 | 16 | 29 | 45 | 40 | 17위 | 7라운드 탈락 | 2라운드 탈락 | |
2019-20 | 28 | 15 | 7 | 6 | 38 | 22 | 52 | 3위 | 7라운드 탈락 | 2라운드 탈락 | |
2020-21 | 38 | 11 | 13 | 14 | 34 | 43 | 46 | 13위 | 64강 | 대회 폐지 | |
2021-22 | 38 | 22 | 9 | 7 | 39 | 19 | 75 | 2위 | 1라운드 탈락 | ||
2022-23 | 리그 1 | 38 | 7 | 5 | 26 | 23 | 74 | 26 | 18위 | 32강 | |
2023-24 | 리그 2 | 38 | 12 | 10 | 16 | 35 | 46 | 46 | 15위 | 8라운드 탈락 | |
2024-25 | 34 | 위 | 7라운드 탈락 |
3. 1. 우승 기록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리그 2 | 2회 | 1966-67, 2001-02 |
샹피오나 나시오날 | 1회 | 1997-98 |
코르스 리그 | 9회 | 1920, 1921, 1934, 1939, 1948, 1950, 1955, 1964, 1994 |
3. 2. 역대 리그 순위
시즌 | 디비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프랑스컵 | 리그컵 |
---|---|---|---|---|---|---|---|---|---|---|---|
1998-99 | 디비시옹 2 | 38 | 13 | 12 | 13 | 49 | 56 | 51 | 9위 | 7라운드 탈락 | 1라운드 탈락 |
1999-00 | 디비시옹 2 | 38 | 15 | 8 | 15 | 37 | 41 | 53 | 7위 | 8라운드 탈락 | 1라운드 탈락 |
2000-01 | 디비시옹 2 | 38 | 12 | 10 | 16 | 32 | 40 | 46 | 12위 | 64강 | 32강 |
2001-02 | 디비시옹 2 | 38 | 20 | 12 | 6 | 47 | 25 | 72 | 1위 | 32강 | 1라운드 탈락 |
2002-03 | 리그 1 | 38 | 9 | 12 | 17 | 29 | 49 | 39 | 17위 | 32강 | 32강 |
2003-04 | 리그 1 | 38 | 10 | 10 | 18 | 33 | 55 | 40 | 15위 | 64강 | 32강 |
2004-05 | 리그 1 | 38 | 10 | 15 | 13 | 36 | 40 | 45 | 14위 | 32강 | 32강 |
2005-06 | 리그 1 | 38 | 8 | 9 | 21 | 27 | 53 | 33 | 18위 | 32강 | 8강 탈락 |
2006-07 | 리그 2 | 38 | 12 | 11 | 15 | 44 | 50 | 47 | 12위 | 8라운드 탈락 | 2라운드 탈락 |
2007-08 | 리그 2 | 38 | 14 | 12 | 12 | 37 | 41 | 54 | 9위 | 8라운드 탈락 | 2라운드 탈락 |
2008-09 | 리그 2 | 38 | 11 | 11 | 16 | 44 | 56 | 44 | 16위 | 16강 | 2라운드 탈락 |
2009-10 | 리그 2 | 38 | 13 | 9 | 16 | 41 | 42 | 48 | 13위 | 32강 | 2라운드 탈락 |
2010-11 | 리그 2 | 38 | 17 | 13 | 8 | 45 | 37 | 64 | 2위 | 8라운드 탈락 | 16강 |
2011-12 | 리그 1 | 38 | 9 | 14 | 15 | 40 | 61 | 41 | 16위 | 32강 | 32강 |
2012-13 | 리그 1 | 38 | 9 | 15 | 14 | 39 | 51 | 40 | 17위 | 64강 | 3라운드 탈락 |
2013-14 | 리그 1 | 38 | 4 | 11 | 23 | 37 | 72 | 23 | 20위 | 32강 | 3라운드 탈락 |
2014-15 | 리그 2 | 38 | 9 | 14 | 15 | 32 | 42 | 41 | 17위 | 64강 | 16강 |
2015-16 | 리그 2 | 38 | 9 | 15 | 14 | 34 | 42 | 42 | 17위 | 32강 | 2라운드 탈락 |
2016-17 | 리그 2 | 38 | 13 | 9 | 16 | 47 | 58 | 48 | 11위 | 64강 | 1라운드 탈락 |
2017-18 | 리그 2 | 38 | 20 | 8 | 10 | 62 | 43 | 68 | 3위 | 64강 | 1라운드 탈락 |
2018-19 | 리그 2 | 38 | 9 | 13 | 16 | 29 | 45 | 40 | 17위 | 7라운드 탈락 | 2라운드 탈락 |
2019-20 | 리그 2 | 28 | 15 | 7 | 6 | 38 | 22 | 52 | 3위 | 7라운드 탈락 | 2라운드 탈락 |
2020-21 | 리그 2 | 38 | 11 | 13 | 14 | 34 | 43 | 46 | 13위 | 64강 | 대회 폐지 |
2021-22 | 리그 2 | 38 | 22 | 9 | 7 | 39 | 19 | 75 | 2위 | 1라운드 탈락 | |
2022-23 | 리그 1 | 38 | 7 | 5 | 26 | 23 | 74 | 26 | 18위 | 32강 | |
2023-24 | 리그 2 | 38 | 12 | 10 | 16 | 35 | 46 | 46 | 15위 | 8라운드 탈락 | |
2024-25 | 리그 2 | 34 | 위 | 7라운드 탈락 |
4. 선수
AC 아작시오는 현재 리그 2에 소속되어 있으며, 2024년 7월 29일 기준으로 다음 선수들이 활동하고 있다.[24]
- '''골키퍼(GK)''': 마티유 미셸 (2025년 6월 30일까지 발랑시엔 FC에서 임대)
- '''수비수(DF)''': 티보르 캄파니니
- '''미드필더(MF)''': 알 하산 투레
- '''공격수(FW)''': 크리스토퍼 이바위
토마 망가니는 팀의 주장을 맡고 있다.
4. 1. 선수 명단
2024년 7월 29일 기준 선수 명단.[24]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6 | GK | 프랑수아-조제프 솔라카로 | 프랑스 |
30 | GK | 주바니 킬리치니 | 프랑스 |
3 | DF | 스테판 켕페르 | 프랑스 |
5 | DF | 클레망 비달 | 프랑스 |
23 | DF | 토니 스트라타 | 루마니아 |
31 | DF | 제사 아이에사 | 프랑스 |
88 | DF | 악셀 밤바 | 코트디부아르 |
43 | DF | 아르센 쿠아시 | 부르키나파소 |
4 | MF | 미카엘 바레토 | 프랑스 |
6 | MF | 토마 망가니 | 프랑스 |
8 | MF | 메흐디 푸쉬 | 알제리 |
10 | MF | 발랑탱 자코브 | 프랑스 |
20 | MF | 모하메드 유수프 | 코모로 |
21 | MF | 이반 셰그라 | 알제리 |
25 | MF | 줄리앙 안지아니 | 프랑스 |
26 | MF | 팀 자볼-폴카렐리 | 프랑스 |
7 | FW | 요안 투즈가르 | 튀니지 |
9 | FW | 크리스토퍼 이바이지 | 콩고 |
11 | FW | 벤 하메드 투레 | 코트디부아르 |
17 | FW | 에버슨 주니어 페레이라 다 실바 | 프랑스 |
19 | FW | 알 하산 투레 | 오스트레일리아 |
22 | FW | 무사 수마노 | 프랑스 |
27 | FW | 아부바카리 칸테 | 감비아 |
99 | FW | 뱅자맹 산텔리 | 프랑스 |
4. 2. 주요 선수
Dominique Baratelli|도미니크 바라테리프랑스어 (1967-1971)Tony Sylva|토니 실바프랑스어 (2000-2001)
Stéphane Porato|스테판 포라토프랑스어 (2004-2006)
Guillermo Ochoa|기예르모 오초아es (2011-2014)
Marius Trésor|마리우스 트레조르프랑스어 (1969-1972)
Sébastien Squillaci|세바스티앙 스킬라치프랑스어 (2000-2002)
Walid Regragui|왈리드 레그라귀프랑스어 (2001-2004)
Xavier Collin|자비에 콜랭프랑스어 (2002-2008)
Carl Medjani|칼 메자니프랑스어 (2007-2013)
Samuel Bouhours|사뮈엘 부르프랑스어 (2011-2013)
Cédric Avinel|세드릭 아비넬영어 (2017-2024)
Djamel Abdoun|자멜 압둔프랑스어 (2003-2007)
Marcelinho Carioca|마르셀리뉴 카리오카pt (2004-2005)
Martin Kolář|마르틴 콜라르cs (2006-2007)
Mathieu Coutadeur|마티유 쿠타뒤르프랑스어 (2017-)
澤井 直人|사와이 나오토일본어 (2018-2019)
Dado Pršo|다도 프르쇼hr (1997-1999)
Steve Savidan|스티브 사비단프랑스어 (2000-2001)
Bernard Diomède|베르나르 디오메드프랑스어 (2003-2004)
Jean-Jacques Mandrichi|장 자크 만다리시프랑스어 (2005-2009)
Adrian Mutu|아드리안 무투ro (2012-2014)
4. 3. 임대 선수
마티유 미셸은 발랑시엔 FC에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된 골키퍼이다.5. 경영진
플로리앙 레누치
지반 안드리아 피에레스키